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oil corn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3초

고지방식이(高脂肪食餌)에 따른 흰쥐의 간장내(肝臟內) 지질함량변화(脂質含量變化)와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소견(所見) (Changes of Lipid Content and Histochemical Observation in Liver of Rats Fed High Fat Diet)

  • 이순재;박홍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2호
    • /
    • pp.113-125
    • /
    • 1984
  • 식물성고지방식이(植物性高脂肪食餌)(45%-Corn oil 식이(食餌):45%C군(群)) 및 동물성고지방식이(動物性高脂肪食餌) (45%-butter fat식이(食餌):45%B군(群))와 저지방식이(低脂肪食餌) (3%-fat식이(食餌) : 3%F군(群))를 자유섭식(自由攝食)으로 사육(飼育) 하면서 4, 8및 12주(週)에 각각 쥐를 희생하여 간중량(肝重量), 간장내(肝臟內)의 triacylglycerol (TG), cholesterol, 인지질(燐脂質)(PL) 을 측정하는 한편 간장(肝臟)의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소견(所見)등을 관찰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간중량(肝重量)의 증가는 45%C군(群)은 12주에, 45%B(군)群은 실험전기간(實驗全期間) 동안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간장내(肝臟內) TG함량 에 있어서는 45%C군(群)은 8주부터, 45%B군(群)은 실험전기간(實驗全期間)동안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45%B군(群)이 더 현저 하였다. 간장내(肝臟內) 총지질(總脂質) 및 cholesterol함량(含量)도 역시 TG와 같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PL은 식이군별(食餌群別). 사육기간별(飼育期間別)로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간장(肝臟)의 병리(病理) 조직학적(組織學的) 소견(所見)으로써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으로 관찰한 결과 3%F군(群)에서는 12주에 일부 경(輕)한 지방변성(脂肪變性)이 관찰되었으며, 45%C군(群) 에서는 8주 및 12주에서 경(輕)한 정도(程度)에서 심한 정도(程度)의 지방변성(脂肪變性)이, 그리고 45%B군(群)은 4주때에는 일부에서 경(輕) 한 지방변성(脂肪變性)이 일어나기 시작해서 8, 12주에서는 경(輕)한 정도(程度)에서 심한 정도(程度)의 지방변성(脂肪變性)이 왔다.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한 결과 실험 8주부터 45%C군(群), 45%군B군(群)에서 지방변성(脂肪變性)이 일어났다.

  • PDF

식이 중 어유의 섭취가 쥐의 혈액과 조직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sh Oil on Lipid Content of Plasma and Liver in Rats)

  • 남정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9-69
    • /
    • 1995
  • This study designed to compare the hypolipidemic e(feats of n6 linoleic acid (LA), n3 w-linolenic acid(LL) and n3 eicosapentaenoic acid(EPA) and docosahexaenoic acid(DHA) In rats fed high fat (40% Cal) diet. Male Sprague-Dawley rats fed e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which were different only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dietary fats were beef tallow (BT) as a source of saturated fatty acid (SFA), corn oil(CO) for n6 LA, perilla oil (PO) for n3 a-LL and fish oil (FO) for n3 EPA+DHA. Plasma total cholesterol (T-chol) level was increased by n6 LA but decreased by n3 LL and n3 EPA+DHA and most effectively reduced by n3 EPA+DHA. Plasma triglyceride(TG ) level was reduced by n6 LA, but lipogenesis in liver was not affected by n6 LA. However, plasma TG level was lowered by n3 LL and EPA+DHA. Both lipogenic enzyme activity and liver TG level were also decreased by n3 PUFA. PO and FO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lative Proportions of C20:5 and C22:6 of plasma and liver and lower in those of C20:4/C20:5 ratio. Overall, the lipid-lowering effect was in the order of n3 EPA+DHA >n3 LL > n6 LA and fish oil and perilla oil rich in n3 PUFA may have important nutritional application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lipidemia.

  • PDF

시중에 유통되는 식용유지 중 benzo[α]pyrene 함량 분석 (Analysis of Benzo[α]pyrene Content in Edible Oils from Korean Market)

  • 남혜정;서일원;이규은;이송영;신한승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3호
    • /
    • pp.211-215
    • /
    • 2009
  •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33종류의 식용유지를 대상으로 하여 benzo[$\alpha$]pyrene의 함량을 모니터링한 결과 압착올리브유 0.5-1.4 $\mu$g/kg, 혼합올리브유 0.6-1.0 $\mu$g/kg, 참기름 0.9-1.3 $\mu$g/kg, 대두유 0.6-3.3 $\mu$g/kg, 옥수수유 0.5-1.1 $\mu$g/kg, 해바라기유 1.2, 1.7 $\mu$g/kg, 홍화유 1.0, 2.1 $\mu$g/kg, 유지가공품 1.0, 1.4 $\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부분의 시료에는 benzo[$\alpha$]pyrene 기준치인 2.0 $\mu$g/kg를 초과하지 않았지만, 미국산 대두유와 미국산 홍화유에서 각각 3.3 $\mu$g/kg, 2.1 $\mu$g/kg로 두 종류에서 기준치 이상 검출되었다. Benzo[$\alpha$]pyrene은 식용유지로 제조되기 이전에 원재료가 오염되었거나, 가공공정, 환경으로부터 노출되는 등 노출경로는 다양하다. 정제과정인 deodorizing 과정이나, bleaching 과정에 의해서 benzo[$\alpha$]pyrene의 함량이 감소되며, 압착올리브유와 혼합올리브유의 실험결과에서 정제올리브유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올리브유의 benzo[$\alpha$]pyrene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nzo[$\alpha$]pyrene의 함량은 연기성분에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원재료를 건조시키거나, 볶는 과정에서 밀폐된 상태로 진행하는 것보다 개방된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benzo[$\alpha$]pyrene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옥수수유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미강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Rice Bran Extracts on Oxidative Stability of Corn Oil)

  • 연제영;이선미;양진우;곽지은;김영화;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513-1517
    • /
    • 2016
  • 옥수수유의 산화안정성을 알아보고자 미강 추출물을 옥수수유에 첨가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가, 공액이중산가 그리고 비타민 E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미강 추출물은 추출방법에 따라 USM(unsaponifiable matter of the rice bran), MEO(methanolic extract of the rice bran oil) 및 MEDR(methanolic extract of the defatted rice bran)로 분류한 3가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과산화물의 경우 미강 추출물 중 MEDR은 저장 9일까지 BHT의 수준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다른 추출물보다 과산화물 생성속도가 느리게 진행되어 산화안정성이 증가하였다. 공액이중산가의 경우 MEDR은 저장 12일까지는 BHT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다가 저장 15일부터 급격히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E의 경우 ${\alpha}$-토코페롤(T)과 ${\alpha}$-토코트리에놀(T3) 함량 변화는 저장 초기와 비교하여 USM은 약 85%, MEO는 약 67%, MEDR은 약 59%가 감소했지만, ${\gamma}$-T와 ${\gamma}$-T3의 함량 변화는 저장 초기와 비교하여 USM은 약 25%, MEO은 약 29%, MEDR은 약 15%로 ${\alpha}$-T와 ${\alpha}$-T3보다 감소율이 현저히 낮았다. 결과적으로 미강 추출물은 MEDR> MEO> USM 순으로 산화안정성이 증가하였으며 다산과 일품 품종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미강 추출물 중 MEDR은 천연 항산화제로 그 이용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

UV-Vis spectrophotometry법을 이용한 다양한 유지류로부터 헴프씨드 오일의 진위 판별법 (Authentication of Hempseed Oil from Different Commercial Oils Using Simple UV-Vis Spectrophotomety)

  • 이윤진;강덕경;김영민;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62-367
    • /
    • 2022
  • 대마씨의 외종피를 탈각하여 Tetrahydrocanabinol이 제거된 헴프씨드는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헴프씨드 오일은 α-linolenic acid 및 γ-linolenic acid 등의 다가 불포화 지방산 및 지용성 비타민 등이 풍부하여, 인지 기능 및 운동기능 개선, 콜레스테롤 감소, 혈관 염증 완화, 혈전 생성 억제, 신경세포 손상 방지 등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헴프씨드 오일은 여타의 식물성 유지(콩기름, 옥수수유, 올리브유, 카놀라유, 아미씨유)보다 45~140배 이상 고가로 판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TIR, FTIR-Raman, ATR-FTIR-MIR spectroscopy와 같은 고가의 장비와 전문인력에 의한 분석 없이도 헴프씨드 오일의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간편한 UV-Vis spectrophotometry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오일의 245, 305, 및 415 nm 흡광도를 측정하고, 245/415 nm 및 305/415 nm에서의 흡광도의 비를 계산하여 12.9 및 9.6이 나타나는 경우 헴프씨드 오일임을 확인하였다. 콩기름, 옥수수유, 카놀라유 및 아미씨유의 경우에는 각각 35.4~61.8 및 29.7~50.8을 나타내어 헴프씨드 오일과 쉽게 구분 가능하였다. 상기의 방법은 헴프씨드 오일에 여타의 식물성 유지류를 혼합하는 경우에도 혼합 여부 판별에 이용 가능하였다.

황기(黃芪) 목통(木通) 복합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Medicinal Herbs on Altering Body Weight and Lipid Profiles in Rats Fed High-fat Diet)

  • 주진만;김미려;석장미;이영선;박종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62-672
    • /
    • 2009
  • Obesity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creased in recent days. It has resulted in obesity-associated diseases and metabolic syndromes including hyperlipidemia,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Our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antiobese effects of mixed 2 medicinal herbs (AR+AC) in rats fed high-fat diet with an abundance of carbohydrates. Two groups of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different diets during 8 weeks: normal diet containing 5% corn oil (w/w), high-fat diet containing 10% (w/w) lard plus 5% (w/w) corn oil (HF). And High-fat diet group was treated with saline or 100 mg/kg ARAC or 300 mg/kg ARAC (PO). Antiobese effec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changes of body weight, adipose tissues weight. Also we examined levels of leptin, adiponectin and lipid profiles in serum. Finally we compared morphological change in adipocytes and hepatocytes between HF and ARAC group. Mixed combination of 2 medicinal herbs, but not alone, caused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organ weight (liver, epididymal fat, and BAT) compared with control HF group. The ARAC group had markedly lower serum levels of adiponectin when compared with HF group. Also the epididymal white adipocyte size of ARAC group were diminished comparing to the HF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of ARAC combination, as an antiobese formula, by suppression of body weight gain and increased lipid profiles.

2형 당뇨 마우스에서 솔잎 추출용액의 경구투여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il on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Levels in db/db Mice)

  • 김미정;안진홍;최강호;이윤학;우경진;홍은경;정영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21-327
    • /
    • 2006
  • 본 연구는 솔잎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생산한 솔잎 추출용액을 2형 당뇨 마우스인 db/db mice에게 투여하여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30{\sim}40g$정도의 6주령 수컷 C57BL/Ksj(BL/Ls) homozygous diabetic(db/db) mice(SPF)를 음성대조군(corn oil), 솔잎 추출용액 저용량군(112.5 mg/kg), 고용량군(450 mg/kg) 및 양성대조군(metformin 150 mg/kg)의 4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시험물질을 경구 투여하였다. 6주 사육기간 동안 혈당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매주 1회씩 6시간 공복 시 미정맥으로부터 혈당을 측정하였으며, 6주 실험종료 후 모든 동물은 희생시킨 후 복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당화혈색소(HbAlc), 혈청 인슐린, C-peptide 및 leptin 농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식이섭취량은 솔잎 추출용액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군은 섭취량의 변화가 없었고, 1일 1마리당 평균섭취량은 고용량군이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섭취량을 보였다. 체중은 군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간 무게와 상대적 간 무게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당은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실험개시 3주부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최종 혈당은 저용량과 고용량군 모두 음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용량 의존적인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당화혈색소의 함량 역시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 인슐린과 C-peptide농도는 솔잎 추출용액의 투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솔잎 추출용액이 인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혈청 leptin 농도는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음성대조군에 비해 솔잎 추출용액 투여군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혈당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의 작용기전으로 leptin과 관련된 인슐린 감수성에 영향을 미첬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사용한 112.5 mg/kg 및 450 mg/kg의 솔잎 추출용액은 6주 경구투여 시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냈으며, 인슐린의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의 작용기전이 인슐린의 감수성이나 저항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가 앞으로 솔잎 추출용액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Value of palm kernel co-products in swine diets

  • Kim, Sheena;Kim, Byeonghyeon;Kim, Younghoon;Jung, Samooel;Kim, Younghwa;Park, Juncheol;Song, Minho;Oh, Sangnam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761-768
    • /
    • 2016
  • Recently, swine production costs have increased due to increased feed cost, especially the price of corn and soybean meals. Soybean meal is traditionally an expensive ingredient, but the price of corn has dramatically increased because of increased biofuel production. This change has resulted in the swine industry looking for alternatives in order to reduce feed cost, resulting in decreased production costs. Thus, various alternatives have been used as feed ingredients to replace corn, soybean meal, or other expensive ingredients. One othercandidate may be palm kernel co-products that are a by-product of oil extraction from palm fruits. Palm kernel co-products have not been used in swine diets due to high fiber content and imbalanced amino acids compared with corn and soybean meal. However, recent studies showed that palm kernel co-products did not have any negativ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of pigs when they replaced some proportions of corn and soybean meal. In addition, palm kernel co-products may provide some physiological properties to pigs by modifying gut microbiota and/or immunity of pigs, resulting in improvement of growth and health of pigs. Therefore, the value of palm kernel co-products were review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corn, soybean meal, or other major ingredients in swine diets.

식물유(植物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 2 보(報) : 옥수수유(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 (Studies on the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ome Vegetable Oils -II. Triglyceride Composition of Corn Oil-)

  • 최수안;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6-231
    • /
    • 1982
  • 주요 식물유(植物油)의 트리-글리세리드 조성(組成)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옥수수유(油)를 시료로 하여 TLC로서 트리-글리세리드를 분리하고 HPLC에 의하여 PN별(別)로 분획(分劃)하였으며, 각 획분(劃分)을 분취(分取)하여 GLC로 acyl탄소수별(炭素水別)로 분획(分劃) 하였다. 또 PN별(別) 획분(劃分)을 GLC로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위의 3가지 방법으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 조성(組成)을 산정한 종류는 36종류이었다. 시료유(試料油)의 주요 트리-글리세리드를 들면 다음과 같다. 21.5%$(C_{18:2},\;C_{18:2},\;C_{18:1})$, 17.4%$(C_{18:1},\;C_{18:2},\;C_{18:1})$, 15.4%$(C_{18:1},\;C_{18:2},\;C_{16:0})$, 11.1%$(C_{16:0},\;C_{18:2},\;C_{18:2})$, 9.0%$(C_{18:1},\;C_{18:1},\;C_{18:1})$, 8.0%$(C_{18:2},\;C_{18:2},\;C_{18:2})$, 5.7%$(C_{18:1},\;C_{18:1},\;C_{16:0})$, 2.2%$(C_{16:0},\;C_{16:0},\;C_{18:2})$, 1.6%$(C_{18:2},\;C_{18:2},\;C_{18:2})$, 1.1%$(C_{18:2},\;C_{18:0},\;C_{16:0})$, 1.1%$(C_{16:0},\;C_{16:0},\;C_{18:1})$이었다.

  • PDF

율무에서 조명나방에 대한 몇 가지 살충제의 포장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Several Pesticides against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in Job's Tears Fields)

  • 이영수;정진교;장정희;김소희;최종윤;이현주;이상우;이영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75-281
    • /
    • 2022
  • 소면적 약용작물인 율무의 주산지인 연천에서 조명나방의 발생 양상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5종의 살충제와 3종의 유기농업 자재에 대한 포장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조명나방의 성충은 5월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10월 하순까지 총 3세대를 경과하였다. 포장시험 결과, 5종의 살충제인 novaluron, lufenuron, spinetoram, cyclaniliprole, flufenoxuron과 3종의 유기농업 자재인 CCBP (gosam extracts 90%), LT (neem extracts 60%), JT (citronella oil 30 + derris extracts 20 + cinnamon extracts 10%)는 율무에 발생하는 조명나방에 대하여 2 지역 모두에서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2배량에서도 약해가 없어 율무 전용 살충제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