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pressure processing(HPP)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7초

염 함량이 된장의 초고압 살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 Contents on High Pressure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 in Doenjang)

  • 목철균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18-323
    • /
    • 2011
  • 염 함량을 달리한 된장을 초고압 처리하여 미생물 저감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된장, 특히 저염 된장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초고압기술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초고압처리에 의한 된장 미생물 사멸효과는 전반적으로 낮은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고압처리에 의한 미생물 사멸효과는 염 함량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생물 종류에 따른 초고압사멸효과는 곰팡이, 효모, 세균 순으로 낮아졌다. 염 함량 10% 이하의 저염 된장은 6500 기압에서 40 분간 초고압처리에 의해 곰팡이와 효모가 거의 사멸되었으며, 초고압처리는 저염 된장의 유통기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초고압 기술이 자작나무 수액의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elf-life extension of birch sap using high pressure processing)

  • 최경화;김순임;이동욱;전정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43-350
    • /
    • 2017
  • 초고압 공정(HPP)은 비가열 공정 중 하나로 식품 중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근래 들어 상업적으로 각광 받고 있다. 자작나무 수액은 여과 및 UV 살균과정을 거쳐 유통되지만 상업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식품공전 미생물 규격에 적합하지 않아 추가 살균처리 없이 유통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단점을 보완하고 저장유통기한을 연장하기 위해 비가열가공 살균법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HPP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최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HPP 조건을 달리 하여 63일 동안 저장하여 변화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 압력이 높고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미생물제어에 효과적이였다. 설정된 550 MPa, 120 sec의 조건으로 HPP 처리한 후 $5^{\circ}C$$10^{\circ}C$에 저장하며 미생물 및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HPP 미처리군의 경우에는 4-7일차에 급격한 미생물 증식 및 이화학 변화가 일어났지만 HPP 처리군의 경우 $5^{\circ}C$에서 45일, $10^{\circ}C$에서 28일간 저장하는 동안 일반세균, 대장균, 대장균군, 진균 모두 증식이 없어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H, 산도, 당도, 탁도 및 갈변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5^{\circ}C$에서는 45일까지 변화가 없었고, $10^{\circ}C$에서는 28일 차에서 pH 감소, 산도, 갈변도, 탁도의 증가로 급격한 변화로 24일 저장하는 것이 이화학적으로도 안정하다고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작나무 수액은 효과적인 살균처리를 하지 않으면 미생물증식, 탁도 및 갈변도 변화, 산도증가로 유통기한이 4일 이하로 저장성이 많이 낮지만, HPP 처리함으로 인해 미생물 증식을 막고 그에 따른 수액의 이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수액의 품질수명을 기존 미처리군에 비해 6배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igh pressure processing for dark-firm-dry beef: effect on physical properties and oxidative deterioration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Utama, Dicky Tri;Lee, Seung Gyu;Baek, Ki Ho;Chung, Woon Si;Chung, In Ae;Jeon, Jung Tae;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3호
    • /
    • pp.424-431
    • /
    • 2017
  • Objectiv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igh pressure processing (HPP) for dark-firm-dry (DFD) beef was conducted to observe whether HPP has any impact on physical properties and to evaluate oxidative deterioration during refrigerated storage under vacuum. Methods: The longissimus lumborum muscles obtained from Friesian Holstein steers ($33{\pm}0.5$ months old) with 24-h postmortem pH higher than 6.0 were vacuum-packed and subjected to pressurization at 200, 400, and 600 MPa for 180 s at $15^{\circ}C{\pm}2^{\circ}C$; the samples were then stored for 9 days at $4^{\circ}C{\pm}1^{\circ}C$ and compared with control (0.1 MPa). Results: HPP increased meat pH by 0.1 to 0.2 units and the tenderness of cooked DFD beef significantly with no significant effects on meat texture profile. The stability of meat pH was well maintaine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under vacuum. No clear effects were found on the activity of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however,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high pressure. HPP and storage time resulted in aroma changes and the increasing amount of malondialdehyde and metmyoglobin relative composition. Conclusion: Although the increasing amount of malondialdehyde content, metmyoglobin formation and aroma changes in HPP-treated samples could not be avoided, HPP at 200 MPa increased $L^*$ and $a^*$ values with less discoloration and oxidative deterioration during storage.

고압처리 원유로 제조한 발효유의 저장 중 유산균 수 변화와 이화학적 특성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ogurt Made with High Pressure Processing Treated Milk)

  • 안성일;정인애;정운시;주진우;김거유;전정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89-8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압처리(high pressure processing) 한 원유를 이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하고, 발효특성 및 저장 기간 물리 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고압처리 한 원유를 이용하여 발효유 제조 시 발효 초반에 유산균이 급격히 증식 됨을 확인하였으나, 발효 완료 후 총 유산균 수는 대조군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저장 기간 중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산균 수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산도 및 pH는 각 군 모두 정상적인 발효유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각 군의 점도를 대조해 본 결과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점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syneresis는 450 MPa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적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적절한 압력을 이용한 원유의 고압처리는 발효유의 물성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 분야에 관한 연구가 좀 더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Effect of High-pressure Process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Stability of Hanwoo Beef Marinated with Various Sauces

  • Kim, Yong An;Van Ba, Hoa;Dashdorj, Dashmaa;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79-692
    • /
    • 2018
  • The effects of high-pressure processing (HPP) treatmen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graded Hanwoo beef marinated with five different sauces (soy, fish, fish-soy, soy-fish and fish-soy-meat sauces) obtained from Asian countries were studied. The Hanwoo beef striploins were marinated with the aforementioned sauces (at ratio: 3:1 w/w) for 3 days at $4^{\circ}C$ before they were treated with HPP at 550 MPa for 5 min at $10^{\circ}C$. All the sauces used were equalized to a same salt level of 12.5%, and the samples marinated with a 12.5% brine solution were served as a control. After treating with the HPP, all the samples were stored for further 7 days at $4^{\circ}C$ for analyses. Results revealed that HPP treatments showed some effects on technological quality traits (pH, cooking loss and color) but had no effect on the collagen contents of the marinated beef. Noticeably, the HPP treatment led to the increases in amounts of free amino acids associated with monosodium glutamate-like taste and sweet taste in the samples marinated with fish sauce or soy-fish sauce, fish-soy sauce and fish-soy-meat sauce whereas, it only reduced these amino acids in the samples marinated with soy sauce or control. Furthermore, the total bacteria count in all the marinated beef samples treated with HPP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ose of the non-HPP-treated sample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s. It is concluded that HPP could be applied for enhancing the taste-active compounds production such as free amino acids, and improving the shelflife stability of the marinated beef.

입자 크기와 초고압 처리에 따른 유기용매와 초임계 유체 추출법에서의 대두유 추출수율의 변화 (Effects of Particle Size and High Pressure Process on the Extraction Yield of Oil Compounds from Soybean Powder Using Hexane and Supercritical Fluid)

  • 윤원병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3호
    • /
    • pp.203-208
    • /
    • 2011
  • 유기용매와 초임계유체를 사용하여 대두분말에서 지방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에서 분말화공정(분쇄)의 시간의 변화에 따른 입자도와 초고압처리에 의한 추출속도를 측정하였다. 대두분말의 입자가 작을수록 추출속도가 향상되었으면 이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전체적인 표면적이 증가하여 고-액추출에서 중요한 반응기작인 물질전달속도를 증가시켰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초고압공정을 적용 시 동일한 입자크기에서 추출속도가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이는 대두분말 내부에서 발생하는 확산현상에 대한 저항이 초고압상태에서의 변화로 감소되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초임계유출에 의한 추출은 수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나 입자의 크기가 큰 상태에서는 초고압처리를 전처리로 사용할 경우 시간당 추출량을 상당부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입자크기가 작을 경우 초고압처리가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초고압 가공이 조미오징어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on the Shelf Life of Seasoned Squid)

  • 고징유;조운운;최근표;박영범;안주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136-1140
    • /
    • 2011
  • 본 연구는 조미오징어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초고압 기술의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포장된 조미오징어를 400 MPa에서 20분간 처리한 후 초고압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과 21일간 냉장보관을 하였다. 냉장기간 동안 미생물의 생육, DMA 함량, TMA 함량, 총 BA 함량 및 효소활성을 0, 7, 14, 21에 각각 평가하였다. 미생물의 수는 초고압 처리후 대조군에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2.77 log CFU/g을 감소시켰다(p<0.05). 대조군에서 DMA와 TMA의 함량은 냉장저장 7일 후 각각 15.99 mg/g과 42.82 mg/g까지 증가되었다. 초고압 처리된 조미오징어의 효소활성은 냉장저장 7일 후 4.32 nkat/g으로 대조군(7.13 nkat/g)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그러므로 초고압의 응용은 조미오징어의 미생물학적 안전성과 저장성 향상시키기 위한 가공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고압처리에 의한 연해주 대두분말의 저장기한 중의 산패도 변화 (Effe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on the Rancidity of Yeonhaeju Soybean (Bazaz) Powder during Storage)

  • 이수복;엄병현;윤원병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3호
    • /
    • pp.209-213
    • /
    • 2011
  • 대두에서 산패취를 발생시키는 lipoxygenase 효소를 비가열 전처리 방법인 초고압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효소의 활성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초고압 처리에 의해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도 감소에 의해 대두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국산 대두와 연해주대두를 이용하여 저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국산대두의 경우 초고압 처리에 의해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도가 감소하였으나 TBA가에 영향을 주는 자동산화등의 화학반응에 의해 TBA가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연해주 대두의 경우에는 초고압 처리를 한 시료의 TBA가의 증가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연해주 대두가 항산화 성분을 국산콩에 비하여 많이 포함하고 있어 초고압 처리에 의한 lipoxygenase 효소의 불활성과 함께 항산화 성분의 영향으로 TBA가의 저장 중 증가 정도가 낮게 측정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Effects of high-pressure processing on taste-related ATP breakdown compounds and aroma volatiles in grass-fed beef during vacuum aging

  • Utama, Dicky Tri;Lee, Seung Gyu;Baek, Ki Ho;Jang, Aera;Pak, Jae In;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336-1344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observe whether high-pressure processing (HPP) affected aroma development and the degradation rate of umami taste-related ATP breakdown products, specifically inosinic acid in grass-fed beef during vacuum aging. Methods: Strip loin (longissimus lumborum) cuts obtained from six grass-fed Friesian Holstein steers (32 months old) on day 4 post slaughter were vacuum-packed and subjected to pressurization at 300 and 500 MPa for 180 s at $15^{\circ}C{\pm}2^{\circ}C$. The samples were then stored for 4 weeks at $5^{\circ}C{\pm}0.5^{\circ}C$ under vacuum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0.1 MPa). Results: HPP increased the shear force value, promoted moisture loss and lipid oxidation, induced surface paleness, stabilized pH during aging, and reduced bacterial load and growth. The shear force value of 500 MPa-treated samples remained higher than the control after aging,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300 MPa-treated samples. Degradation of inosinic acid and inosine occurred during pressuriza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hypoxanthine content. However, the degradation rate in HPP-treated samples during aging was slower; therefore, inosinic acid and inosine content remained higher than in control sampl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hypoxanthine content at the end of aging. HPP intensified the levels of hexanal, octanal,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 benzaldehyde, and 2,5-dimethylpyrazine in cooked-aged beef samples. Conclusion: HPP induced aroma development and delayed the degradation of inosinic acid. However, it also reduced the postmortem tenderization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