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G2 cell

검색결과 799건 처리시간 0.037초

Selective in vitro cytotoxicity of Hypericum hookerianum towards cancer cell lines

  • P., Vijayan;S., Vinod Kumar;Badami, Shrishailappa;PK, Mukherjee;SA, Dhanaraj;B., Suresh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3호
    • /
    • pp.141-146
    • /
    • 2003
  •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aerial parts, leaves and stem of Hypericum hookerianum were tested for in vitro cytotoxicity on selected normal and cancer cell lines and anti tumor activity using DLA cells. Cell viability and morphological changes were assessed. Among the three extracts tested, the stem extract of Hypericum hookerianum showed potent cytotoxicity against HEp-2 and RD cell lines. The $CTC_{50}$(concentration required to reduce viability by 50%) of this extract was found to be $2.02\;{\mu}g/ml$ for RD cell line, $10.25\;{\mu}g/ml$ for HEp-2 cell line and $100.06\;{\mu}g/ml$ for Vero cell line. In the clonogenic assay, no colony formation was observed up to a concentration of $100\;{\mu}g/ml$. In the short term cytotoxicity studies using DLA cells, 50% viability was observed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50-100\;{\mu}g/ml$ for aerial parts, $100-200\;{\mu}g/ml$ for stem and more than $200\;{\mu}g/ml$ for leaf extracts of Hypericum hookerianum. In the long-term activity using HEp-2 cell line, no colony formation was observed over a concentration of 200 mg/ml for the stem extract. Hypericum hookerianum stem extract was fractionated into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methanol soluble fractions. The petroleum ether and chloroform soluble fractions showed higher cytotoxic activity against HEp-2 cell line when compared to the other two fractions. The methanol stem extract of Hypericum hookerianum has the potential for further investigation in animal models to determine its anti-tumor activity and to identify its active principles.

쑥부쟁이 분획물의 in vitro 암세포증식 억제 및 QR 유도효과 (Inhibitory Effects on Cell Survival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y of Aster yomena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s)

  • 정복미;임상선;박윤자;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2
    • /
    • 2005
  • 본 연구는 약용 및 식용 식물로 사용되고 있는 쑥부쟁이 추출물과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와 QR유도 효과를 실험하였다. 쑥부쟁이의 metanol 추출 및 용매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3종의 인체 암세포주, 간암세포주인 HepG2,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 및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 모두 쑥부쟁이의 ethyl ether 분획층인 AYMEE층과 ethyl acetate 분획층인 AVMEA층에서 암세포 성장 저지 효과가 제일 컸다. 특히 HepG2 세포주에서 는 AYMEE를 200 $\mu$g/mL 첨가시켰을 때 94.5%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그 효과가 커져 500 $\mu$g/mL에서는 97.7%의 저지 효과를 보였다. MCF-7 세포주와 HeLa 세포주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Butanol층인 AYMB와 메탄올층인 AYM에서는 대체적으로 낮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약하였으나 300 $\mu$g/mL 이상에서는 높은 암세포 성장저지 효과를 보였다.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암예방 지수인 QR 유도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hexane 분획층, AYMH에서 QR 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Parthenolide-Induced Apoptosis, Autophagy and Suppression of Proliferation in HepG2 Cells

  • Sun, Jing;Zhang, Chan;Bao, Yong-Li;Wu, Yin;Chen, Zhong-Liang;Yu, Chun-Lei;Huang, Yan-Xin;Sun, Ying;Zheng, Li-Hua;Wang, Xue;Li, Yu-X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4897-4902
    • /
    • 2014
  • Purpose: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s and underlying mechanisms of parthenolide on HepG2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Materials and Methods: Cell viability was assessed by MTT assay and cell apoptosis through DAPI, TUNEL 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Monodansylcadaverin(MDC) and AO staining were used to detect cell autophagy. Cell proliferation was assessed by Ki67 immunofluorescence staining. Results: Parthenolide induced growth inhibition in HepG2 cells. DAPI and TUNEL staining showed that parthenolide could increase the number of apoptotic nuclei, while reducing the expression of the anti-apoptotic protein Bcl-2 and elevating the expression of related proteins, like p53, Bax, cleaved caspase9 and cleaved caspase3. Parthenolide could induce autophagy in HepG2 cells and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roliferation-related gene, Ki-67. Conclusions: Parthenolide can exert anti-cancer effects by inducing cell apoptosis, activating autophagy and inhibiting cell proliferation.

인간 간암세포주 HepG2에서 heme oxygenase-1 발현에 대한 diallyl disulfide의 효과 (Effect of Diallyl Disulfide on Heme Oxygenase-1 Expression in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 김강미;이상권;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046-1051
    • /
    • 2011
  • Dially disulfide (DADS)는 마늘의 주요한 유기 황화합물 성분으로서 다양한 약리 작용을 나타낸다. 최근 DADS가 항염증과 항동맥경화 작용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사멸을 유도한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고, 이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DADS가 세포 내 항산화 인자인 glutathione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와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의 일종인 HO-1의 발현을 직접 유도한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DADS의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HO-1의 발현에서의 효과 및 그 전사인자들의 작용에 관여하는지를 인간 간암세포주 HepG2에서 조사하였다. 배양 중인 HepG2 세포에서 DADS는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세포의 증식을 크게 억제하였고, 전사인자 Nrf2의 발현을 약하게 유도하였으나 HO-1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ADS는 HO-1 유도제인 CoPP와 hemin에 의해 자극된 HepG2 세포의 HO-1 발현의 증가를 단백질 수준에서 강력하게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DADS는 CoPP에 의한 HO-1 유전자의 mRNA 수준의 전사에는 억제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한 Nrf2와 small Maf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핵 내에 축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DADS는 단독으로 HO-1 발현을 유도하지 못하고, HO-1 유도제에 의한 HO-1 유전자의 발현과정에서는 전사단계가 아닌 번역단계에서 역할을 함으로써 HO-1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항산화 효소인 HO-1의 활성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사멸에 저항하게 하는데, DADS는 인간 간암세포주 HepG2에서 이 효소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 및 redox 변화에 따른 암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나트륨 옥소 공동수송체 유전자와 녹색 형광 유전자의 이중 리포터 유전자를 발현하는 간암세포주 확립 (Establishment of a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Expressing Dual Reporter Genes: Sodium Iodide Symporter (NIS) and Enhanced Green Fluorescence Protein (EGFP))

  • 곽원정;구본철;권모선;이용진;이화영;유정수;김태완;전권수;천기정;이상우;안병철;이재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3호
    • /
    • pp.226-233
    • /
    • 2007
  • 목적: 광학과 핵의학 및 자기공명 분자영상 기술은 생체내에서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을 비침습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가지 이상의 유전자 발현을 영상화 할 수 있는 복합분자영상은 유전자의 발현과 유전자 치료 후 효능의 평가를 다양한 방법으로 반복하여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핵의학 영상이 가능한 NIS와 광학 영상이 가능한 EGFP 두가지 유전자를 동시에 발현하는 HepG2-Retro-PNRGW (PGKp-NIS-RSVp-EGFP-WPRE) plasmid를 이용한 간암 세포주(HepG2-NE)를 구축하고, NIS와 EGFP 리포터 유전자의 기능 발현을 체내에서 광학영상과 핵의학 영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pcDNA-NIS로 부터 NIS 유전자를 분리하여 pRetro-PN vector를 만든 후, pLNRGW (LTR-NeoR-RSV-EGFP-WPRE)로부터 RSV-EGFP-WPRE 조각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NIS와 EGFP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할 수 있는 pRetro-PNRGW vector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vector를 이용하여 Retro-PNRGW retrovirus를 생산하였으며, 이를 HepG2 세포에 감염시켜 HepG2-NE 세포주를 만들었다. 이 세포주의 NIS 유전자의 발현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mRNA 발현을 확인하였고, EGFP 유전자의 발현은 형광현미경을 통하여 EGFP 단백질이 발현하는 녹색형광을 관찰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이중 리포터 유전자 중 NIS 유전자의 기능은 세포에서 방사능 옥소의 섭취량과 유출량의 측정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세포를 누드마우스에 이식하여 형광 영상, I-123을 이용한 감마카메라 영상과 I-124를 이용한 소동물용 PET 영상을 획득하였다. 결과: NIS와 EGFP의 이중 리포터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HepG2 세포주가 성공적으로 만들어졌다. 세포의 약 50% 정도가 형광 현미경 아래에서 관찰되었다. NIS 유전자의 발현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고, NIS가 발현된 세포의 방사능옥소 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약 9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방사능옥소 유출량 실험에서는 약 9분에 반 정도의 옥소가 유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축된 세포주를 이식한 후 획득한 형광 영상, 감마카메라과 소동물용 PET 영상에서는 반대쪽의 대조군 세포를 이식한 것에 비하여 뚜렷한 형광신호가 보였고, 더 높은 방사능옥소 섭취가 확인되었다. 결론: NIS와 EGFP의 이중 리포터 유전자를 가지는 간암 세포주가 성공적으로 구축되었고, 소동물에서 두 유전자를 각각 치료용 리포터 유전자와 영상 리포터 유전자로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HY253, a Novel Decahydrofluorene Analog, Induces Apoptosis via Intrinsic Pathway and Cell Cycle Arrest in Liver Cancer HepG2 Cells

  • Choi, Ko-woon;Suh, Hyewon;Jang, Seunghun;Kim, Dongsik;Lee, Chul-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3호
    • /
    • pp.413-417
    • /
    • 2015
  • Recently, we isolated HY253, a novel decahydrofluorene analog with a molecular structure of 7,8a-divinyl-2,4a,4b,5,6,7,8,8a,9,9a-decahydro-1H-fluorene-2,4a,4b,9a-tetraol from the roots of Aralia continentalis, which is known as Dokwhal (獨活), a traditional medicinal herb. Moreover, we previously reported its cytotoxic activity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human lung cancer A549 and cervical cancer HeLa cells. The current study aimed to evaluate its detailed molecular mechanisms in cell cycle arrest and apoptotic inductio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Flow cytometric analysis of HepG2 cells treated with $60{\mu}M$ HY253 revealed appreciable cell cycle arrest at the G1 phase via inhibition of Rb phosphorylation and down-regulation of cyclin D1. Furthermore, using western blots, we found that up-regulat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s, such as p21CIP1 and p27KIP1, was associated with this G1 phase arrest. Moreover, TUNEL assay and immunoblottings revealed apoptotic induction in HepG2 cells treated with $60{\mu}M$ HY253 for 24 h, which is associated with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chondria, via down-regulation of anti-apoptotic Bcl-2 protein, which in turn resulted in activation of caspase-9 and -3, and proteolytic cleavage of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Accordingly, we suggest that HY253 may be a potent chemotherapeutic hit compound for treating human liver cancer cells via up-regulation and activation of the p53 gene.

HepG2 인체간암세포의 세포주기조절인자 발현에 미치는 sulforaphane의 영향 (Modulation of Cell Cycle Regulators by Sulforaphane in Human Mepatocarcinoma HepG2 Cells)

  • 배송자;김기영;유영현;최병태;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235-1242
    • /
    • 2006
  • 브로콜리를 포함한 십자화과 식물에서 glucoraphanin의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되는 isothiocyanate의 일종인 sulforaphane은 역학적 조사를 포함한 다양한 선행 연구에서 강력한 암예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암효과에 관한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sulforaphane은 다양한 인체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정확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sulforaphane의 항암작용 기전을 조사하기 위하여 HepG2 인체간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sulforaphane의 영 향을 조사하였다. Sulforaphane의 처리에 의한 HepG2 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적 변형은 세포주기 G2/M arrest 및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RT-PCR 및 Western blot 분석 결과, sulforaphane 처리에 의하여 cyclin A 및 cyclin B1, Cdc2의 발현이 단백질 수준에서 선택적으로 저하되었으며, 종양억제 유전자 p53 및 Cdk inhibitor p21의 발현은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sulforaphane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Sulforaphane의 항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부가적으로 필요하겠지만, 본 연구의 결과들에 의하면 sulforaphane은 강력한 인체암세포의 증식 억제 및 항암작용이 있을 것을 시사하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인삼과 계피 혼합물에 의한 in vitro에서 암세포 증식억제의 상승 효과 (Synergistic Effect of Panax ginseng and Cinnamoum Blume Mixture on the Inhibition of Cancer Cell Growth in vitro)

  • 정화령;이지영;김동청;황우익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99-104
    • /
    • 1999
  • 인삼과 계피 추출물의 인체 직장암 세포(HT-29), 인체 간암 세포(HepG2)및 인체 결장암 세포(HRT-18)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확인하였다. 암세포의 배양액에서 인삼 추출물 또는 계피 추출물의 효과는 농도에 비례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세포증식의 억제 정도는 인삼과 계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첨가한 것보다 병용하여 첨가한 경우 현저한 상승 효과를 나타내어, 낮은 인삼 농도에서도 HT-29, HepG2및 HRT-18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심지어는 사멸시켰다. 인삼과 계피의 혼합물은 세포주기 중 G1 단계에서 S단계로의 진행을 지체시킴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ytotoxic Effect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Water Extract on HepG2 Hepatoma Cells

  • 김진경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3-260
    • /
    • 2011
  •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extract has been known to have therapeutic effects, such as anti-inflammatory, hepato-protective, anti-oxidant and anti-tumor effect.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Chaga extract on the cytotoxic actions of cisplatin in HepG2 hepatoma cells. The viability of the HepG2 cells was decreased to 10% at 3 ${\mu}M$ cisplatin and to 20% at 500 ${\mu}g$/ml Chaga extract as measured by the MTT assay. The viability of HepG2 cells co-treated with cisplatin (3 ${\mu}M$) and Chaga extract (500 ${\mu}g$/ml) was decreased to 50% in compared with the control cells. The cytotoxicity of two drugs was revealed as apoptosis characterized by the chromatic condensation, nuclear fragmentation and the cleavage of pro caspase-3 in HepG2 cells. Also, the cells treated with combination of two drugs showed synergistically the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increase of intracellular ROS level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cisplatin and Chaga extract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in HepG2 cells and has more potential anti-tumor effect than cisplatin alone.

Stigmalactam from Orophea Enterocarpa Induces Human Cancer Cell Apoptosis Via a Mitochondrial Pathway

  • Banjerdpongchai, Ratana;Wudtiwai, Benjawan;Pompimon, Wilar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3호
    • /
    • pp.10397-10400
    • /
    • 2015
  • Stigmalactam, an aristolactam-type alkaloid extracted from Orophea enterocarpa, exerts cytotoxicity against several human and murine cancer cell lines, but the molecular mechanisms remain elusiv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mode and mechanisms of human cancer cell death induced by stigmalactam employing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and human invasive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as models, compared to normal murine fibroblasts. It was found that stigmalactam was toxic to HepG2 and MDA-MB-231 cells with $IC_{50}$ levels of $23.0{\pm}2.67{\mu}M$ and $33.2{\pm}4.54{\mu}M$, respectively, using MTT assays. At the same time the $IC_{50}$ level towards murine normal fibroblast NIH3T3 cells was $24.4{\pm}6.75{\mu}M$.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was reduced in stigmalactam-treated cells dose dependently after 4 h of incubation, indicating antioxidant activity, measured by using 2',7',-dichlorohydrofluorescein diacetate and flow cytometry. Caspase-3 and caspase-9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a dose response manner, while stigmalactam decreased the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dose-dependently in HepG2 cells, using 3,3'-dihexyloxacarbocyanine iodide and flow cytometry, indicating mitochondrial pathway-mediated apoptosis. In conclusion, stigmalactam from O. enterocarpa was toxic to both HepG2 and MDA-MB-231 cells and induced human cancer HepG2 cells to undergo apoptosis via the intrinsic (mitochondrial) path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