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tic lipid peroxide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초

Bromobenzene으로 유도된 간 손상 마우스에 대한 Microcluster수의 효과 (Detoxification Effect of Microcluster-Water on Bromobenzene-Induced Liver Damaged Mice)

  • 박범호;백경연;이상일;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1-297
    • /
    • 2007
  • McW의 간 해독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총 4개군 즉, 증류수급여군으로 대조군(DC)과 증류수를 3주간 섭취케 한 후 희생직전에 BB를 처리한 군(DB), McW 급여군으로는 McW 대조군(MC)과 McW를 3주간 섭취케 한 후 희생직전에 BB를 처리한 군(MB)의 4개 군으로 구분하였다. DC군과 MC군의 혈청 ALT 및 AST 활성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MB군에서는 DB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간 AH 활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한 변동이 없었으나 GST 활성은 MC군이 DC군에 비하여, MB군이 DB군에 비하여 각각 높았다. 간 조직의 LPO 함량은 DC 및 MC군이 유사하였으며, DB 및 MB군 모두 DC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율은 MB군이 DB군에 비하여 낮았다. McW의 전자공여능은 DW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 McW는 간 해독효소의 일종인 GST의 활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McW의 지속적인 섭취에 의한 항산화 작용에 의해 해독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나 추후 계속적인 연구검토가 행해져야할 것이다.

카드뮴 투여가 흰쥐 간조직의 과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dmium Dose Injection on Peroxidative Damage in Rat Liver)

  • 이순재;김성옥;최원경;조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01-607
    • /
    • 1992
  • 흰쥐에 Cd를 투여했을때 Cd 투여농도에 따라 간조직내의 과산화적 손상과 그 방어계를 관찰하기 위해서 $250{\pm}15g.$ 되는 sprague-Dawley종 수컷에 0(control), 0.625(A군), 1.25(B군), 2.5(C군), 5mg(D군) $Cd^{++}/kg$ of body wt를 24시간 간격으로 2회 투여한 후 혈청중 GOT, GPT, AL-pase 활성측정, 간조직중의 SOD, GPX, GST 활성측정과 vitamin E, glutathione 함량 및 과산화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1) 혈청 GOT, GPT 및 AL-pase는 대조군에 비해 Cd 투여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2) 간조직중의 SOD는 대조군에 비해 A군은 차이가 없었으나 B군에서 증가되었고 C, D군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3) 간조직중의 GPX, GST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Cd 투여농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4) 간조직중의 vitamin E 함량은 Cd 투여농도가 증가될수록 감소하였다. 5) 간조직중의 GSH 함량은 Cd투여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GSSG는 증가하였다. 6) 간조직중의 LPO값은 A, B, C, D 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1, 1.5, 1.8, 2.1배씩 증가되었다.

  • PDF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벤조피렌 유발 간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Hovenia dulcis Thumb Leaves Extract on Hepatic Injury Induced by Benzo(α)pyrene in Mice)

  • 박선희;장은영;장종선;윤경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69-573
    • /
    • 2009
  •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간 손상 억제 작용을 확인하고자, B($\alpha$)P 투여로 간 독성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및 관련 효소의 활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B($\alpha$)P 투여로 인해 혈청 ALT와 AST의 활성, 간 조직 중의 과산화지질 함량, cytochrome P450 함량, SOD, catalase 그리고 GSH-Px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GSH 함량과 GST 활성은 감소하였다. 반면 헛개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전 처리로 인해 ALT와 AST의 활성, 과산화지질 함량, cytochrome P450 함량 그리고 항산화 효소인 SOD, catalase 및 GSH-Px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GSH 함량과 GST 활성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헛개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은 생체 내에서 자유기로 인해 야기되는 간장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후발효 녹차가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체중과 혈청 지방함량 및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s of Post-fermented Green Tea by Monascus pilosus on the Body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the Activities of Hepatic Antioxidative Enzymes in Mouse Fed a High Fat Diet)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양승환;서주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2호
    • /
    • pp.85-94
    • /
    • 2012
  •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후 발효 녹차의 첨가식이가 고지방식이 ICR 마우스의 체중과 혈청 지방함량 및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상대조군(NC), 고지방식이대조군(HC), 비발효녹차 분말을 2% 첨가한 고지방식이군(CHA) 및 M. pilosus로 발효시킨 후발효녹차 분말을 2% 첨가한 고지방식이군(mCHA)으로 구분하여 7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은 CHA군과 mCHA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HC군에 비하여 각각 24.15 및 29.66%가 감소되었으며 식이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체중 당 간 및 신장의 중량은 CHA군 및 mCHA군이 HC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체중 당 부고환주위지방의 무게는 mCHA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 TG와 의총콜레스테롤 함량은 mCHA군에서 NC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CHA군과 mCHA군의 HDL-cholesterol 함량은 HC군에 비하여 96.55 및 119.32%가 높았다. CHA군과 mCHA군의 CHA군 및 mCHA군의 LDL-cholesterol 함량은 각각 0.67 및 0.41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GSH 함량은 HC군에 비하여 CHA군이 11.24%, mCHA군은 23.68%가 높았다. LPO 함량은 CHA군과 mCHA군이 HC군에 비하여 43.70 및 45.38%가 낮았다. CHA군과 mCHA군의 xanthine oxidoreductase D type 효소활성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18.52 및 33.33%가 감소하였으며 mCHA군은 NC군 수준으로 높았다. XOD O type 효소활성은 CHA군과 mCHA군이 HC군에 비하여 각각 16.67 및 33.33%가 높았다.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CHA군과 mCHA군이 HC군에 비하여 유의차는 없었다. mCHA군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은 HC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mCHA군의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HC군의 2.55배, CHA군의 1.5배로 높았으며 NC군과 대등하였다. CHA군과 mCHA군의 ALT 활성 HC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간 조직의 현미경 관찰결과, CHA군과 mCHA군에서는 간 세포 내 축적된 지방의 크기가 작은 포말형으로 변화되고, 이로 인해 간 세포판과 동양혈관 형성이 간 소엽단위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M. pilosus로 발효시킨 후발효 녹차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발되는 비만과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예방 혹은 경감시켜줄 수 있는 유효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Bromobenzene 간손상에 대한 Diallyl Disulfide의 예방효과 (Protective Effect of Diallyl Disulfide on the Bromobenzene-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 이상일;윤종국;허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5-192
    • /
    • 1990
  • Diallyl disulfide의 간손상 예방효과를 검토할 목적으로 mouse에 bromobenzene을 투여해 간 손상의 model을 만든 다음 실험을 행하였을 때, diallyl disulfide를 전처치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간손상의 정도가 경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diallyl disulfide의 간손상예방 효과 기전을 구명할 목적으로 bromobenzene의 활성화 및 해독 관련 효소들의 활성을 검토하였을때 활성화 효소인 aniline hydroxylase와 해독 효소의 일종인 epoxide hydrolase의 활성은 diallyl disulfide 전처치에 의해 변동이 없었으나, 나머지 해독 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은 유의 하게 증가되었고 이의 포합인자인 glutathione의 함량도 증가하였다. 또한 diallyl disulflde에 의한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 증가현상이 어떠한 기전으로 나타나는지 검토 하였을때, diallyl disulfide를 전처치 함으로서 Km치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Vmax치는 대단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시험관내에서 diallyl disulfide의 첨가농도를 증가시켰을 때에는 효소활성은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diallyl disulfide 전처치에 의한 bromobenzene이 유도한 간손상의 예방효과는 diallyl disulfide가 bromobenzene의 독성 중간 대사산물인 bromobenzene 3,4-oxide를 해독하는 glutathione S-transferase 단백의 합성을 유도함으로서 나타난 결과로 사료되어지나 이점에 대해서는 추후 계속적인 연구 검토가 행해져야 할것이다.

  • PDF

들깨유 옥수수유의 섭취가 2-Acetylaminofluorene을 투여한 쥐 간에서 소포체막의 지방산 조성과 Cytochrome P-450 함량,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illa and Corn Oil Diets on the Hepatic Microsomal Fatty Acid Composition, Cytochrome P-450 Contents,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in 2-Acctylaminofluorcne Treated Rats)

  • 김경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1호
    • /
    • pp.3-11
    • /
    • 1992
  •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dietary fat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market enzyme activites during liver damage in 2-acetylaminofluorene treated rats. Weaning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the diet of beef tallow(BT source of sturated fatty acid) corn oil(CO source of n-6 fatty acid) and perilla oil(PO source of n-3 fatty acid) at the level of 15% fat. Ten days after feeding 2-acetylaminofluorene(2-AAF)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wice every week at the level of 50mg/kg body weight for 7 weeks. Liver microsomal and cytosolic fractions were collected to determine the microsomal fatty acid composition lipid peroxide(malondialdehyde MDA) contents glucose 6-phosphatase(G6 Pase) activity cytochrome(Cyt) P-450 contents and cytosolic glutathione S-transferase(G6 Pase) activity cytochrome(Cyt) P-450 contents and cytosolic glutathione S-transferase(GST) activity.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microsomal fraction was reflected by different dietary fats. By 2-AAF treatment linoleic acids wer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diet MDA contents were higher in CO group than it was in BT group. However 2-AAF treatment decreased MDA contents in all dietary groups. G6Pase activity of BT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pus. CO group had the highest Cyt P-450 contents and 2-AAF treatment lowered Cyt P-450 contents only in CO gropu GST activites were higher in CO than in BT group whereas the enzyme activites were increased by 20AAF treatment in all dietary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fats and 2-AAF treatment in all dietary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fats and 2-AAF treatment affect microsomal fatty acid composition The enzyme activities concerned with liver damage were influenced differently by dietary fats and 2-AFF treatment Although PO diet contains much mor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an CO diet PO diet doesn't cause more oxidant stress compared with CO diet in these data.

  • PDF

급성 간손상의 실험동물 피부조직에 있어서 Oxygen Free Radical의 대사효소 활성 변동 (Change of Dermal Oxygen Free Radica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in Acute Liver Damage Induced with $CCl_4$ in Rats)

  • 채순님;전태원;윤종국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1-58
    • /
    • 1999
  • 실험동물에 있어서 $CCl_4$에 의한 급성 간손상시 피부조직의 oxygen free radical 대사효소 활성 변동을 검토하기 위해 흰쥐에 $CCl_4$와 olive oil의 동량 혼합액을 체중 100g당 0.1 ml씩 복강으로 투여하여 처치하였다. $CCl_4$ 투여로 인한 혈청 alanine aminotransferase 및 xanthine oxidase (XO) 활성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체중당 간무게 (%)및 간조직의 malondialdehyde함량 역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리고 병리조직 검사에서도 $CCl_4$투여군에서 간조직의 괴사성 병변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CCl_4$를 투여한 실험동물이 급성 간손상 모델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간손상 실험동물의 피부조직중 oxygen free radical의 생성 효소인 XO 활성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oxygen free radical의 scavenging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및 catal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세포화학적 검사에서 cerrous perhydroxide과립이 간손상 실험동물의 피부조직에서 많이 나타났다. 이상 실험결과는 $CCl_4$에 의한 급성 간손상 유도 실험동물의 피부조직에 $H_2O$$_2$의 축적이 나타나는 현상을 시사해주고 있다.

  • PDF

오미자 Schizandrin C 유도체 DDB 복합물 DWP-04가 Acetaminophen 해독계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a Schzandrin C Derivative DDB-mixed Preparation(DWP-04) on Acetaminophen Detoxification Enzyme System in the Animal Model)

  • 박희준;이명선;지상철;이경태;신영호;최종원
    • 생약학회지
    • /
    • 제36권2호통권141호
    • /
    • pp.81-87
    • /
    • 2005
  • The effects of the DWP-04 [DDB:selenium yeast:glutathione (31.1 : 6.8 : 62.1 (w/w%)] on acetaminophen detoxification enzyme system were studied in rats. Treatment with DWP-04 was prevented againt acetaminophen-induiced hepatotoxicity in rat as evidenced by the decreased formation of lipid peroxide. Effect of DWP-04 on the activities of free radical-generating enzymes, free radical scavenging enzymes and glutathione-related enzymes as well as detoxification mechanism of DWP-04 against acetaminophen-treated was investigated in rat. Activities of cytochrome p450, cytochrome b5, aminopyrine demethylase and aniline hydroxylase as free radical-generating enzymes activities were decreased by the treatment with DWP-04 against acetaminophen treated. Although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results in the significantly decrease in the level of hepatic glutathione and activities of glutathine S-transferase, quinone reductase, glutathione reductase and ${\gamma}-glutamyl-$cysteine synthetase, these decreasing effects were markedly lowered in the DWP-04-treated rat.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mechanism for the observed preventive effect of DWP-04 against the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was associated with the decreased activities in the free radical-generating enzyme system.

김천산 자두가 Streptozotocin 당뇨 유발 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ums Produced in Gimcheon on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남지운;김광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91-298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lums produced in Gimcheon area on the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Male Sprague-Dawley diabetic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diabetic control, Diabetes-low plum (containing 10% plum powder), and Diabetes-high plum (containing 20% plum powder). The animals were fed isocaloric experimental diets based on an AIN-76 diet for 6 weeks. Feed efficiency ratio (FER) of the diabetic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On the other hand, among the diabetic groups, the FER of the high plum intak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iabetic control. The liver weight per 100 g body weight of each group was similar but the liver weights tended to decrease as the amount of plum intake was increased. Kidney weight per 100 g body weight of the plum intak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at of the diabetic control. The supplementation of plums lowered the fasting blood glucose level of the diabetic groups and improved the glucose tolerance, thereby lowering the glycosylated hemoglobin index. In addition, the supplementation of plum was lowered the bloo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increased the HDL-C/TC (%) significantly, thereby lowering the atherosclerotic index (AI) and hepatic peroxide level. A steady diet of plums produced in Gimcheon may b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blood glucose level and preventing chronic diabetes mellitus.

Antioxidant Effects of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Kim, Hyun-Jeong;Lee, Sung-Gyu;Chae, In-Gyeong;Kim, Mi-Jin;Im, Nam-Kyung;Yu, Mi-Hee;Lee, Eun-Ju;Lee, In-Se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129-137
    • /
    • 2011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red ginseng (FRG) were investigated in vitro and in vivo.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in FRG extracts were $17.01{\pm}2.00$ ${\mu}g/mg$ and $18.42{\pm}3.97$ ${\mu}g/mg$, respectively. These extracts were capable of directly scavenging ${\alpha}$, ${\alpha}$-diphenyl-picrylhydrazyl free radicals.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FRG extracts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were also investigated. The activities of plasma alanine transaminase, aspartate transaminase, and ${\gamma}$-glutamyltransfera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extract administration as compared to an STZ control group. Hepatic glutathione content depleted by STZ treatm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reatment of the FRG extracts, but the elevation of lipid peroxide content induced by STZ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extracts.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decreased after STZ-treatment were recovered by the treatment of the FRG extra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RG extracts have antioxidative effets in STZ-induced diabetic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