• 제목/요약/키워드: hired farm labo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농업 노동력 실태와 농업 노동시장 정책의 과제 (Hired Farm Labor and Policy Direction on Agricultural Labor Markets)

  • 김정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2호
    • /
    • pp.145-15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farm labor and to propose directions to define government policies. First, present condition of family and employed agricultural workforce is analyzed. Second, characteristics in demand of agricultural workforce are analyzed in the consideration of distinctive types of each entity such as crop area. Third, currently existing agricultural workforce employment mechanism is researched and analyzed. Fourth, the policies and system related to agricultural labor market that have already been in practice are analyzed and tasks and direction in establishing those policies are proposed.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policy makers to understand the agricultural labor markets and to build the institutional system for labor market services.

Effect of Experience, Education, Record Keeping, Labor and Decision Making on Monthly Milk Yield and Revenue of Dairy Farms Supported by a Private Organization in Central Thailand

  • Yeamkong, S.;Koonawootrittriron, S.;Elzo, M.A.;Suwanasopee,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6호
    • /
    • pp.814-82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effect of experience, education, record keeping, labor, and decision making on monthly milk yield per farm (MYF), monthly milk yield per cow (MYC), monthly milk revenue per farm (MRF), and monthly revenue per cow (MRC) of dairy farms supported by a private organization in Central Thailand. The dataset contained 34,082 monthly milk yield and revenue records collected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8 on 497 farms, and information on individual farmer experience and education, record keeping, and decision making obtained with a questionnaire. Farmer experience categories were i) no experience, ii) one year, iii) two to five years, iv) six to ten years, v) eleven to fifteen years, vi) sixteen to twenty years, and vii) more than twenty years. Farmer education categories were i) no education or primary school, ii) high school, and iii) bachelor or higher degree. Record keeping categories were: i) no records and ii) kept records. Labor categories were: i) family, ii) hired people, and iii) family and hired people. Decision making categories were: i) decisions made by farmers themselves, ii) decisions made with help from government officials, and iii) decisions made with help from organization staff. The mixed linear model contained the fixed effects of year-season, farm location-farm size subclass, experience, education, record keeping, labor, and decision making on sire selection, and the random effects of farm and residual. Results showed that longer experience increased (p<0.05) monthly milk yield (MYF and MYC) and revenue (MRF and MRC). Farms that hired people produced the highest (p<0.05) monthly milk yield (MYF and MYC) and revenue (MRF and MRC), followed by farms that used family, and the lowest values were for farms that used both family and hired people. Better educated farmers produced more MYC and MRC (p<0.05) than lower educated farmers. Farms that kept records had higher MYF and MRF (p<0.05) than those without records. Although differences among farms were non-significant, farms that received help from the organization staff had higher monthly milk yield (MYF and MYC) and revenue (MRF and MRC) than those that decided by themselves or with help from government official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dairy farmers needed systematic training and continuous support to improve farm milk production and revenues in a sustainable manner.

콩 재배농가의 경영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원인분석 (Analysis on Factors of Management Efficiency for Bean Farm Households)

  • 김미옥;이상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65-271
    • /
    • 2016
  • 본 연구는 콩 농가들의 경영효율성을 분석하고 이 경영효율성에 미치는 요인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재배면적이 넓을수록 콩 규모효율성에 정(+)의 효과를 주지만 규모수익체증을 해야 하는 농가가 대부분이었다. 노동력과 관련성이 큰 자가노력비, 임차료, 고용노력비를 합하면 54.6%로 생산비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고용노동비율이 높을수록 총효율성, 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효율적인 노동력 이용과 확보가 중요하다. 친환경농업의 척도인 유기질비료 비율은 총효율성과 배분효율성을 떨어뜨리고 관행농업의 척도인 농약비는 총효율성과 배분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무기질비료 투입과 농약 저투입을 통한 고품질 농산물 가격을 반영하지 않아 향후 이를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산 참다래 골드 신품종 도입농가의 경영성과 및 경영효율성 분석 (A Study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New Domestic Kiwi Fruit 'Gold' Growers)

  • 박재형;채용우;박주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3권2호
    • /
    • pp.145-15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rms growing domestic kiwi fruit 'Gold' on their management performance and efficiency in order to reduce the risks involved with introducing new kind of crops for growing, and suggest improvement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domestic kiwi fruit 'Gold' growers' income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growers due to the fruit's high unit price and productivity. Second, the analysis of management efficiency resulted in scale efficiency having greater impact on inefficiency rather than pure technical efficiency. As for the analysis of technical efficiency, the depreciation costs of agricultural facilitie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its inefficiency. Third, inefficient farms put in excessive inputs across the board, while labor costs(self labor cost + hired labor cost) were the largest factor of optimal inputs according to the models of technical efficiency and pure technical efficiency. Fourth, because of greater reliance on mechanical tools from rising labor costs, there's a need for individual farms to avoid buying farming equipments and instead share the equipments of nearby farms and agricultural cooperatives, or start renting agricultural machines from companies.

공적(公的)관리에서의 참여형 관개관리(PIM) 모델 (A Study on the Participatory Irrigation Management under Public Irrigation Management System)

  • 이성희;김태철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3호
    • /
    • pp.13-17
    • /
    • 2011
  • There was a transition from participatory irrigation management (PIM) to public irrigation management (PubIM) in Korea when Korea Rural corporation and Community (KRC) merged with Farm Land Improvement Associations (FLIAs), which had managed 60 % of irrigation areas. While making a number of achievements, some problems occurred in the public irrigation management, such as lack of farmers' participation, increased amount of water usage, and elevating operating costs.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ed ways to increase efficiency in water usage and reduce operating costs under the public management through the motive power of farmers participation. First, WUGs replaced the discarded water management committee should be reorganized to revive the concept of PIM in the form of autonomously reinforced one and the roles and functions of WUGs and the board of representatives should be strengthened. The member of new type of WUGs should participate in the national and regional water management committees as a stakeholder of irrigation water user. And also new type of WUGs initiates not only the management of irrigation water but also the management of irrigation water quality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watersheds. Those additional activities of WUGs should be properly compensated. Second, subsidies (direct payments) should be provided to faithful farmers as an incentive for their labor supply. Third, water fees could be charged to large scale agriculture companies. Fourth, professional managers could be hired, management targets would be adjusted, and incentives should be offered.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irrigation management by encouraging farmers' participation under public system.

뉴질랜드 (Palmerston North) 의 낙농 현황과 번식 및 번식장해에 관한 연구(I) Palmerston North 지역의 낙농 현황과 우유 생산량에 관한 조사 연구 (Studies on Dairy Farming Status, Reproductive Efficiencies and Disorders in New Zealand (I) A Survey on Dairy Farming Status and Milk Yield in Palmerston North Area)

  • 김중계;맥도날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8
    • /
    • 2000
  • New Zealand, Palmerston North 지역의 낙농가 80여 개 낙농가에 1998년 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우편설문지에 의해 조사되었다. 주어진 질문항목은 1). General characteristics (10개 질의), 2). Milk yield and feed supplementary (7개질의), 3). Reproductive efficiencies (14개 질의), 4). Reproductive disorders (12개 질의) 4개 항목을 포함하는 합계 43개의 질문을 내포하고 있었다. 낙농가의 응답자 38농가 (47.5%)에서 회수된 질의문 4개 항목중 1). 2). 항목에 해당되는 낙농사업에 있어서 일반적인 낙농 사육현황, 보조사료 그리고 우유 생산 등을 집계 분석하여 장단점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낙농인 (특히 제주도)들에게 인식시켜 보다 낳은 경제적 이익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바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낙농사육경력은 38개 낙농가 중 기록된 농가가 21개 (45%)였는데, 이중 15년 미만경력이 3농가(7.9%), 15~19년 경력은 7농가 (18.4%), 20~25년의 경험 농가가 6개 농가 (15.8%)였고, 26년 이상 경력을 가진 농가수는 5농가 (13.2%)로 대체로 우리나라보다 경력기간의 길고 많은 경험을 갖고 있는 낙농부국이었다. 낙농가의 노동력 투입에 있어서 주인 자신이 직접 경영하고 있는 농가는 21농가 (55.3%)였으며, Sharemilker에 의존하여 운영하는 농가가 10농가 (26.3%), 그리고 가족노동력이 투입된 2농가 (3.5%), Manager 가 주로 주관하여 운영되는 3농가 (5.3%), 일하는 사람을 두고 있는 농가 18농가 (31.6%)였으며, Part time 인력을 쓰는 농가는 2농가 (3.5%)뿐이고 기타가 1농가 (1.8%)로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사항은 낙농농가 당 1.5 인에 해당됨으로 경제적 이익 향상을 위해서 임금투입이 아주 낮았다. 2. 사육기반인 방목지와 경작지를 분석하여 보면 사육규모별 (200, 300, 400두) 방목지는 각각 56, 90, 165.3ha로 평균 107.8ha이었고, 경작지도 각각 51, 78, 165ha로서 사육규모별 차이가 컸다(P<0.01). 이와 같은 결과는 낮은 비용으로 우유를 생산하고 우유제품 95%를 세계 각국으로 수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음을 입증 할 수 있었다. 낙농가의 전반적인 기록여부사항은 응답농가 (38 농가) 중 10농가 (26.3%)가 computer, 벽기록장을 이용하는 농가수가 15농가(39.5%), 그리고 낙농수첩을 사용하고 있는 낙농가는 36농가(95%)로 가장 높았으며, 두 가지로 기록하고 있는 농가 수는 23농가(70%)로 높은 편이었다. 3. 한편, 환경면에 있어서 분뇨 처리 시설 분야는 큰 도시를 제외한, 공해를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깨끗하여 아직은 철저하지 않아서 공해처리는 문제화되지 않고 있었다. 그러므로, Pond system 이 26농가(68.4%)로 제일 많았으며, 다음에 매일 분을 제거하여 쌓아 놓아서 저장해 놓고 유기질 비료로서 이용하는 농가가 8농가(21.1%), 1 농가(2.6%)에서 Bunker system으로 저장되었고 기타의 방법으로 저장하는 것이 3농가(7.9%)로 대부분 유기질 비료가 부족하여 화학 비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형편이며 한국의 30~40여년 전 환경 상태와 유사하였다. 4. 우유 착유 시설 조사에서는 Harringbone 시설이 33농가(86.9%)였고, 다음으로 Walkthrough 구조가 3농가(7.9%), Rotary system 과 기타 구조식이 각각 1개 농가(2.6%)로 세계 낙농 선진국으로 인정 할 수 있으나, 축사시설은 거의 없고 착유시설만 설치되어 있어서 기후환경의 이점을 최대로 살려 경제성 향상을 시도하고 있었다. 5. 착유일수와 두당, 년간 비유량에 관해서 착유일수는 평균 275일, 건유기간 약 87일로 New Zeal-and 의 평균 착유일수 228일 보다 약 47일정도 긴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착유두수 당 우유 총생산량을 보면 년간 평균 3,990kg 이었고, 우유 건물량 (ms)은 약 319kg였다. 그리고 매일 두당 우유건물량 (ms)은 평균 1.2kg, 우유량은 15.5kg(건물 12.5%로 환산), 우유지방은 평균 4.83%로 외국의 수치 보다 상당히 높았고, 우유 단백질은 평균 3.57% 이었다. 6. 결론으로 Palmerstone North 지역의 낙농업은 뉴질랜드의 중심지로 목장운영의 경험과 경력 약 20년으로, 우리나라의 6~9년 보다 길고, 전체 호당 평균 사육두수는 약 355두로서, 우리나라 최근 호당 35두에 비하여 차이가 심했다. 목장에는 사육우사는 거의 없고 단지 충실한 착유실만 있을 뿐으로 대부분의 목장은 가축 노동력인 부부 두 사람 (1.5 인)에 의해서 착유가 실시되고 있으며, 특이한 것은 철저히 봄에만 분만 (93%) 을 유도하는 계절번식을 시도하여 착유기간은 240~280일로 겨올동안은 착유를 하지 않고, 당해년 그 무리의 비유량과 body score에 의해서 건유기가 결정되어 휴식기로 들어감으로서 우리나라와는 다방면(경영형태포함)에서 많은 차이점이 있었다. 그리고 젖소에는 전혀 농후사료를 급여하지 않고 완전히 방목을 위주로 사육되기 때문이며 착유량은 약 3,500kg로 우리나라의 절반이지만 집유시 우유량 보다 유지율에 따라서 환금됨으로 유지율이 4,5%로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개량하여 왔으며, 세계에서 가장 낮은 가격의 우유를 생산하는 낙농부국으로서 우리나라도 노동력 절감과 대규모 사육을 위한 실질적인 면은 물론 경영면에 더욱 치중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