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promotion policy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29초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행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Health Status of for the Elderly on Oral Health-Related of life Quality)

  • 박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271-28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검증을 통해 노인의 구강보건행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구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365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1일부터 1개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신체적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의 3개 구성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신체적 기능에는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강 관심도, 저작능력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기능에는 성별,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강 관심도, 저작능력, 정기적 구강검진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기능에는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저작능력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구강보건행태는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만족스럽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구강건강 관련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저하 측면 모두가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저하 문제에 대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준비가 필요하지만, 정책적 제도가 체계화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노인전문 구강보건 준비대책의 필요성과 그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수립이 다각적으로 접근되어져야 할 것이다.

포용적 생활 SOC 정책 추진을 위한 공원결핍지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Index of Park Derivation to Promote Inclusive Living SOC Policy)

  • 김용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8-40
    • /
    • 2019
  • 지역 및 인구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생활 SOC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용도시 정책에 대한 논의가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추진을 위한 대안적 지표로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제안하고, 이를 7대 광역시에 적용해 공원 정책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도시와 공원기능에 대한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개념을 "노인, 어린이, 저소득층, 폭염 미세먼지 등의 환경 재난 재해 취약계층 등 사회경제 및 환경적 지위가 낮은 지역 및 인구집단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양질의 공원서비스를 공급 관리하는 정책"이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했다. 둘째, 공원서비스 수준, 인구구조 특성, 경제 및 교육 수준, 건강 수준, 환경적 취약성 등 5개 부문의 17개 변수를 종합하여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개발했다. 공원결핍지수를 구성하는 변수들은 체육시설, 어린이집, 유치원, 공공도서관 등 공원 외의 생활 SOC 정책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7대 광역시 1,148개 읍면동 지역에 공원결핍지수를 적용한 결과 광역시별 공원서비스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들이 도출되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동,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1동,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1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울산광역시 북구 농소3동이 지역별 공원 정책필요도 1순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지자체가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는 통계 및 지리정보 데이터에 기반해 포용적 도시 공원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대안적 지표를 제안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장기요양보호사 양성프로그램 참가자들이 인지한 직업특성 및 대상자 특성 (The Perceived Occupational and Clients' Natures by the Participants of the Long-term Care-services Providers' Education in Korea)

  • Auh, Seong-Yeon;Paik, Sun-Ah;Kim, Eun-Joo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1-61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 수료생들을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업무 인지와 요양보호서비스 대상자 인지 정도를 예측변인들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직업의 전문성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방법: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식질문지법'을 이용하였고 불성실 응답 및 다문항 미기재 설문지를 제외한 총 2백8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관련요소들의 기술적 통계를 통해 요양보호사 업무에 대한 인지 정도 및 서비스 대상자의 특성에 대한 인지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위 두 변수와 관련 요소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어떠한 요소가 요양보호사 업무에 대한 인지 정도 및 서비스 대상자의 특성에 영향력을 갖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단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요양보호사 업무 인지에 관한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요양보호사는 전문직업이다(${\beta}$=.300)와 업무 특성에 관한 지식을 갖고 있다(${\beta}$=.254)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요양보호서비스 대상자 특성에 관한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로 가족들의 지지(${\beta}$=.187)와 요양보호사 업무인지 정도(${\beta}$=.509)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기한 요양보호사 업무에 대한 인지정도 및 서비스 대상자 특성에 영향력을 갖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건설공사 안전점검대가의 적정성에 대한 정책적 고찰 - 산업안전보건법을 중심으로 - (Policy Study on Appropriateness of Safety Check Costs in Construction Projects - Focusing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

  • 김병철;이동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747-757
    • /
    • 2017
  • 안전점검과 관련된 규정 중 '건설기술진흥법'과 '시설물의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은 건설공사 시 안전에 관한 내용의 기술과 동시에 유지관리 측면에서의 안전점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건설산업의 사고예방을 담당하고 있다. 실질적인 근로자의 안전 확보를 담당하고 있는 규정이면서, 고용노동부의 안전점검과 관련된 유일한 규정이라 할 수 있는 '산업안전보건법 제32조 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의 지도기준'과 '건설업산업안전 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따라 건설공사 착공시 관련 기관은 계약과 동시에 준공 시까지 안전점검을 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발주기관에 따라 관리 정도의 편차가 심하여 소규모 민간 발주 공사현장은 안전점검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부규정도 없어 안전점검 대가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안전점검의 현황을 조사하여 공사금액별 구분 비교하고 적정한 대가를 각각의 건설 관련 법에 근거하여 산출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세부 규정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신중년세대와 노인의 청력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Effects of Hearing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New Middle Age and Elderly)

  • 오지영;김석환;김한성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4
    • /
    • 2019
  • Objectives: There are few studies which reflects of each generation's own features, of the New Middle Age and the Elderly's hearing status and their quality of life even though the population of old age has been weighted as baby boom generation's entering into old ag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new middle age and the elderly's hearing status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to prepare the customized health policies for their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improvement as well as the base line data for hearing enhancement programs. Method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data of the 7th term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the Disease Management headquarters. Out of 8,150 adults over the age of 50 who participated in the hearing test, 3,306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At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correlation of hearing status and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New Middle Age and the Elderly, it was confirmed that hearing loss affects low quality of life. The average of quality of life between the New Middle Age and the Elderly was 0.95 and 0.85 each, resulting in higher quality of life in New Middle Age than in the Elderly.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New Middle Age were the level of the education, household income, the type of health insuranc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ere gender, the type of health insurance, subjective health status. Conclusion: Hearing loss of the New Middle Age and the Elderly affects their low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the provision of policy program is needed, so as to maintain and manage hearing through age-specific health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econd half of the New Middle Age's life will be much happier, if not taking the treatment-oriented approach of hearing loss only but strengthening the education needed for the maintenance and the management of healthy hearing at their work place, where 50 and 60 generations' workforce has been increased.

사업장 보건관리의 어려움과 성공전략에 대한 질적 고찰 (A Qualitative Review of the Difficulties and Success Strategies of Workplace Health Management)

  • 정명희;최은희;정혜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925-935
    • /
    • 2020
  • 본 연구는 사업장 보건관리자의 우수한 보건관리 활동과 동기를 파악하여 추후 보건관리자의 활동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5년 이상 동일한 사업장에 근무한 사업장 보건 관리자 21명을 대상으로 연구에 대한 동의를 얻은 후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이메일로 보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응답한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17개의 범주와 3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보건관리자로서의 보람과 성취감, 보건관리자로서의 어려웠던 부분, 어려움은 이렇게 해결하자 이었다. 보건관리자는 근로자가 마음을 열어주고, 생활을 변화시키기며, 감사해 하며,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것에 보람과 성취감을 느낀다고 하였다. 반면, 예측할 수 없는 건강, 조직문화의 변화, 질병을 비밀화하는 것, 보건관리자 업무가 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근로자의 마음을 읽어주고, 스스로 알게 하며, 기존 프로그램을 활용하며, 가장 어려운 사람을 내 편으로 하며, 자신의 성과를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보건관리자는 자신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하여 노력하고, 건강관리 성과를 지속적으로 알려 사업장의 정책결정자와 근로자들에게 보건관리의 중요성을 설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우수한 보건관리자의 성공전략을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해야 할 것이다.

한국노인의 가공의치 보철장착실태 및 필요도: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2010-2012) (Partial Denture Prosthesis Implant and Necessity Thereof in Korean Elderly :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5th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2010-2012))

  • 윤현경;이종화;이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467-479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가공의치 보철장착실태 및 필요도를 분석함으로써 노인 구강보건정책에 관련 논의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65세 이상 노인 4,557명을 대상으로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 복합표본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상 하악 보철물상태 및 상 하악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에서 연령이 증가 할수록, 농촌지역 일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총의치 장착 및 필요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고정성필요에서는 소득, 주관적 건강상태가 관련성이 있었고, 틀니필요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구강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구강보건정책과 함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교육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서울시교직원의 피로요인 탐색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Fatigue Related Factors among School Personnelin Seoul by Data mining)

  • 이희우;신선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9-88
    • /
    • 2006
  • Purpose :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personnel with recent fatigue which was the most frequent symptom among subjective symptoms and to explore fatigue-related factors by evaluating physical and perceived health status, life style, and symptoms through data mining techniques. Methods : We collected a data of the 1,147(male 545, female 602) who were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personnel, answered a questionnaire, and received physical examination in Seoul School Health Center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00. And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fatigue group and non-fatigue group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health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symptoms, and laboratory values by frequency, chi-square test, t-test, or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SAS package 8.1, and then selected significant variables as input variables of a decision tree analysis of CART model by SAS E-miner. Results : I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atigue consisted of 41.1%(male 35.2%, female 46.4%) among 1,147 school personnel. In classical statistics, factors related with fatigue were female, lower means of systolic and diastolic pressure, young age, personnel in middle school, irregular eating habit, no exercise a week or less than 30minutes exercise a day, perception of unhealthy status, and subjective symptoms including short of breath at exercise. In simple logistic regress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s and fatigu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odds ratio of gender (female vs male) was 1.58 times, and young age ( 20s vs 60s) 20.67 times, and middle vs high school personnel 1.86 times. However, we mined combined several characteristics by SAS-E miner. In CART model, if health perception was healthy, and age was >= 37.5 years, the proportion of the fatigue was only 19.3%. but if health perception was not healthy and symptom was severe 'short of breath' during exercise and age was < 53.5 years, and BMI was >= 22.69, the proportion of the fatigue was up to 84.8%. Conclusions : The fatigue consisted of 41.1%(male 35.2%, female 46.4%). In classical statistics, fatigue-related factors among school personnel were young age, female gender, perceived unhealthy status, subjective physical symptoms, poor life-style, and lower blood pressure rather than only physical health status. However, in data mining, if health perception was healthy and age was >= 37.5 years, the proportion of the fatigue was only 19.3%. but if health perception was not healthy and symptom was severe 'short of breath' during exercise and age was < 53.5 years, and BMI was >= 22.69, the proportion of the fatigue was up to 84.8%.

거동불편노인과 자가 활동 가능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비교 - GOHAI 군집화를 활용하여 - (Comparison of Oral Health Related Living Quality of the Elder with Physical Debilities & Ones Capable of Living at Homes (Using GOHAI Grouping))

  • 박남규;고영규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3-281
    • /
    • 2012
  •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elderly of 65 years and over with physical debilities and ones capable of living at home residing in Jeju Special Self-Government Province to compare and analyze dem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influencing on oral health related living quality. And also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public medical policies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to increase oral health related living quality of the elder. Methods: The elderly of 65 years and over living in Jeju Special Self-Government Province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from 7 February 2011 to 18 April and interview results of a total of 220 subjects were analysed for this study. Results: Current status of the elderly including ones with & without physical debilities influenced functional limitation and behavioral aspects of GOHAI criteria used in this study. The elderly with physical debilities experienced less limitation in food chewing and swallowing, and pronunciation than ones capable of living at home. On the analogy of the previous study(by Park, N. G., 2010) in which oral health related quality and satisfaction of life of the elderly with physical debilities were different due to their physical, circumstantial and psychological limitations, the former's oral health conditions are worse than the ones capable of living at home and because of medical care accessability limitation they suffer from deteriorated oral condition. By the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on the living quality relating to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with physical debilities and ones capable of living at home, 2 factors, age and living area, were meaningful factors commonly influencing on the oral health related living qualities of both. The elderly of 75 years and over were more affected by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of oral health related living quality than the ones of 65-74 years, and the ones living in country suffered from functional limitations, pains and discomfort more than ones in city. Additionally, being different from the elderly capable of living at home, the ones with physical debilities were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average monthly income and medical security type. Conclusion: Improvement of programs and systems to increas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needs to be carried out preferentially for the elderly of 75 years and over, and dwelling in country.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y of paying the denture insurance allowance in 2012 need effective planning considering the elderly's current status, age, living area, medical security type.

헌혈자의 헌혈기록정보의 인식도 및 만족도 연구 (The Study of Health Information o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ir Blood Donation)

  • 최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05-415
    • /
    • 2014
  • 본 연구는 헌혈 참여자들의 헌혈에 대한 지식과 인식 및 만족도,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홍보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헌혈인구의 확대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3월 9일부터 3월 24일까지 16일간이었고, 자료의 수집방법은 설문조사로 총 700부를 배포하여 63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t-test, ANOVA를 시행한 결과 첫째, 남성, 20~29세의 범위 연령층에서, 학생, 대졸이상의 집단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둘째, 헌혈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는 모른다는 내용이 많았으며, 만족도는 헌혈행위에 대한 만족보다는 헌혈과 관련된 서비스 만족도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헌혈 홍보에서는 홍보교육이 필요하며 홍보매체와 수단으로는 TV, 거리광고, 전철광고 방법 순의 결과를 보였으며 지속적인 헌혈을 위하여 헌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헌혈인구 확대를 위해서는 헌혈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홍보를 통하여 대국민 인식변화를 유도하고 헌혈자에 대한 다양한 보상 이벤트제공 등으로 헌혈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