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quality pine timb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문화재용(文化財用) 목재(木材)의 수급(需給) 및 유통(流通) 실태(實態) (A Study on the Status of Supply-Demand and Procurement of the Timber for Wooden Cultural Properties)

  • 배재수;김외정;박경석;백을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126-134
    • /
    • 2000
  • 본 연구는 문화재용 목재의 수급 및 유통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화재용 목재는 문화성, 공공성, 고품질성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 특성으로 인해 일반용재에 비해 매우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98년 문화재용 목재 수요는 약 1.8만$m^3$이며, 그 중 특수재 및 특대재는 총 수요의 35.5%인 6.3천 $m^3$로 추정되었다. 문화재용 목재공급은 주로 국유림(16.7%) 및 강원도 민유림(65.7%)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며, 최근 강원도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소나무 대경목의 자원 부족으로 문화재 수리 시 외재가 일부 대체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문화재수리업자는 문화재용 목재수요는 증가할 것이나 대경재 공급은 어려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국 문화재용 목재수급을 통한 목조건축문화재의 전통을 계승하기 위해서는 소나무 대경재 생산을 목표로 한 산림경영계획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Effects of Pruning on Timber Quality of Pinus koraiensis Grown in Korea

  • Chong, Song-Ho;Jung, Doo-Jin;Park, Byung-Su;Chun, Su 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6호
    • /
    • pp.22-30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high quality timber production and efficient utilization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runing on timber quality of domestic plantation-grow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Dead knots (unsound knots) in the pruned logs occurred more at upper parts when compared with in non-pruned ones. The numbers of knots on surface in heavily pruned trees were less than those in non-pruned tre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derately pruned trees. The required period to reveal clear timber surface without defects after pruning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increase of knot diameter. The yield of clear lumber production increased by about 10% after 14 years from moderate pruning. The quality grade of log improved with more pruning practices. Knots appea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lowering the log grades.

낙엽송(落葉松), 리기다소나무 간벌재(間伐材)의 1, 2및 3면(面) 제재이용(製材利用) 시험(試驗)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Utilization of the Sawed Products by 1, 2 and 3-Sided Sawing Methods from Thinning of Japanese Larch and Pitch Pine)

  • 이춘택;강대헌;정두진;이용대;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41-48
    • /
    • 1985
  • In near future about 500,000 hectares of Japanese larch and pitch pine need thinning to improve crop-tree spacing and reasonable species composition in Korea. Although thinned trees show very little high quality wood, in fact, all the sawed products are suitable for construction and farming materials.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thinned small-diameter trees have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increase lumber yield and display the skeleton of farm building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Korean Conifers Log Grading System, log grade 3 was 87.4 percent in Japanese larch bolts and 95.8 percent in pitch pine bolts from thinned trees. The ability to identify defects was essential for grading logs. 2. Cutting diagrams of sawing were developed for 1-sided sawing, 2-sided sawing and 3-sided sawing by small end diameter class of bolt and cutting sizes also were found to use effectively lumber with wane. 3. Lumber recovery of Pitch pine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larch. The maximum lumber yields of pitch pine by sawing patterns were 87.2 percent for 1-sided sawing, 80.8 percent for 2-sided sawing an 64.1 percent for 3-sided sawing, up yield compared with 58.1 percent for 4-sided sawing. The lumber yield of 1, 2 and 3-sided sawing significantly was higher value than that of 4-sided sawing. 4. Lumber was inspected and graded. Lumber quality of diameter class 12cm was a little better than that of diameter class 8cm, but 90 percent of lumber in diameter c1ass 16cm fell into grade 3. The lumber grade was classified by Korean standard grades of confiers lumber. 5. Lumber from 1, 2 and 3-sided sawing was used to build the skeleton of a farm house ($53m^2$) and greenhouse ($60m^2$) in order to display more efficient use of small diameter trees from thinning 6. Total volume of timber for building a farm house was $8.1m^3$ of imported timber. Timber of $7m^3$, 70 percent of total volume would be substituted imported timber for domestic timber.

  • PDF

리기다소나무의 구조용 집성재 이용기술 개발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 구성을 통한 집성재의 휨성능 향상- (Development of Pitch Pine Glued Laminated Timber for Structural Use -Improvement of Bending Capacity of Pitch Pine Glulam by Using Domestic Larch Laminars-)

  • 김광모;심국보;박주생;김운섭;임진아;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3-22
    • /
    • 2007
  • 주요 조림수종으로 도입 식재된 리기다소나무의 고부가가치 이용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산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의 기계응력등급은 대부분 E7에서 E9등급으로 집성재 제조에는 다소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일수종 및 혼합수종 구조용 집성재 제조에 필수적인 리기다소나무 및 낙엽소 판재의 접착성을 평가한 결과 전단접착력, 목파율, 침지 및 삶음박리율 모두 KS기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 단일수종 집성재의 휨성능을 측정해본 결과 휨강도는 KS의 집성재 강도등급에 따른 휨성능 합격기준을 만족한 반면 휨 탄성계수는 기준에 다소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구성을 통해 리기다소나무 집성재의 휨성능(휨강도와 휨탄성계수)을 20%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층재 구성방법에 있어서는 판재의 탄성계수가 높고 품질이 우수한 낙엽송 층재를 외층에 배치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리기다소나무의 부가가치 증진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은 그 가능성이 매우 컸다.

간벌이 한국산 잣나무의 용재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inning on the Timber Quality of Pinus koraiensis Grown in Korea)

  • 정성호;정두진;박병수;전수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6-23
    • /
    • 2003
  • 간벌이 국산 잣나무 조림목의 용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잣나무 인공조림목의 양질재 생산과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강도의 간벌을 실시한 곳에서는 원목의 단위 m당 표면옹이 출현수가 감소하였고, 죽은 옹이의 비율도 감소하였으나 옹이의 크기는 커졌으며, 옹이의 상향각은 죽은옹이가 산옹이보다 컸다. 굽은 원목은 간벌을 하지 않은 곳보다 강도간벌을 실시한 곳에서 적게 출현하였고, 원주형질률은 강도간벌을 실시한 곳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상고 3.2 m 이하 부위의 원목에서 더욱 향상되었다. 무결점재면률은 무간벌구에 비해 강도간벌구에서 향상되었으며, 원목품등은 간벌을 강하게 실시한 경우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잣나무의 미래 적지적수 변화 예측 (Anticipation of the Future Suitable Cultivation Areas for Korean Pines in Korean Peninsula with Climate Change)

  • 최재용;이상훈;이상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3-113
    • /
    • 2015
  • Korean pines(Pinus koraiensis) are one of the major plantation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ir natural habitats range from Japan and China to Siberia. The seed of Korean pines, pine nuts, are well know for good food reserves. Due to the global changes which drive the Korean peninsula into the semi-tropical climate, current plantations and natural habitats of Korean pines are faced with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o some extent. To anticipate suitable sites for Korean pines in the future, the location of Korean pines were extracted from the 'Map of suitable trees on a site' that provides the map of suitable trees on a site considering tree species for timber and special uses, and then MaxEnt modelling was used for generating a prediction map on the basis of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order of predicted suitable sites were Kangwon-do, Kyungsangbuk-do and Chungcheongbuk-do provinces and sites with high elevation within those provinces were considered most suitable in common. The prediction map of suitable sites for Korean pines presented that suitable sites in the future decreased by 72.2% by 2050's and almost disappeared with a decrease of 92.1% by 2070's on a nationwide scale. In relation to the major production regions of pine nuts in South Korea - Gapyung gun and Yangpyung gun, Kyunggi province and Hongcheon gun, Kangwon province, suitable sites within their areas were predicted to increase by 2050's but become extinct in South Korea by 2070's. To establish a long-term countermeasures against the improvement on forest productivity quality in terms of managing national food security, the result from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a firm basis of predicting plantation suitability. Also, it can be used to predict the changes in supply of forest products and thereby market values in accordance with climate change scenarios.

목재의 나이테 생성 시기에 따른 DNA 추출 수율 및 PCR 성공률: 소나무(Pinus densiflora) 목재의 사례 (DNA Yield and PCR Success Rate of the Establishment Time of Wood Annual Ring: A Case Study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 김소현;이병주;안지영;이제완;이현미;어수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4호
    • /
    • pp.554-560
    • /
    • 2023
  • 불법 목재 유통을 막기 위해 DNA를 활용한 수종 및 원산지 식별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목재의 물리·화학적 특성 때문에 양질의 DNA를 얻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목재 DNA 추출 수율과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성공률에 목재 조직의 나이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주요 수종인 소나무 원목에서 DNA를 추출하여, 목재의 나이테 생성 시기와 추출 DNA 농도(ng/μl) 및 순도(A260/A280) 그리고 PCR 성공률(%)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나이테가 형성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즉 오래 전에 생성된 목재일수록, 추출한 DNA의 농도와 순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증폭 길이가 짧은 trnM-trnV(285 bp) 영역과 rpoC1(298 bp) 영역의 경우 PCR 증폭 성공률이 100 %였으나, rbcL(1.3 kb) 영역의 경우 66.67 %였고 30년보다 오래된 조직에서는 모두 증폭에 실패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재 세포의 사멸과 함께 양질의 DNA가 파괴되어 DNA 농도, 순도, PCR 성공률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목재를 활용한 수종 동정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광 불갑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Species Analysis of Wooden Elements Used in the Bulgapsa Temple of YeongGwang)

  • 박원규;남태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11-21
    • /
    • 2005
  • 영광 불갑사의 대웅전에 쓰인 목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보, 평방, 창방, 도리, 사래, 추녀, 서까래 등 총 88점을 조사하였다. 수종은 경송류(소나무류), 전나무속, 참나무(상수리나무류), 느티나무 등 4수종이 식별되었다. 기둥과 사래는 느티나무의 비율이 높았으나, 다른 부재는 경송류가 대부분이었다. 기둥과 사래의 느티나무의 비율이 높은 것은 조선후기 이전에는 소나무보다 재질이 우수한 느티나무가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개발예정지 내 자생수목 처리방법에 따른 비용 연구 (Cost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Native Tree Treatment Methods)

  • 조흥렬;김세빈;오도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1-6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fitability by selecting Pinus densiflora S. et Z. worthy of ornamental tree from among the cutting timber in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and then presents the improvements. The study site is the whole area of Oedong-eup Gyeongju city Gyeongsangbuk-do and subject trees numbers are 2,180 trees. Analysis method is cost analysis because it is used generously pubic land development. In results, at first, in case of forest development currently cutting tree costs 7.3 million Won/ha. and no profit is occurred at all. Secondly, the forward direction order of tree treatments expenses are in sawdust production, selling lumber, selling ornamental tree, and selling ornamental tree, sawdust production, selling lumbered on the aspect of profits by the selling stumpage. Especially, selling trees as ornamental tree costs 127 million Won/ha. which shows the highest profits. Third, the management of ornamental tree pine tree after transplantation from development site costs 5 times less than purchasing the same quality trees. Hence, it is recommended to re-utilize the trees from the development sites to produce a high standard gardens and it also provides the basis for the low carbon green growth society.

선진국(先進國)에 있어서의 임목육종연구(林木育種硏究)의 동향(動向) (The Trend and Achievements of Forest Genetics Research in Abroad)

  • 현신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0
    • /
    • 1972
  • 해외(海外) 선진국(先進國)에서의 임목육종(林木育種)의 실정(實情)과 기(其) 동향(動向)을 견개(見開)하고 금후(今後) 우리나라 임목육종(林木育種)의 취진(就進)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考慮) 또는 실시(實施)되어야할 사항(事項)들에 의하여 고찰(考察)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유전자(遺傳子) 보존(保存)을 위한 천연림(天然林)의 보존(保存) 선진제국(先進諸國)에서 천연림(天然林)의 이용개발(利用開發)이 성행(盛行)됨과 아울러 유전자(遺傳子)의 보존(保存)을 목적(目的)으로 하는 일부(一部) 천연림(天然林)의 지역별(地域別) 보존책(保存策)을 채택(採擇)하고 있는 실정(實情)에 비추어서 우리나라와 같이 천연림(天然林)이 거의 탕진(蕩盡)되고 있는 실정하(實情下)에서는 강송(剛松), 잣나무, 섬잣나무, 사시나무, 피나무 등(等) 자생수종(自生樹種)의 천연림(天然林)의 일부(一部)를 유전자보존림(遺傳子保存林)으로 확보(確保)하는 조처(措處)가 긴급(緊急)히 이루어져야할 일이다. 또한 우리나라 고유수종(固有樹種)에 대(對)한 천연림(天然林)의 구성(構成)과 기(其) 발달과정(發達過程)에 대(對)한 연구(硏究)도 근래(近來) 새 수단(手段)으로 등장(登場)한 isozyme의 연구(硏究)에 의(依)하여 수행(遂行)되어야 할 문제(問題)이다. 2. 수형목(秀型木) 수(數)의 증가(增加) 현하(現下) 우리나라의 수형목(秀型木) 수(數)는 기(其) 선발강도(選拔强度)가 지나치게 강(强)하였던 탓으로 그 수(數)가 소(小)하여 이에 의(依)한 채종원(採種園)은 일차조림용(一次造林用)으로는 가(可)하나 이대채종원(二代採種園)을 위(爲)한 모수(母樹)의 선택대상(選擇對象)으로는 중복선발(重複選拔)이 될 우려(憂慮)가 큰 고(故)로 선발강도(選拔强度)를 연화(軟化)하여서 기(其) 본수(本數)를 대폭(大幅) 증가(增加)시킬 필요(必要)가 있다. 3. 차대검정(次代檢定) 특수조합능력(特殊組合能力)을 강조(强調)해야 할 특별(特別)한 경우를 제외(除外)하고는 수형목(秀型木)의 풍매종자(風媒種子)에 의(依)한 차대검정(次代檢定)을 위주(爲主)로 함이 적당(適當)하다고 사료(思料)되나, 차대검정(次代檢定)의 연한(年限) 단축(短縮)을 위(爲)하여서 임목(林木)의 중요형질(重要形質)에 대(對)한 조기검정(早期檢定)에 관(關)한 연구(硏究)가 중요(重要)한 과제(課題)로서 다루어져야만 할것이다. 이와 관련(關聯)하여 zymography의 활용성(活用性) 연구(硏究)도 중요(重要)한 일이다. 4. 유전자형(遺傳子型)과 환경(環境)과의 교호작용(交互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종래(從來) 사실상(事實上) 입지조건(立地條件)이 양호(良好)한 임분(林分)에서 선발(選拔)된 수형목(秀型木)이 요박(療薄)한 임지(林地)에서도 그 우수성(優秀性)을 나타내는지의 여부(如否)를 구명(究明)하므로서 특수입지(特殊立地)를 위(爲)한 별도채종원조성(別途採種園造成)의 필요성(必要性) 유무(有無)를 하루속(速)히 구명(究明)해야하며 우리나라의 육종구(育種區)에 대(對)한 재확인(再確認)과 그 적용(適用)이 요청(要請)되는 일이다. 5. 윤엽수(潤葉樹)의 채종원(採種園) 천연림(天然林)의 구성분자(構成分子)로서 생장력(生長力)의 비교(比較)가 곤란(困難)한 윤엽수(潤葉樹)에 대(對)하여서는 외국(外國)에서 실시(實施)하는 바를 참고(參考)하여 선발목간(選拔木間)의 교잡차대(交雜次代)로서 차대검정림(次代檢定林)을 설치(設置)한후 이를 도태(陶汰) seedling seed orchard로 유도(誘導)하는 방법(方法)을 취(取)함이 가(可)하다고 사료(思料)된다. 6. 내병충성(耐病蟲性) 육종(育種) 소나무좀벌레, 솔잎흑파리 등(等) 충해(蟲害)와 낙엽송(落葉松)의 낙엽병(落葉病)과 포푸라 현병(鉉病) 등(等)은 유전자(遺傳子)에 의(依)하여 지배(支配)되는 것이 구명(究明)되고 있어 이에 대(對)한 내병충성(耐病蟲性) 육종(育種)을 계획실시(計劃實施)함을 요(要)한다. 7. 재질(材質) 특(特)히 목재비중(木材比重)에 대(對)한 육종(育種) 특(特)히 pulp 용재(用材)를 목적(目的)으로 하는 수종(樹種)에 대(對)하여서는 선진각국(先進各國)에 비추어서 목재비중(木材比重)에 대(對)한 육종(育種)의 실시(實施)가 요청(要請)된다. 8.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및 편백(Chamaecyparis obtusa)의 도입(導入) 삼나무와 편백은 현재(現在) 남부(南部) 난대지대(暖帶地帶)에 국한(局限)하여 조림(造林)하고 있으나 일본(日本)에 있어서의 양수종(兩樹種)의 조림한계(造林限界)가 예상이상(豫想以上)으로 한냉(寒冷)한 지대(地帶)까지 실시(實施)되고 있는 실정(實定)에 비추어서 상기(上記) 양수종(兩樹種)에 대(對)한 도입시험(導入試驗)을 종래(從來)보는 한냉(寒冷)한 지대(地帶)까지 확대실시(擴大實施)할 필요(必要)가 있다고 인정(認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