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ing narrativ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치유적 모빌리티로서 서울 한양도성길 걷기 (Walking along Seoul City Wall as Therapeutic Mobilities)

  • 박향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09-125
    • /
    • 2016
  • 인간의 삶에서 치유는 떼어낼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최근 치유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이를 위한 공간, 장소, 나아가 이동에 대한 지리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서울 한양도성길 낙산구간 걷기를 사례로 걷기의 과정에서 어떠한 치유요소가 작용하며 그 지리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치유적 모빌리티' 개념과 틀을 바탕으로 181건의 블로그 텍스트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고 치유요소들을 분류한 결과, '기상 기후', '걷기 산책', 그리고 '야경'이 주요 요소로 분석되었다. 또한, 치유의 걷기 과정을 주요 요소들을 다룬 블로그 내러티브 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치유의 장소만들기, 제한요인으로서 시간, 야경 속 사회적 신체라는 지리학적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 PDF

<힐링캠프>, 사운드적 서사의 등장과 그 함의 ([Healing Camp], Appearance of Sound Narrative and it's Implication)

  • 홍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81-87
    • /
    • 2013
  • SBS <힐링캠프>의 배경음악과 음향효과는 다른 오락 프로그램과는 매우 차별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 착목하여, 실제 프로그램에서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 지 내용분석을 통해서 분석했다. 분석결과 <힐링캠프>는 다른 오락 프로그램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양을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즉, 전체 텍스트에서 음악과 음향효과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힐링캠프>의 배경음악과 음향효과는 동어반복적인 정보제공적 기능, 다양한 의미 중에 한 가지를 선택하여 강조하는 감정고조 혹은 정박의 기능, 텍스트에 나와 있지 않은 이야기를 풀어가는 서술 혹은 중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텔레비전 자막이 수행하던 기능을 음악과 음향효과가 그대로 이어받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음악과 음향효과의 활용이 시청자의 관심을 끌고 주의를 집중시켜 시청률 상승의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 예상되지만, 다른 오락프로그램과는 달리 매우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활용을 통해서 오락프로그램 서사의 새로운 차원을 열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홀로코스트' 서사의 한계와 스미스의 『거울 속에 반영된 분노』에 제시된 치유 서사의 가능성 (The Limitations of Holocaust Narratives and the Possibility of Healing Narratives Suggested by Smith's Fires in the Mirror)

  • 정순국
    • 비교문화연구
    • /
    • 제43권
    • /
    • pp.377-404
    • /
    • 2016
  • 본 논문에서 필자는 1993년 출판된 애나 디비어 스미스의 "거울 속에 반영된 분노"에서 기술된 인종간의 긴장과 갈등을 분석하려고 한다. 이 책은 1991년 뉴욕에서 발생했던 유대인과 흑인간의 충돌을 주요한 소재로 다루고 있는데, 이 사건은 이미 일인극의 형식과 텔레비전 연극시리즈로 방영된 적이 있다. 필자는 스미스의 인터뷰에 응한 많은 인물들이 여전히 홀로코스트와 노예제도의 담론이 지니고 있는 논리를 반복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뉴욕의 크라운 하이츠에서 흑인 공동체와 유대인 공동체는 끔찍한 상실감을 공유하고 있지만 서로의 고통을 이해하려고 하기보다는 자신이 속한 문화, 인종의 집단정체성을 고집한다. 그들의 서사는 자신이 속한 집단이 과거에 경험한 역사적 사건에 수사학적으로 매여 있는 것이다. 필자는 스미스가 "거울 속에 반영된 분노"에서 자기 모순적인 독백들을 병치시킴으로써 노예제도와 홀로코스트 같은 담론들이 여전히 인종적, 민족적 공동체를 지배하고 있다는 사실을 제시한다고 생각한다. 필자의 의도는 유대인 공동체와 흑인 공동체간의 갈등만을 전적으로 조사하는데 있지 않다. 대신, 필자는 유대인 홀로코스트와 흑인 노예경험을 포함한 '홀로코스트 수사학'이 내포하고 있는 비평적, 이론적 담론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려고 한다. 이러한 이해는 '홀로코스트 수사학'이 실패하는 지점을 드러내며 그것이 감추고 있는 폭력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홀로코스트와 노예제도의 경험을 올바로 파악하기 위해서 그들과의 관계를 새롭게 형성하는 것이다. "거울 속에 반영된 분노"는 독자에게 자신의 맹목을 너무 쉽게 노출하는 '홀로코스트' 담론의 자기 모순적인 방식을 거울처럼 비춘다. 독자는 이와 같은 서사의 틈 속에서 과거의 상처가 치유되고 새로운 서사가 창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목격하게 된다.

Encoding of sentences appearing in Cho Ji-Hoon's poem "White night"

  • Park, In-Kw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5권4호
    • /
    • pp.31-37
    • /
    • 2017
  •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aim of suggesting a further step in the program of literary therapy by revealing the mechanism by which the body heals through the discharge of neural network codes. Sentence is encoded as neural signals in our body as it is being read. If the neural networks in the human body are activated and created, the code in which the neural networks are encoded is a code composed of sentences. That is, Sentence is a code. And if the Sentence connects to the human body again and activates the human neural networks, it can be said that Sentence is encoded. At this time, the relation of "neural network codes = Sentence codes" is established. In other words, human narrative and literary narratives are the mediums that convey the same kinds of neural network codes. Cho Ji-Hoon's Poem "White Night" draws sadness through the path of loneliness in 1strophe. Through the Sentence of Loneliness, it activates neural network codes of sadness. 2strophe for the 'pure white snow' is the encoding of the Sentence. In 3strophe, the sentence for 'sadness' is encoded. This flow causes a healing mechanism in this Poem, because the neural network codes about the loneliness, sadness, and eyes of the human body are passed to the other. Here, the other is "White Nigh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healing results will be obtained if a literary therapy program on the encoding of the sentence of Cho Ji-Hoon's Poem is performed in the future.

자기서사 분석을 활용한 문학치료 사례연구 -서사분석의 융복합적 기법적용- (A Case Study on Literary Therapy Using Self-Narritive Analysis -Application of Convergence Techniques in Epic Analysis-)

  • 김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273-278
    • /
    • 2021
  • 본 연구는 문학치료의 자기서사 진단과 작품서사의 공명성을 활용하여 자기서사를 파악하여 스스로 자가치유를 돕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문학치료의 자기서사진단과 기초서사진단을 활용하여 스스로의 서사를 이해하고 작품서사와의 공명을 통해 스스로를 치유하는 문학치료의 방법론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작품을 통해 자기서사를 이해하고 자문화 기술로 자기의 심리적 문제점을 확인하여 이해하는 것이 가능함을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하였다. 본 사례 연구는 문학치료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기서사를 이해하는 것과 작품서사와의 공명을 통해 치유적 자기탐색을 하는 것에 새로운 기법으로 활용이 가능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