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xane fraction

검색결과 982건 처리시간 0.032초

수직분사제트에서의 헥산 증기농도측정 (Hexane Vapor Concentration Measurement of a Liquid Jet in Crossflow)

  • 오정석;이원남;이종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31
    • /
    • 2010
  • 적외선 흡수법을 사용하여 액체 헥산 수직분사제트의 증기농도를 정성적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 램제트 연소기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적외선 흡수법으로 액체연료의 분열부터 기화까지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실험결과로부터 헥산 증기 몰분율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연료 공기 운동량비 변화에 대해서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에 대한 금은화의 작용 (Effect of Lonicera Japonica Flower on CCl4-induced Hepatotoxicity)

  • 박선관;최병기;이은방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0권1호
    • /
    • pp.32-36
    • /
    • 2002
  • Methanol extract of Lonicera Japonica (Caprifoiaceae) flower significantly inhibited serum GPT, GOT, LDH and AIP activities at the doses of 500 and 1,000mg/kg in $CCl_4$-intoxicated rats. As confirmed with the fiactions of hexane, chlorofo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butanol fraction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f increased activity of serum GPT, LDH and AIP in $CCl_4$-intoxicated rats, indicating that the most active components might be contained in the butanol fraction.

들기름의 산화방지 성분 분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of Perilla Oil)

  • 김충기;송근섭;권용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90-695
    • /
    • 1994
  • 들깨와 들깨 증자를 $25{\sim}28^{\circ}C$ 에서 $2{\sim}3$일간 발아시켜 얻은 발아들깨로부터 n-hexane으로 들기름을 추출한 후 이들 2종류의 틀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방지 성분을분리하고, 발아에 외한 산화방지 성분의 함량 변화가 틀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들기름을 acetone 및 methanol에 용해시켜 동결처리한 다음 분리된 불용성 획분의 산화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들기름에 존재하는 산화방지성 물질은 methanol에 용해성이 강한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들기름에서 분리된 methanol 가용성 획분을 silica gel column chmmato-graphy로 분획하여 산화방지 활성을 검정한 결과 n-hexane : ethyl acetate의 비가 7 : 3인 획분에서 가장 높은 산화방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화방지 활성이 가장 높았던 획분을 TLC로 분리한 결과 3개의 band가 확인되었다. 이중 $R_f$치 0.71인 band핀가 가장 높은 산화방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band에 존재하는 산화방지 성분은 phenol성 화합물로 추청되었다. TLC에 의하여 분리된 산화방저 성분을 다시 HPLC에 의하여 분러한 결과HPLC chromatogram상에서 4가지 활성물질 peak가 분리되었다. 이들 peak중 들깨에서는 P 1, P 2의 함량이 각각 46.5%, 25.6%이었고 P 3의 함량은 22.6%이었으나, 발아들깨에서는 P 1, P 2의 함량이 각각43.8%, 20.6%로 약간 감소한 반면 P 3 함량은 29.8%로 상당량 중가하였다. 이와 같이 HPLC 분석에서 분리된 4가지 peak중 발아에 의해 P 1, P 2의 활성물질 함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P 3의 활성물질 함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 물질외 함량 변화에 의해서도 들깨 및 발아들깨로부터 추출한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이 다르게 나라나는것으로 추청되었다.

  • PDF

산사나무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on Hawthorn Tree (Crataegus pinnatifida) Extracts)

  • 민희정;김영균;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17-326
    • /
    • 2017
  • 산사나무 목질부 및 수피부를 70% acetone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목질부는 n-hexane, chloroform ($CHCl_3$), n-butanol (n-BuOH) 및 수용성 추출물로 분획하였으며, 수피부는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EtOAc) 및 수용성으로 분획한 후, 각 추출 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및 항염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목질부에서는 n-BuOH용성이, 수피부에서는 EtOAc용성이 가장 좋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수피부 EtOAc용성은 대조군으로 사용된 buthylated hydroxytoluene (BHT) 및 ${\alpha}$-tocopherol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항염활성은 목질부 수용성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들이 nitric oxide (NO)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수피부 조추출물과 수용성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산사나무 추출물은 항산화제 및 항염제로 이용될 수 있는 천연 바이오매스 자원으로써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모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Chaenomelis Fructus Ethanol Extract)

  • 이유미;신형덕;이재준;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모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능을 검토하였다. 모과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9.23%이었고, 이를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한 수율은 water분획물이 1.5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ethylacetate 분획물 1.46%의 순이었다. 모과 에탄을 추출물의 총 flavonoid 함량은 $0.331{\pm}0.021\;mg/mL$이었고, 각 분획물의 총 flavonoid 함량은 n-hexane 분획 물이 $0.653{\pm}0.046mg/mL$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모과 에탄올 추출물의 총 polyphenol 함량은 0.279mg/mL이었고, 각 분획물중 n-hexane 분획물이 $0.712{\pm}0.017\;mg/mL$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In vitro에서 모과 분획물별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 한 결과 n-hexane 분획물이 $27.3{\mu}g/mL$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인 합성 항산화제 BHT의 $26.5{\mu}g/mL$와 유사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냈다. 또한 rancimat으로 측정한 항산화지수도 n-hexane 분획물이 BHT와 유사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도 n-hexane 분획물이 62.5%로 가장 항산화력이 우수하였다. 또한 본 연구팀은 in vivo에서 모과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관찰하였는데, 모과에탄을 추출물과 알코올을4주간 경구 투여한 후 흰쥐의 간 조직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한 결과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유리기 해독계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억제시키고, glutathione 함량은 증가시켰으며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저하시켰다. 따라서 모과는 알코올 투여로 손상된 간조직의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32). 이상의 실험결과 모과에탄올 추출물은 in vivo와 in vitro 연구 모두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모과가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Antioxidant Activity of 2,3,6-Tribromo-4,5-dihydroxy benzyl methyl ether from Symphyocladia latiuscula

  • Park Hye Jin;Chung Hae Young;Kim Jong;Choi Jae Su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1호
    • /
    • pp.1-7
    • /
    • 1999
  • Antioxidant activity of a methanol extract of Symphyocladia latiuscula was evaluated by the thiocyanate method in the linoleic acid system. The methanol extract inhibited the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MeOH extract was then sequentially partitioned with n-hexane, $CH_2Cl_2$, EtOAc, n-BuOH and H20.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actions increased in order of $CH_2Cl_2$, n-hexane, EtOAc, and n-BuOH. There was no activity found in $H_2O$ partitoned fraction by the thiocyanate method. Especially, the activities of the fractions of n-hexane and $CH_2Cl_2$ were comparable to that of 2,6-di-tert­butylhydroxytoluene (BHT). Column chromatography of the $CH_2Cl_2$ fraction over silica gel yielded cholesterol (1) and 2,3,6-tribromo 4,5-dihydroxybenzyl methyl ether (2) which were identified by instrumental analysis of MS and $^1H-$ and $^{13}C-NMR$. The latter (2) demonstrated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 PDF

단삼(Salvia miltiorrhiza) 추출물의 치주질환유발 세균의 생육억제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 (Inhibition of Growth and Collagenase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against Microorganisms Causing Periodontal Diseases)

  • 민응기;김용해;금상일;한영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1-114
    • /
    • 2004
  • 단삼(Salvia miltiorrhiza) 추출물의 치주질환유발 세균에 대한 생육저지 활성 및 collagenase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단삼 에탄올 추출물은 치주질환유발 세균에 대해 우수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유기용매 분획물중, hexane에서 생육억제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치주질환유발 세균 C. curvus, C. rectus, E. corrodens, F. nucleatum, P. gingivalis, P. intermedia 및 W. succinogenes에 대한 단삼 추출물의 최소생육저해농도(MIC)는 200,50,50,250,150,250및 200 ${\mu}g$/ml로 각각 우수한 생육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단삼 유기용매 분획물의 collagenase저해 활성은 동일 농도의 minocycline에 비해 우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hloroform분획물의 경우 88.2%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microbial Activity of Saussurea lappa C.B. Clarke Roots

  • Chang, Kyung-Mi;Choi, Soo-Im;Chung, Sophia J.;Kim, Gun-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76-380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Saussurea lappa C.B. Clarke. The ethanol extracts of S. lappa C.B. Clarke were fractionated with various solvents (n-hexane, chloroform, and n-butano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 lappa C.B. Clarke was examined by disc-diffusion and micro-dilution susceptibility assays with six food-borne pathogens, and compared to that of the synthetic antibiotics. It is found that the S. lappa C.B. Clarke ethanol extract and n-hexane fraction have strong activity against B. cereus and V. parahaemolyticus strains compared to ampicillin. The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values of hexane fraction against L. monocytogenes, B. cereus, and B. subtilis were 62.5, 250 and 500 ppm, respectively.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S. lappa C.B. Clarke may be useful as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Cytotoxic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Curcuma zedoaria

  • Kim, Myoun-Gae;Kim, Jung-Sun;Hong, Jon-Ki;Ji, Ming-Jie;Lee, Yong-Kyu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293-296
    • /
    • 2003
  • The effect of the hexane extract of Curcuma zedoaria roots and its solvent fractions were investigated on the proliferation of SiHa, SNU-1 and HepG2 cell lines. Among those fractions, final fraction H2-3-1 and H2-3-3 showed cytotoxic effect on SiHa and HepG2 cell lines. The hallmark of apoptosis, DNA fragmentation, also appeared in the final fractions H2-3-1 and H2-3-3 after 24h treatment in SiHa cell line. Furthermore, those fractions were shown to be able to induce cell death in $[^3H]$thymidine incorporation test. These two fractions, H2-3-1 and H2-3-3 were determined as (-)-$\alpha$-curcumene and $\beta$-tumerone respectively by NMR and mass spectrum. From these results, it is speculated that te hexane extract of Curcuma zedoaria is necessary for further studies as a potent inhibitor of the growth of cancer cells.

가미혈부축어탕 Hexane층의 항혈전활성과 뇌손상 보호효과 (Antithrombotic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hexane fraction of Kamihyulbuchukeotang (KHBCT) on brain injury by KCN and MCA occlusion)

  • 이민섭;노석선;임낙철;송호철;신순식;김성훈
    • 생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3-382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thrombotic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hexane fraction of Kamihyulbuchukeotang (KHCTH) on brain injury by KCN and MCA occlusion a prescription of HCT added with Lumbricus and Notoginseng Radix. Experiemental parameters are brain ischemia by MCA occlusion assay, KCN-induced brain injury, pulmonary thrombosis and platelet aggregation assa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KHCTH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duration of KCN-induced coma (67%) and mortality (80%). 2. KHCTH extracts significantly suppressed brain ischemic area and edema following MCA occlusion and protected neuron cells as compared with control data. 3. KHCTH extracts inhibited pulmonary thrombosis induced by collagen and epinephrine. 4. KHCTH extracts inhibited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collagen, ADP as agonist up to 76.9% and 32.3% respectivey at 1 mg/ml more effective than water extract of KHCT These data suggested that KHCTH could be applied as the protector of brain ischemia and injury and antithrombotic ag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