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chool 'Science' course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4초

고등학교 과학 이수 과정에서 학생들의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견해 변화 (The Change of Students'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Technology and Society during the High School 'Science'Course)

  • 노태희;김희백;김영희;성을선;홍정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50-659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 이수과정에서 학생들의 과학 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견해 변화를 조사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41명이었다. 검사 도구는 VOSTS에서 선정한 10문항으로 구성했으며, 검사는 학년초와 학년말에 각각 실시했다. 조사 결과, 고등학교 과학 과목은 학생들에게 과학 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가정과학’과목 선택 결정 요인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High School Students’ Choice of ’ The Science of Home-Economics’ Cour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최정화;장윤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7-170
    • /
    • 2000
  •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High School Students’Choice of ’The Science of Home-Economics’Cour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ind of factors make high school students decide to select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one of the course among various in-depth elective courses in high school curriculum.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y administering a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to 463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ttend in a college-bound high school in Taegu.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hoice group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nd non-choice group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in learning motivation to 5 units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student’s perception of the traditional role and progressiv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mpress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mother’s academic career,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and mother’s request for 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an elective course. 2)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d students’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relatively were, in descending order, student’s perception of the progressiv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mpress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coeducational school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o the ‘food’unit. student’s attitude for sex-role,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and mother’s request for 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an elective course.

  • PDF

계열에 따른 여자고등학생의 성에 관한 실태분석 (Empirical Analysis of Sexuality among Girls' High School Students by Course)

  • 박옥임;신혜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15
    • /
    • 2004
  •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types of consciousness about sexuality exhibited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tilizing two subject groups with the first being academic course students and the second being vocational course students. A 51 question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wo preliminary surveys, a reliability test, and a correction. A total of 72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of 3 vocational and 3 academic course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as carried out using by means of SPSS 10.0. The study generated conclusive findings about each groups' viewpoint toward sex, the actual condition of their relationship with members of the opposite sex, the passages of knowledge about sex, the content of current sexuality education at school and the ideal type of sexuality educa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ent standardized content of sexuality education is ineffective. Sexuality education at schools in South Korea has reached a point, where research for more effective sexuality education is required.

  • PDF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평가 (An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literac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 정영란;최진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17
    • /
    • 2007
  • This study sets out to assess the scientific literac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o describe their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grade, course. This study involved 112 middle school students and 213 high school students. Their scientific literacy was measured by the Scientific Literacy Test designed by Manhart (1997). A 70-item multiple-choice test was used to assess their scientific literacy. The constructs of science factor included 36 items making up physical science, life science, and earth science subtests. The social aspects of science factor consisted of 34 items in nature of scientific inquiry/knowledge, science as a human endeavor,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etal perspectives.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scientific literacy scor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s 45.1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but boys tended to perform better than girls on both the constructs of science factor and the social aspects of science factor. The scientific literacy scor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51.7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But, boys tended to perform better than girls on the constructs of science factor. Girls tended to perform better than boys on the social aspects of science factor. The students taking a course on natural science got statistically higher scores than the students taking a course on humanities. The high school students got statistically higher scores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이 정의적 영역 및 비교과 체험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Curriculum of Science Core School on the the Affective Domain and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Satisfaction)

  • 송경훈;최성봉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2-123
    • /
    • 2013
  • Under this research, the survey is made on the definitive influence of the first-year education process of the science focus school for each of humanities, science and science core cours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non-curriculum experiment activity program for each course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first-year education process of the science focus school.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has set three research issues. First, By clarifying the research result through the first-year education curriculum for science core school, noticeable change was observed for science focus school students through the change of attitude related to science for each desired course of students. Second,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change, there was meaningful change for each desired field of students. Students hoping for humanities curriculum had great help in improvement of creative thinking for openness, creativeness and the like, but the influence was slightly insufficient in the moderation and control capability on themselves in learning attitude. Third, By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 comprehensively, the first-year education curriculum for science core school provides high level of tailored science learning for the science focus school student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

초.중.고등학교 탐구 기능 요소에 대한 6차와 7차 과학 교육 과정의 비교 (Comparison with the 6th and 7th Science Curricular for Inquiry Skill Elements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하소현;곽대오;성민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2-113
    • /
    • 2001
  • 제 6차와 7차 교육 과정의 교과서가 아니고 교육부 고시 교육 과정과 교육 과정 해설에 제시된 초 중 고등학교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와 빈도를 포괄적으로 조사하였다. 제 6차 교육 과정에 제시된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는 모두 17가지였고, 7차 교육 과정은 23가지로 조사되어 7차 교육 과정은 6차 교육 과정에 비해 탐구 기능 요소의 출현 종류가 약 1.3배 증가되었다. 탐구 기능 요소의 전체 빈도는 6차 교육 과정에서 408회, 7차 교육 과정에서 729회로 조사되어 7차가 6차에 비해 약 1.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탐구 기능 요소의 총 활용 빈도는 초등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 14가지 요소에서 155회, 7차 교육 과정 18가지 요소에서 188회, 중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은 7가지 요소에서 44회, 7차 교육 과정은 16가지 요소에서 196회, 고등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의 공통 과학은 10가지 요소에서 44회, 7차 교육 과정은 10가지 요소에서 50회, 고등학교 과학 4영역 I, II 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은 11가지 요소에서 165회, 7차 교육 과정은 21가지 요소에서 279회로 나타냈다. 7차 교육 과정의 중학교 단계에서 탐구 기능 요소의 활용 빈도가 6차에 비해 약 4.5배 증가하여 초 중 고등학교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전체적으로 볼 때, 7차 교육 과정은 6차 교육 과정보다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가 약 1.3배, 그 빈도가 약 4.5배로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그 중요성을 깊이 인식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 집중이수제 시행에 따른 생명과학교과에 대한 인문사회과정 고등학생들의 학습 만족도 및 인식 (Learning Satisfaction with and Perceptions on Life Sc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Course According to the Intensive Course Complete System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박재연;문두호;김은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446-45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중이수제로 운영된 생명과학교과에 대한 인문사회과정 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인식을 조사하여 교과목표 달성의 기초 자료로 삼고, 교과 운영에 반영함으로써 인문사회과정 고등학생들이 생명과학 기초소양과 과학적 소양을 갖춘 합리적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인문사회과정 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집중이수제를 통한 생명과학교과에 대한 학습만족도가 낮으며, 현재 수업시수가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빠른 진도와 시험의 분량에 대한 큰 부담을 갖고 있었다. 또한 인문사회과정 학생들의 생명과학에 대한 인식은 '약한 긍정'으로 진로 차원에서는 부정적이었으나 교육 차원에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중이수제의 시행을 전면 재검토하거나 전체적인 보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문사회과정 학생들을 위한 생명과학교과의 다양한 교수 방법 및 맞춤형 교과서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자연이공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연구를 시행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 PDF

인문고등학교 물리와 지구과학 통합 과정의 한 모형 (A method to integrate physics and earthscience in high school course)

  • 최병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30
    • /
    • 1980
  • In is a recent trend of the world to study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aims at pursuing how to integrate physics and earthscience in high school course and forming a tentative plan as to an integrated process between both the subjects. The one was compared with the other accor ding to the basic concepts and theteaching objecties. The contents of these two subjects were analysed, the overlapping parts being chosen, and so in the hierachy of the curriculum, some mistakes were found in eaching these two two subjects. It proved valid to in tegrate these two subject. A concrete scheme was offered to in tegrate these two subjects-physics and earthscience, when a tentative plan concerning, the integra ted process was made. This new plan can make the time required for teaching decrease by 5% The better study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integrated concepts between these two subjects will go on further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train again the teachres concerned with this new subject and to put an emphasis on the elective course between physics and earthscience in the teacher's college curriculum.

  • PDF

과학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알아 본 과학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A Study on School-level Scienc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Through Science Teacher Interviews)

  • 홍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09-620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서울과 경기 지역 과학 교사 12명과의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학생들은 과학 선택 과목의 성격이나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안내가 미흡한 상태에서 과목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며, 자연계열 과목을 우선적으로 개설한 다음 교사 수급 및 시수 균등 배분을 고려해서 인문계열 과목을 개설하는 경향이 있어 특히 인문계열 학생의 과목 선택이 제한을 받고 있었다. 소수 희망 선택 과목의 경우, 인문계열에서는 학생들의 과목 선택에 대한 낮은 관심, 자연계열에서는 내신 산출에서 불이익 등 입시에서의 유 불리로 인하여 과목이 개설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조사에 참여한 12개 학교 중에서 계열을 통합하여 내신을 산출하는 학교는 6개교였으며, 그 밖의 6개교에서는 이수 단위, 이수 학년이나 과목명을 달리하여 계열별로 따로 내신 성적을 산출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평가에서의 제한, 별도 지도안 작성에 따른 부담 등으로 인해 계열별 학생 집단의 특성을 수업에 반영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인문 계열에서는 입시 영향이 적은 것으로 인한 낮은 학습 동기와 인문계열 학생에게 부적합한 개념 위주의 과목 성격, 자연계열에서는 대입 전형에서의 유불리와 관련한 과목 선택 편중화 등이 지적되었다.

제 7차 지구과학 교육과정과 과학관 전시 내용의 비교 분석 - 고등학교 지구과학 I, II를 중심으로 (The 7th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that is exhibited in the science museum - laying stress on high school earth science I, II)

  • 이혜정;이창진;신명경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3-33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지구과학Ⅰ,Ⅱ 교육과정의 내용 체제와 과학관의 전시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과학관이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상의 지구과학 내용이 전시되어 있는 영역이 50% 이하이고 단원별로 편중되어 있다. 둘째, 과학관의 지구과학 교육과정 반영 정도는 보통이다.(5점만점의 2.8점) 셋째, 유의수준 0.05하에서 과학관별 전시내용 평균점수는 차이가 있고, 단원별로는 차이가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