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risk neonate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신생아의 폐 표면 활성제 단백-A1 (Human Surfactant Protein-A1) 유전자 대립형질의 분포와 빈도 (Allele Distribution and Frequency of Human Surfactant Protein-A1 in Korean Neonates)

  • 이경신;김영희;석정수;고정호;유욱준;이인규;오명호;배종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2호
    • /
    • pp.1497-1502
    • /
    • 2002
  • 목 적 : RDS 발생과 BPD로의 이행을 예측 할 수 있고, 스테로이드 치료에 새로운 지표로서 사용 될 수 있는 SP-A1의 유전자 대립형질의 한국분포 및 빈도를 밝히고 새로운 종류의 유전자 대립형질을 발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경희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정상 신생아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SP-A1 유전자의 대립 형질을 위해 시발체(primer) 765/787, 767/768, 788/21를 이용하여 증폭 시킨 후 19, 50, 62, 133, 219 위치의 nucleotide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위치에 맞는 제한 효소(restriction enzyme)를 이용하여 (PCR-cRFLP-based methodology) 자른 후 전기 영동 하여 염기서열의 차이를 알아냈다. 결 과 : 아미노산 염기 서열의 차이에 의하여, 6A, $6A^2$, $6A^3$, $6A^4$, $6A^8$, $6A^9$, $6A^{10}$, $6A^{11}$, $6A^{12}$, $6A^{13}$, $6A^{14}$, $6A^{15}$, $6A^{16}$, $6A^{17}$, $6A^{18}$, $6A^{20}$ 등의 16개의 대립형질이 발견되었으며, SP-A1 중 $6A^3$ 45%, $6A^2$ 21%의 분포를 보였고, $6A^4$, $6A^8$, $6A^{14}$도 1% 이상의 분포를 보였다. 이외에도 6A, $6A^9$, $6A^{10}$, $6A^{11}$, $6A^{12}$, $6A^{13}$, $6A^{15}$, $6A^{16}$, $6A^{17}$, $6A^{18}$, $6A^{20}$의 대립형질이 6%의 분포를 보였으며, SP-A1의 Genotype은 $6A^26A^3$, $6A^36A^4$, $6A^36A^3$, $6A^26A^4$ 등이 88% 이상의 빈도를 보였다. 결 론 : RDS에 대해 보호체(protector)로 작용하는 $6A^3$의 빈도가 많은 것으로 보아 실질적으로도 우리나라에서 RDS의 발생률이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많은 빈도를 보이는 $6A^3$는 다른 대립형질에 비해 스테로이드를 사용 할 때 유전자 발현에 많은 억제를 보여 숙주 반응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SP-A의 혈청 내 농도가 적을 것으로 추측되어, 감염에 노출 될 위험이 많으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스테로이드 치료에 있어서 많은 연구가 있어야겠다.

고위험 신생아에서 Bayley 발달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발달 예후인자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neurodevelopmental predictors for the results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in high-risk neonates)

  • 우미경;김동욱;허경;심규홍;최명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1호
    • /
    • pp.1221-1227
    • /
    • 2009
  • 목 적:신생아 집중치료술이 발달함에 따라 미숙아 및 극소 저체중 출생아 등의 고위험 신생아의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 신생아의 생존율 향상과 더불어 생존 환아에서 발육 지연, 뇌성마비, 청력 저하 등 신경학적 발달 이상을 보이는 환아의 수도 증가하여 이들 환아들의 이상을 보다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추적 관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저자들은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치료 후 퇴원한 환아 중 위험한 주산기 인자들로 인하여 발달 이상의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고위험 신생아로 추적 관리를 받고 있는 환아에서 Bayley 발달 검사를 이용하여 발달 이상의 위험 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2002년 1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신생아 중에서 퇴원 후 외래에서 추적 관리하였던 환아 중 Bayley 발달 검사를 시행한 94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32주 미만의 재태 연령, 극소 저체중 출생아, 5점 이하의 Apgar 점수, 뇌 초음파 및 자기 공명 검사상 뇌실 내 출혈 혹은 뇌실주위 백색질 연화증 등의 이상, 신생아 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신생아 경련 또는 선천성 감염 중 한 가지 이상의 요인이 있었던 환아이다. 대상 환아들의 발달 검사로 Bayley 발달 검사(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를 임상심리치료사가 시행하였고, MDI와 PDI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결 과:뇌 초음파 및 자기 공명 검사는 MDI, PDI와 각각 통계적인 연관성을 보였으며(P<0.05, P<0.001), 뇌실주위 백색질 연화증의 경우 MDI는 $70.10{\pm}28.68$, PDI는 $69.70{\pm}24.91$로 의미 있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MDI보다 PDI가 뇌의 영상학적 검사 소견과 상관관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DI는 1분 Apgar 점수 및 극소 저체중 출생아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P<0.05). Bayley 발달 검사 결과는 성별, 재태 연령, 신생아 소생술 여부, 신생아 경련과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 론: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치료받은 고위험 신생아를 추적 관찰하며 Bayley 발달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검사 결과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는 뇌의 영상학적 검사 소견, 1분 Apgar 점수 및 극소 저체중 출생아였다. 그 중 뇌의 영상학적 검사 소견상 이상이 있는 경우 발달 장애의 가능성이 가장 높고, 그 외의 위험 요인에 대해서도 주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Early-onset sepsi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Beni Suef, Egypt: bacterial isolates and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 Fahmey, Sameh Samir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8호
    • /
    • pp.332-337
    • /
    • 2013
  • Purpose: To identify the frequency of bacterial isolates in early-onset neonatal sepsis (EONS) and their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EONS was conducted at the Beni Suef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2008 to September 2012. A case of EONS was defined as an infant who had clinical signs of infection or who was born to a mother with risk factors for infection, and in whom blood culture obtained within 72 hours of life grew a bacterial pathogen. Results: Of 673 neonates screened, there were 138 positive blood cultures (20.5%) (confirmed EONS). Of the recovered isolates, 86.2% were gram-negative pathogens. Klebsiella pneumoniae (42.8%), Enterobacter cloacae (22.5%), and Escherichia coli (13.8%) were the commonest isolated organisms. The most common gram-positive microorganism was Staphylococcus aureus accounting for only 12 isolates (8.7%). All Klebsiella isolates and 93% of Enterobacter isolates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Gram-negative pathogens had the maximum overall sensitivity to imipenem, cefepime, and ciprofloxacin; whereas, gram-positive isolates were most susceptible to vancomycin, imipenem, and piperacillin. Conclusion: K. pneumoniae was the predominant causative bacteria of EONS followed by E. cloacae and E. coli. There was a high resistance to ampicillin. Imipenem had the maximum overall activity against the causative bacteria. Continuous surveillance is needed to monitor the changing epidemiology of pathogens and antibiotic sensitivity.

신생아 간질 중첩증의 임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eonatal Status Epilepticus)

  • 정경훈;김윤희;권영세;전용훈;김순기;손병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2호
    • /
    • pp.1342-1347
    • /
    • 2005
  • 목 적 : 신생아의 가장 흔한 신경학적 증상은 경련이다. 뇌는 아직 미숙한 상태로 이 시기의 경련은 경련 자체로도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심각하고 영구적인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경련을 조기에 진단하고 원인을 찾아내고 적절한 치료를 조속히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 경련은 소아나 성인의 경련과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는데, 특히 지속성 신생아 경련에서의 원인, 형태, 예후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1998년 7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인하대학교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 중 지속성 경련을 보인 36명을 대상으로, 경련이 발생한 시기, 원인, 경련형태, 지속시간, 뇌파, 예후를 기록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환아의 남녀비는 1.1 : 1이었고, 재태기간은 $37.0{\pm}3.6$주, 체중 $2.70{\pm}0.82kg$, 경련은 생후 2일(평균 중앙값)에 발생하였다. 원인질환은 미숙아에서는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50.0%), 뇌출혈(33.3%), 만삭아에서는 특발성(37.5%),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29.2%) 순이었다. 뇌출혈은 미숙아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34). 경련의 형태는 비정형적, 전신 강직, 다소성 근간대성 순으로 많았다. 전신 강직 형태일수록 사망 및 신경학적 후유증이 많았고(P<0.05), 비정형적 경련은 정상이 많았다(P<0.05). 경련의 발생시기는 생후 1일에 25.0%(9례)였으며 생후 2일 이내에 52.7%(19례), 생후 7일 이내에 80.5%(29례)에서 발생하였다. 미숙아와 만삭아 모두 생후 3일 이후에 발생한 경우 예후가 좋았다(P=0.016). 경련의 지속시간은 30분-1시간이 19례(52.8%)로 가장 많았지만, 지속시간이 1시간 이상일수록 신경학적인 후유증이 많이 발생하였다(P=0.002). 출생체중이 1,000 g 이하에서는 전부 사망하였지만, 체중 및 재태기간은 예후와 관련성이 적었다. 뇌파에서 전신성 강직 발작은 주로 심한 배경파 억제나 전기적 경련으로, 비정형적 경련은 주로 정상소견을 보였다(P<0.05). 결 론 : 지속성 신생아 경련에서 재태기간과 체중은 예후와 관련성이 적었지만, 경련발생시기가 빠를수록, 경련 지속시간이 길수록, 전신성 강직 형태의 경련일수록 나쁜 예후를 보였다.

Tandem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선천성 대사이상질환 선별검사 7년간의 경험 (Seven-year experience with inherited metabolic disorders screening by tandem mass spectrometry)

  • 송선미;윤혜란;이안나;이경률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5권1호
    • /
    • pp.21-25
    • /
    • 2008
  • 목 적 : 최근 여러 국가에서 빠르게 탠덤매스 신생아 선천성 대사이상질환 선별 프로그램을 채택하고 있으며 많은 질환들이 검출되고 있다. 본 기관에서는 2001년 4월부터 탠덤 매스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 신생아 선별 검사를 시작하였다. 연구자들은 한국에서의 탠덤매스 선천성 대사이상질환 검출율 및 탠덤매스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4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본원에서는 탠덤매스를 이용하여 신생아 및 고위험군에 대해 선별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체로부터 아실카르틴과 아미노산을 추출하여 부탄올로 유도체화시킨 후 탠덤매스에 장착하여 분석하였다. 탠덤매스 선별검사 재검, 소변 유기산 및 혈장 아미노산 검사 등을 포함한 확진 검사는 개별적으로 시행되었다. 결 과 : 총 의뢰건수는 284,933건으로 신생아 251,799건 및 고위험군 33,134건이었다. 소환율은 0.4%(1158건)이었으며, 이들 중 true positive는 117건(0.04%)이었다. 아미노산 대사 이상 질환은 총 78건(25/53), 유기산 대사이상 질환은 총 27건(16/11건) 및 지방산 산화대사이상 질환은 총 12건(5/7건)으로 전체 질환에 대한 검출율은 신생아 1:5,000이었으며 전체군 1:2,000이었다. 결 론 : 탠덤매스 신생아 선별검사는 조기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한 많은 선천성 대사이상질환의 검출을 용이하게 해주었다. 그러므로, 반드시 모든 신생아들에 대한 국가지원 탠덤매스 선별검사 확대 적용 및 추적관리 시스템이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신생아 위 자연천공 (Spontaneous Neonatal Gastric Perforation)

  • 정성은;양석진;전용순;이성철;박귀원;김우기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2권2호
    • /
    • pp.110-114
    • /
    • 1996
  • Spontaneous gastric perforation is an important but rare cause of gastrointestinal perforation in neonates. Just over 200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s. In spite of recent surgical advances in its managements, mortality rate has been reported as high as 25-50%. Because of physiologic differences, immature immune mechanisms, variations in gastrointestinal flora and poor localization of perforation, a neonate with gastric perforation is at high risk. The pathogenesis is greatly debated. Five patients with spontaneous neonatal gastric perforation who were operated upon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80 to 1993 were reviewed. Four patients were male and one female. The first indication of perforation was 1 day to 6 days of life. All of 5 perforations were located along the greater curvature of the stomach. The size of perforation ranged from 2 cm to 10 cm. Debridement and primary closure were performed in all patients. The operative mortality was 40%(2 of 5). The cause of perforation was not identified in all cases. Prematurity and necrotizing enterocolitis, synchronous or metachronous, were thought to he crucial prognostic factors. Earlier recognition and surgical intervention are necessary to reduce morbidity and mortality.

  • PDF

체중 3kg 이하 소아에서의 개심술 (Open Heart Surgery in Infants Weighing Less than 3kg)

  • 이창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8호
    • /
    • pp.630-637
    • /
    • 2000
  • Backgroud: There are well-known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low weight neonates or infants with congenital heart defects. In the past, because of a perceived high risk of operations using cardiopulmonary bypass(CPB) in these patients, there was a tendency for staged palliation without the use of CPB. However, the recent trend has been toward early reparative surgery using CPB, with acceptable mortality and good long-term survival. Therefore we reviewed our results of the operations in infants weighing less than 3kg and considered the technical aspect of conducting the CPB including myocardial protection.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an. 1995 and Jul. 1998, 28 infants weighing less than 3kg underwent open heart surgery for many cardiac anomalies with a mean body weight of 2.7kg(range; 1.9-3.0kg) and a mean age of 41days(range; 4-110days). Preoperative management in the intensive care unit was needed in 20 infants and preoperative ventilator support therapy in 11. Total correction was performed in 23 infants and the palliative procedure in 5. Total circulatory arrest was needed in 11 infants(39%). Result: There were seven hospital deaths(25%) caused by myocardial failure(n=3), surgical failure(n=2), multiorgan failure(n=1), and sudden death(n=1). The median duration of hospital stay and intensive care unit stay were 13days(range; 6-93days) and 6days(range; 2-77days) respectively. The follow-up was achieved in 21 patients and showed three cases of late mortality(15%) and a one-year survival rate of 62%. No neurologic complications such as clinical seizure and intracranial bleeding were noticed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during follow-up. Conclusion: The early and late mortality rate of open heart surgery in our infants weighing less than 3 kg stood relatively high, but the improved outcomes are expected by means of the delicate conduct of cardiopulmonary bypass including myocardial protection as well as the adequate perioperative management. Also, the longer follow-up for the neurologic development and complications are needed in infants undergoing circulatory arrest and continuous low flow CPB.

  • PDF

태아기 신생아 뇌실내 출혈 (Intrauterin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Premature Infants)

  • 진현승;박경아;구현우;윤종현;김애란;김기수;피수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호
    • /
    • pp.27-33
    • /
    • 2005
  • 목 적 : 미숙아에서 흔히 발생되는 뇌실내 출혈의 낭성병변은 출혈이 흡수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것으로 출혈 후 수일에서 수주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출생 후 5일 이내에 실시한 뇌초음파 소견상 이미 낭성병변을 동반한 뇌실내 출혈을 지닌 환아들을 태아기 뇌실내 출혈을 보인 환아로 가정하고 이들의 특징적인 임상소견과 신경학적 예후 및 산전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대상군으로는 1999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3년 6개월간 본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 중 생후 5일 이내에 실시한 뇌초음파 검사상 낭성병변을 동반한 뇌실내 출혈을 지닌 환아와 대조군으로는 같은 기간 중 입원된 뇌실내 출혈이 없었던 환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과 산모의 의무기록을 후향적 조사하였다. 결 과 : 연구 기간동안 뇌초음파를 실시한 총 1,024명의 환아 중에 309명이 뇌실내 출혈을 보였고, 이중 첫 뇌초음파상 낭성병변을 동반한 뇌실내 출혈을 보여 태아기 뇌실내 출혈의 조건을 만족하는 환아는 49명이었다. 이들 환아들의 출생체중은 대부분 1,501 g 이상이었고, 재태연령 역시 34주 이상이었으며, III등급 뇌실내 출혈을 동반한 1명을 제외한 48명의 환아가 I등급의 뇌실내 출혈과 동반한 낭성병변을 보였다. 2명(4.4%)만이 이후 실시한 뇌초음파 검사상 낭성병변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11명(24.4%)은 평균 34일만에 사라졌다. 태아기 뇌실내 출혈과 연관된 산전 인자로는 산모의 나이가 적을수록, 초산일수록, 산전스테로이드를 투여 받지 못하였을 때 의미있게 태아기 뇌실내출혈이 증가하였고, 신생아 인자로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과 동반한 경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여러 인자들에 대한 다변수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을 보인 경우와 태반 조직검사상 경색소견을 보인 경우가 의의가 있었으며 생후 18개월경까지의 신경발달학적 예후에 있어서는 두 군간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미숙아의 태아기 뇌실내 출혈의 빈도는 15.9%로서 전체 뇌실내 출혈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I등급의 경미한 출혈로서 짧은 기간동안의 추적관찰상 신경발달학적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는 아니라고 사료된다.

신생아기 신경모세포종의 임상적 고찰: 산전 진단군과 산후 진단군의 비교 (Clinical Feature of Neonatal Neuroblastoma: Comparison of Outcome between Diagnosed Prenatally and at Postpartum Group)

  • 박훤함;김수홍;정성은;이성철;박귀원;이지원;강형진;신희영;백해운;김현영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53-57
    • /
    • 2014
  • Purpose: Neonatal neuroblastoma (NBL)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in neonates,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NBL and to compare prenatal and postnatal diagnosed groups. Methods: Ninetee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NBL prenatally or within 28 days after birth from February 1986 to February 2013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patie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Neuroblastoma Staging System (INSS) and Children's Oncology Group (COG). Retrospective medical-record reviews were performed on these patients. The operative date, complication, pathological stage, and overall survival of the prenatally diagnosed group and the postpartum diagnosed group were compared. Results: Tumor was detected via prenatal ultrasonography in 8 patients (42.1%), and 11 patients (57.9%) were diagnosed within 28 days after birth. Based on INS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stage I (n=8), stage II (n=1), stage III (n=3), stage IV (n=4), and stage IVs (n=3) groups, respectively. Based on COG, on the other han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low-risk (n=8), intermediate-risk (n=8), and high-risk (n=3) group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was 29%. One patient died from complications from chemotherapy. The other 18 patients' mean follow-up period was 77.7 month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proportion of early-stage tumor, and overall survival of the prenatal and postnatal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446, p=0.607, p=0.414). Conclusion: NBL showed favorable outcomes but relatively hig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re seem to b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proportion of early-stage tumor, and overall survival between the prenatally diagnosed group and the postpartum diagnosed group.

주산기 모체 감염과 미숙아 간농양 1례 (Liver Abscess Associated with Maternal Perinatal Infection in a Premature Infant)

  • 이주희;서봉옥;서은선;김성미;김준형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105-110
    • /
    • 2008
  • 신생아 간농양은 특별한 증상이 발현되지 않거나 비특이적인 증상 때문에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항생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염증 반응이 지속되며 복부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 주산기 산모의 심한 감염, 융모양막염 등의 선행인자가 있고, 제대혈관 도관과 관련된 패혈증이 있는 경우에는 간농양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저자들은 생후 9일된 미숙아에서 제대정맥 도관과 함께 산모의 폐렴 및 심한 융모양막염이 선행요인이 되어, 단일성 간농양이 발생한 진단된 사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