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ex ratio at birth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남아선호사상에 기반한 출생 성비에 관한 확률론적 고찰 (A probabilistic study of the sex ratio at birth related to son preference)

  • 김윤수;최은선;차경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9-86
    • /
    • 2008
  • 우리나라의 출생 성비는 자연 상태에서의 출생 성비(natural sex ratio at birth)로 추정되는 105를 초과하고 있는데, 그 원인 중 하나로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한 인위적인 출산이 있다(e.g. 임신중절 등). 본 연구에서는 임신 중절 없이 남아를 낳을 때까지만 출산을 하려는 가정(family)들의 존재가 출생 성비를 높이는 데에 기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러한 가정들과 출생 성비(sex ratio at birth)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아 한 명을 낳을 때까지만 출산을 하려는 가정의 수가 무한으로 발산할수록 출생 성비는 자연 상태에서의 출생 성비에 확률적으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남아를 낳을 때까지만 출산을 하려는 가정들의 존재는 출생 성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PDF

종합병원 출산아의 성비에 관련된 요인

  • 지하용;박재용
    • 한국인구학
    • /
    • 제11권2호
    • /
    • pp.67-76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birth sex ratio which had revealed alarmingly higher in recent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hold of the basic data such as the sex ratio of live births which had been delivered at 5 general hospitals in Taegu from 1982 to 1986. And author chose Dongsan Medical Center from those 5 hospitals for further detailed study, and reviewed 1,286 medical records of mothers who had birth in each February and March from 1984 to 1987. Of these 1,286 deliveries, 30 cases were twin deliveries, which added the total children numbers to 1,316.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verage of birth sex ratio( 114.5) for 5 years at five general hospitals in Taegu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traditional birth sex ratio( 102-107) and the highest was 123.4 in 198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rth sex ratio by mother's educational level, her religion nor father's occupation. The birth sex ratio of the cases whose mother was above 35 years old was significantly high(400.0), that of the cases who were born to the mothers who had more than 3rd parity was significantly high(309.5), and that of the cases whose mother had more than two daughters and no son was also significantly high (330.7). The birth sex ratio of the cases who did not have ultrasonogram on their prenatal visits was 87.8. In contrast to this, that of the cases who had ultrason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135.5). Of the mothers who have more than two daughters and no son' 80.4% (45 cases) had ultrasonogram and their newborn's birth sex ratio was significantly high(542.9). Of the cases who were born to more than 3rd parity mothers, 75.6%(65 cases) of their mothers had ultrasonogram and their sex ratio was significantly high(441.6). It was revealed by this study that the birth sex ratio is changed to significantly high due to sex confirmation of the fetus by ultrasonogram. Thus it is recommended that the value related to having equality of sexes must be ingrained by changing the various social systems and value systems which is now aggrevating the son preference and should provide controlling system which can prohibit the ultrasonogram for sex confirmation only.

  • PDF

출생성비의 최근 변화와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선별 출산행위의 추정: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Recent Changes in Sex Ratio at Birth and Simulations on Sex-Selective Reproductive Behavior: With a Special Focus on Youngnam Region)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159-178
    • /
    • 2011
  • 한국은 합계출산율이 대체수준 이하로 떨어진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출생성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현상을 경험하였다. 출생성비의 상승은 대구, 부산과 경상북도 및 경상남도를 포함하는 영남 지역에서 두드러졌다. 한국의 출생성비는 1993년과 1994년 정점에 도달한 이후 지속적으로 저하하였으며, 2007년에 이르면 정상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국제사회에서 한국은 짧은 기간에 출생성비의 저하를 성공적으로 달성한 국가로 널리 인정된다. 그러나 출산순위 및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출생성비를 살펴보면 아직도 비정상적으로 높은 출생성비가 관찰된다. 이러한 현상은 영남 지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아직도 일부 지역과 집단에서는 성선별 출산행위가 광범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2009년 출생신고 원자료를 활용하여 어머니의 연령, 출산순위, 부모의 교육수준과 직업 등에 따른 출생성비의 편차를 영남 지역을 대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출생성비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성선별 출산행위의 설명틀을 적용하여 영남 지역에서 나타나는 출생성비의 집단간 편차를 설명하고자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인공유산에 대하여 가용한 자료가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1994년, 2005년, 2009년의 세 시점에서 성선별 출산행위에 관한 시뮬레이션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시뮬레이션 작업의 결과들은 성감별과 성선별 출산행위가 세 시점에서 얼마나 광범하게 이루어졌고, 아울러 출생성비에 미친 파급효과가 어떠하였는가를 확인해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자녀의 출생 성비 추이: 1981년부터 2004년까지 (Trends in Sex Ratio at Birth according to Parental Social Positions: Results from Vital Statistics Birth, 1981-2004 in Korea)

  • 천희란;김일호;강영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2호
    • /
    • pp.143-150
    • /
    • 2009
  • Objectives : South Korea has experienced unprecedented ups and downs in the sex ratio at birth(SRB), which has been a unique phenomenon in the last two decad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socioeconomic factors that influence the SRB. Employing the diffusion theory by Roger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trends in social variations in the SRB from 1981 to 2004 in Korea. Methods : The data was taken from Vital Birth Statistics for the period from 1981-2004. We computed the annual male proportion of live births according to the parental education(university, middle/high school, primary) and occupation(non-manual, manual, othe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odds ratios of male birth according to social position for the equidistant three time periods(1981-1984, 1991-1994, and 2001-2004). Results : An increased SRB was detected among parents with higher social position before the mid 1980s. Since then, however, a greater SRB was found for the less educated and manual jobholders. The inverse social gradient for the SRB was most prominent in early 1990s, but the gap has narrowed since the late 1990s. The mother's socioeconomic position could be a sensitive indicator of the social variations in the sex ratio at birth. Conclusions : Changes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social position with the SRB were detected during the 1980-2004 in Korea. This Korean experience may well be explained by diffusion theory, suggesting there have been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the adoption and spread of sex-detection technology.

저출산수준과 강한 남아선호관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성.연령별 인구 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ertility and Strong Son Preference on Korean Society - On the basis of the changes of age and sex structure -)

  • 김태헌
    • 한국인구학
    • /
    • 제16권2호
    • /
    • pp.1-23
    • /
    • 1993
  • Korea fertility level has dropped since the 1960's and speed of decline has accelerated in the 1980's. In the resuls, the growth rate reached to less then 1 percent in 1990 and will be $\ulcorner$0 $\lrcorner$ percent growth in 2021. The total population will increase to 50, 586 thousand persons in 2021 then will decrease. With the rapid fertility decline the age structure of Korean population has changed : while the proportion of child population aged 0-14 is decreasing sharply, that of old-ag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recent increase of sex ratio at birth, the sex structure among the young generation has been destorted; the sex ratio at age 0-4 was as high as high as 112.0 in 1990. The effects of these population phenomena on Korean society are the followings: 1) Old age dependency ratio is increasing rapidly and continuously and will be about 40.0 from the 2050's. 2) Because of the rapid decline of the number of births, the absolute number of the major labour force at age 25-34 will decrease after around 2000 and then from the 2010's become less than that in 1990. 3) Since the large fertility defferentials by womens's educational level have continu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levels of mothers and children are very strong, level has dropped among higher educated women first when the average fertility level has declined in Korea, the average educational level of the children is may be expected to be relatively low and then the future productivity is will be also low, which causes the decline of 'quality of population. 4) When the high sex ratio at birth (over 110 since 1986) continues, number of brides will be short by over 20 percent from the 2010s, which will bring various kinds of social prblems. Therefore, the counter measures in concrete to relieve the heavy problems are recommended as follows: 1) The extention of the birth intervals, which helps to drop the population growth rate at the same level of number of children per women. 2) The positive supports for out-migrants, which helps to reduce the population size without any destortion of age-sex structure. 3) The defferent supports of family planning for the higher and lower classes, which helps to reduce the gaps between different ferility levels of the classes and to keep and improve the quality of population. 4)population education for both students and adults, which helps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requirements.

  • PDF

한국의 인공임신중절과 남아선호관이 출생시 성비의 불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uced Abortion and Son Preference on the Imbalance of Sex Ratio in Korea)

  • Cho, Nam-Hoon;Hong, Moon-Sik;Kim, Il-Hyun
    • 한국인구학
    • /
    • 제17권2호
    • /
    • pp.77-97
    • /
    • 1994
  • Despite the fact that the national family planning program in korea has accomplished its primary goals of fertility reduction and universal contraceptive use, the induced abortion is still high and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rend in the population sex ratio at birth. It seems that the changes in the imbalance of sex ratio have originated from traditonal boy preference. This indicates that much of the current family planning program can be overhauled, so that the program quality could be better controlled, by preventing the number of unwanted pregnancies and the imbalance of sex ratios. This paper aims, therefore,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induced abor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regnancy outcomes and their changes over time and to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induced abortion, boy preference and the imbalance of sex ratio in Korea. The abortion rate had increased rapidly until the mid-1980s when there were about the same number of abortions as live births. Thereafter, the abortion rate has been maintained at this high level. By parity it shows a much higher abortion rate for a higher parity at all time. From the first parity, the sex composition of previous children stands ou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the pregnancy outcome at all time. The probability of a pregnancy ending in an abortion increases substantially when parents already had a son. The decline of the desired family size and the sustained strong son preference has made the sex of children a more important factor in the determination of the pregnancy outcome. Women's education has had consistently positive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a pregnancy ending in an abortion, but the effect shows a steady decline over time. The premarital pregnancy and urban residence also increase the abortion probabi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in concerns of the family planning program should be to strengthen the social support policies so as to weaken the son preference value leading to a balanced sex ratio and prevention of induced abortions.

  • PDF

유아(幼兒) 자폐증(自閉症)의 출생계절(出生季節), 출생순위(出生順位)및 산모연령(産母年齡)에 관한 연구(硏究) (SEASON OF BIRTH, BIRTH ORDER AND MATERNAL AGE IN INFANTILE AUTISM)

  • 이영식;민경준;최진숙;김동현;조수철;이길홍;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46-53
    • /
    • 1993
  • 본 연구는 $1990 1 1{\sim}1992 12 31$ 기간 중 서울대학 어린이 병원 소아정신과와 중앙 대학부속 용산병원 소아청소년 크리닉을 방문한 자폐아동 중에서 1986년 및 1988년에 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출생계절 및 출생순위, 자폐아 출산 당시의 산모 연령에 어떤 특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 인구집단의 출생자료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폐아군은 총 357명이었으며 이중 남아가 319명 (89.4%), 여아가 38명(10.4%)으로 남녀 성비는 8.4:1이었다.2) 자폐아군의 월별분포나 계절별분포에 있어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3) Slater 및 Greenwood-Yule 방법에 의한 자폐아군의 출생순위를 대조군과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4) 자폐아군은 일반 대조군에 비해 출생 당시의 산모의 연령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p<01) 5) 출산의 위험도가 높은 임신은 일반 대조군에 비해 자폐아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많았다(p<01)

  • PDF

신품종 토종닭의 계통과 성별에 따른 성장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owth Pattern in a New Synthetic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 by Sex and Strains)

  • 김기곤;최은식;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29-237
    • /
    • 2022
  • 본 연구는 신품종 토종종계로부터 생산된 토종실용닭 4계통의 성장 특성을 규명하고 출하일령 추정에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체중은 발생시부터 12주령까지 2주 간격으로 개체별로 측정하였으며 성장곡선의 추정은 Von Berteralanffy, Gompertz 및 Logistic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발생시 체중을 제외한 모든 주령에서 수컷이 암컷보다 무겁게 나타났고, 계통 간 체중은발생시, 2주령 및 6주령을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성장곡선 모형의 결정계수와 수정된 결정계수는 97.4~99.7로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성장곡선 모수 중성숙체중과 성장률은 수컷이 암컷보다 높게 나타났고, 성숙률은 암컷과 수컷이 비슷한 값을 보였다. 변곡점은 모형과 계통 별 차이가 있으나 암컷은 약 7주령, 수컷은 8~9주령으로 나타나 성별 간 10일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장곡선 모형의 거의 대부분은 실제 체중과 잘 일치하나, Von Bertalanffy 모형에서 수컷의 체중이 실제 체중과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출하일령 예측을 위한 회귀함수의 결정계수는 0.9583~0.9746으로 나타나 예측 값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성장 곡선과 회귀식을 사용하여 추정한 주령 별 체중 값은 8주령과 10주령은 회귀식을 이용한 추정 값이, 12주령 체중은 Logistic 모형으로 추정한 값이 실제 체중과 가장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성장곡선에 따른 토종닭의 2 kg 도달일령의 평균 예측일수는 수컷이 62.0~64.6일, 암컷은 74.9~78.6일로 추정된다.

인공유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로짓분석과 생존분석의 비교 (Determinants of Induced Abortion in Korea: A Comparison of Logit Analysis and Survival Analysis)

  • 은기수
    • 한국인구학
    • /
    • 제24권2호
    • /
    • pp.79-115
    • /
    • 2001
  • 이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1997년 전국 출산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의 인공유산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임신력 조사 자료라는 종단적 자료를 이용하여 로짓분석과 생존분석을 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면서 인공유산의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데 적절한 분석방법이 무엇인지도 분석하고 있다. 그동안 기존 연구를 통해 인공유산의 결정요인으로 지적되어 온 중요 변수들이 최근에도 여전히 유효한지를 검토한 결과 임신당시 연령, 임신당시 현존 자녀수, 아들의 수등이 여전히 인공유산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인공유산의 결정요인으로 간주되어 온 피임여부는 실제로 인공유산을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피임의 여부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원하는 임신의 여부가 인공유산을 결정하는 요인이다. 이에 덧붙여 임신 당시 아들의 수와 원하는 임신의 여부는 인공유산을 결정하는데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공유산은 개인적인 수준에서 여성의 건강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저출산력의 시대에 여전히 남아 있는 남아선호사상과 결합하여 성비왜곡과 같은 심각한 사회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더 큰 의미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 PDF

한국의 출산력 감소: 40년 동안의 정책과 출산행위간의 대화 (Fertility Decline in South Korea: Forty Years of Policy-Behavior Dialogue)

  • 최민자;박경애
    • 한국인구학
    • /
    • 제29권2호
    • /
    • pp.1-26
    • /
    • 2006
  • 1960-2000년 동안 한국의 사회경제적 상황, 인구정책, 출산력 감소간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령별 출산율에 기반한 전통적 합계출산율이 혼인연령과 출산연령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센서스 2% 표본 자료를 활용하여 기간출생진도비(PPPR)를 계산하고, 가족의 크기 분포도를 살펴보았다. PPPR에 의거한 합계출산율은 1960년 5.21, 1980년 2.76, 2000년 1.69로 감소하였다. 가족계획사업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원하는 자녀 수 이외의 출산을 예방하는데 성공했다. 1980년대에는 지속적인 출산억제정책으로 대체출산수준에 도달했고, 출생성비의 불균형 현상이 나타났다. 1990년대의 인구정책은 1자녀 장려정책 폐지와 함께, 출생성비균형, 인공유산 감소, 청소년을 위한 정책, 여성의 권한 증대 등 인구의 질과 복지에 초점을 두었다. 2000년대에는 한국의 출산력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국가 중의 하나로 감소하였다. 2005년의 인구정책은 2010년까지 합계출산율 1.6 달성 목표를 채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가임 기간 동안 자녀를 출산하지 않는 여성의 비중이 1995년 10%에서, 2000년 16%로 급증하였으며, 1997년 이후 그 비중이 다소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출산장려정책은 혼인과 첫째아 출산에 모아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직업과 가정의 양립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정책을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