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ous

검색결과 2,780건 처리시간 0.026초

조선업 용접작업장의 공기중 입자상물질 및 구성성분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on Airborne Particulate and It's Components in the Welding Workplace for the Ship Construction Industry)

  • 강용선;신중규;이송권;윤충식;임무혁;박만철;심상효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5-253
    • /
    • 2007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irborne personal concentration of hazardouse materials during the process of ship construction and surveyed from May 23 to June 30, 2007 in Kyungnam West Distirct, Korea. The subject was 94 ship construction workers exposed to welding fume and respirable particulate. The airborne concentrations of those were compared to Permissible Exposure Limit(PEL) from the Ministry of Labor in Korea.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23 samples(48.9%) of welding fumes was less than $5mg/m^3$, that of 16 (34.0%) was between 5 and $10mg/m^3$, and that of 8 (17.0%) was greater than $10mg/m^3$.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27 (57.4%) of respirable particulate masses was less than $5mg/m^3$ and the othere are greater than $5mg/m^3$. The welding fumes were identified containing the heavy metasl such as Fe, Mn, Zn, Mg, Ca, and Cu. The respirable particulates has similiar tendency with welding fumes in the component of heavy metals. But the concentration of Ca, Cu, Cr, and Ni turned out to be higher in welding fumes. Twenty (42.6%) of the 47 samples of welding fumes were exceeded PEL. In the heavy metals in welding fumes, ten (21.3%) of the 47 samples of Mn were exceeded PEL. Based on the results, the higher airborne hazardous materials were still exposed to wokers in ship construction process. It is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engineering control be applied to minimize the exposed cocnetration in ship building processes.

석면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 (Review on asbestos analysis)

  • 함승헌;황성호;윤충식;박동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3-232
    • /
    • 2009
  • This document was prepared to review and summarize the analytical methods for airborne and bulk asbestos. Basic principles, shortcomings and advantages for asbestos analytical instruments using phase contrast microscopy(PCM), polarized light microscopy(PLM), X-ray diffractometer (XR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were reviewed. Both PCM and PLM are principal instrument for airborne and bulk asbestos analysis, respectively. If needed, analytical electron microscopy is employed to confirm asbestos identification. PCM is used originally for workplace airborne asbestos fiber and its application has been expanded to measure airborne fiber. Shortcoming of PCM is that it cannot differentiate true asbestos from non asbestos fiber form and its low resolution limit ($0.2{\sim}0.25{\mu}m$). The measurement of airborne asbestos fiber can be performed by EPA's Asbestos Hazard Emergency Response Act (AHERA) method,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method,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10312 method, Japan's Environmental Asbestos Monitoring method, and Standard method of Indoor Air Quality of Korea. The measurement of airborne asbestos fiber in workplace can be performed by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7400 method, NIOSH 7402 metho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ID-160 method, UK's Health and Safety Executive(HSE)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MDHS) 39/4 method and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CODE-A-1-2004 method of Korea. To analyze the bulk asbestos, stereo microscope (SM) and PLM is required by EPA -600/R-93/116 method. Most bulk asbestos can be identified by SM and PLM but one limitation of PLM is that it can not see very thin fiber (i.e., < $0.25{\mu}m$). Bulk asbestos analytical methods, including EPA-600/M4-82-020, EPA-600/R-93/116, OSHA ID-191, Laboratory approval program of New York were reviewed. Also, analytical methods for asbestos in soil, dust, water were briefly discussed. Analytical electron microscope,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quipped with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 and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er(EDXA), has been known to be better to identify asbestiform tha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hough there is no standard SEM procedures, SEM is known to be more suitable to analyze long, thin fiber and more cost-effectiv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imaging protocol was developed to identify asbestos fiber. Although many asbestos analytical methods are available, there is no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ll type of samples. In order to detect asbestos with confidence, al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instrument and method for given sample should be considered.

1930년대에 전개된 경호 활동 고찰 (The Security Service History focused on 1930s in Korea)

  • 김은정
    • 시큐리티연구
    • /
    • 제19호
    • /
    • pp.23-41
    • /
    • 2009
  • 1930년대 경호 활동의 고찰을 통해 지금까지 경호사에서 다루지 않았던 사실들을 네 가지 측면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만주의 한인 자치기관인 국민부는 재만 한인들의 공안을 담당하기 위해서 경호국과 경호분국을 설치했다. 그 후에 경호조례까지 제정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만주의 한인들이 가진 경호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경찰 업무 중에 범인 호송을 위한 '차량 경호', 원활한 행정업무를 조성하는 면사무소 경호, 산불 벌목에 대비한 '임야경호단' 등의 다양한 경호 활동들이 등장했다. 당시의 경호활동은 신변보호에만 한정된 개념이 아니고, 보호와 안전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포괄적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각종 행사에서의 경호는 '만보산사건'처럼 정치적인 측면 외에도, 대중들이 운집하는 장소에서 안전 및 질서유지와 의전을 담당했다. 이를 통해, 1930년대 각종 행사에서 오늘날 사설 경호 활동의 모습과 유사한 점을 찾을 수 있다. 넷째, 언론에 반영된 해외의 경호는 구체적인 업무를 표방하는 다양한 사례들에서 이색적으로 나타났다. 당시의 경호는 직접적인 신변보호의 측면만이 아니라, 물건이나 유해물질에 관한 대처까지도 포함하는 통괄적인 보호 개념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Gasoline-ethanol(Gasohol)혼합액의 점토층 내 이동에 대한 연구 (Enhanced Migration of Gasohol Fuels in Clay Soils and Sediments)

  • Hee-Chul Choi;W.M. Stallard;Kwang-Soo Kim;In-Soo Kim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7-79
    • /
    • 1996
  • 점토는 물과 같이 극성이 큰 유체가 존재할 때 매우 낯은 투수계수를 갖게된다. 따라서 극성이 매우 낮은 탄화수소계연료나 할로겐화 유기용제등은 간극수(pore water)를 밀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점토공극내로 이동할 수 없다. 최근들어 대기오염 저감대책의 하나로 알콜이나 MTBE(methyl-tert-butyl ether)등과 같은 가솔린 산소첨가제의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들 산소첨가제는 극성을 띠고 있으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간극수를 교체하여 가솔린이나 유기용제등의 점토층내 이동을 촉진시킬 가능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솔린-알콜 혼합연료(gasohol)의 압밀점토층 내에서의 이동을 실험적으로 살펴보았다. 카올린슬러리를 압밀시켜 제조한 점토층에 가솔린, 알콜, 그리고 물의 혼합액을 152 Pa하에서 접촉시켰다. 점토층내로의 유체이동은 교체된 간극유체유량을 측정함으로써, 그리고 현상학적인 관찰은 핵자기 공명상(magnetic resonance image; MRI)을 측정해봄으로 추적하였다. 또한 점토시료의 구조는 environment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SE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볼 때 가솔린만 존재시 접촉 14일 이후에도 물로 포화된 점토층내로 가솔린이 이동하지 못한 반면 gasohol 혼합체는 접촉후 단 20분이내에 점토층을 완전 통과하여 탄화수소계연료에 첨가된 알콜이 점토층내로의 이동을 한층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asohol과 접촉시 이러한 점토의 투수계수 증가는 알콜로 인해 점토의 공극구조가 붕괴되어 더 큰 공극을 형성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공극직경(pore diameter)이 증가함으로 gasohol이 간극수를 교체하는데 필요한 모세압력이 감소되어 gasohol이 쉽게 점토증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 PDF

식수대용차 재료의 비의도적 유해물질 오염도 조사연구 (Investigation of Unintentionally Hazardous Substance in Teas)

  • 박혜민;김애경;양용식;최수연;서두리;조배식;서계원;김진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2-169
    • /
    • 2020
  • 2018년 10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광주지역의 대형마트(50건), 재래시장(25건) 및 온라인(50건)에서 구입한 보리차, 옥수수차, 결명자차, 둥글레차, 옥수수수염차 등 침출차 총 125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벤조피렌, 곰팡이독소 함량 조사를 통해 오염실태를 평가하였다. 중금속 중 As, Cd, Pb 함량을 검사하였으며, benzopyrene은 발암물질로 분류된 benzo(a)pyren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곰팡이독소는 aflatoxin (AFB1, AFB2, AFG1, AFG2), ochratoxin A (OTA), fumonisin (FUB1, FUB2), zearalenone (ZON)의 함량을 검사하였다. 「식품공전」에 제시된 침출차의 규격과 비교해 보았을 때 중금속 함량은 기준이 설정된 범위(Pb 5.0 mg/kg 이하) 내에서 검출되어 모두 적합하였고, benzo(a)pyrene은 125건 중 16건의 시료에서 12.8%의 검출률을 나타내었으며, 곰팡이독소는 125건 중 29건의 시료에서 23.2%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식품공전」에서는 침출차의 벤조피렌, 곰팡이독소 기준규격이 정해져있지 않아 이에 대한 안전성 여부는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성분계 혼합물의 최소인화점 현상의 측정 (The Measurement of Minimum Flash Point Behaviour (MFPB) for Binary Mixtures)

  • 홍순강;윤명오;이성진;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13-118
    • /
    • 2011
  • 인화점은 화학물질의 연소성의 중요한 지표이다. 최소인화점 현상은 혼합물의 인화점이 개별 성분의 인화점보다 작은 값을 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현상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혼합물의 특정 조성에서 매우 낮은 인화점을 가질 때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인화점 현상을 보이는 n-butanol + n-decane 계와 n-octane + n-propanol 계의 인화점을 Tag 개방식장치 (ASTM D1310-86)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값은 Raoult의 법칙, van Laar 모델식과 Wilson 모델식에 의해 계산된 값들과 비교되었다. 그 결과 van Laar 모델식과 Wilson 모델식에 의한 예측값이 Rauolt의 법칙에 의한 예측값보다 실험값에 더욱 근접 하였다. 이는 n-butanol + n-decane 계와 n-octane + n-propanol 계와 같은 비이상 용액의 활동도 계수값을, van Laar 및 Wilson 모델식이 Raoult의 법칙보다 정확하게 계산하기 때문이다. 또한 Wilson 모델식의 실험값에 대한 모사성이 van Laar 모델식의 그것보다 우수하였다.

인공경량골재로 제조된 콘크리트 패널의 물성 (Properties of Concrete Panel Made by Light Weight Aggregates)

  • 엄태호;김유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1-228
    • /
    • 2004
  • 국내에서는 최근 구조물 증축에 필요한 경량골재를 중국 및 일본 등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고,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 또한 고조되면서 폐기물의 처리, 처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순수 국내 기술로 폐기물과 점토질 원료를 습식혼합, 로터리 킬른에서 소성하여 인공경량골재를 제조한 후 기본 물성을 평가하였고 경량콘크리트에 적용하여 강도특성을 고찰하였다. 인공경량골재의 절건비중은 1.4~1.7, 흡수율은 13~16%이었으며, 파쇄율은 약 30~55%로 강자갈이나 쇄석과 비교하여 10% 이상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파쇄 형상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골재를 2mm 이하로 분쇄하여 TCLP 용출시험 후 추출된 여액을 ICP-AES로 분석한 결과, 검출한계 이하 또는 용출량 기준치 이하로 용출되었다. 제조된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한 경량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여 슬럼프, 압축강도, 휨파괴변형 특성을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 인공골재 치환율 30vo1%, 물시멘트비 45wt%인 공시체에서의 슬럼프 및 압축강도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압축강도 시험결과를 통해 도출된 최적배합을 바탕으로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제작하여 단열 및 차음특성을 시험한 결과, 평균 열관류율은 3.293W/$m^2$$^{\circ}C$로 쇄석콘크리트에 비해 약 15% 우수하였으며, 음향투과손실은 500Hz에서 50.9㏈로 기준치를 약 13% 상회하는 결과를 보였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인의 고위험 음주 예측모형 개발 연구 (Developing the high-risk drinking predictive model in Korea using the data mining technique)

  • 박일수;한준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337-1348
    • /
    • 2017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전국 규모의 자료인 지역사회건강조사 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고위험 음주자들의 특성 및 요인을 파악하고 고위험 음주 예측모형을 개발했다. 예측모형 개발은 데이터마이닝 방법 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신경망 분석 3가지 방법을 적용했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주요 결과로는 40대 남자의 위험도가 높았고, 사무직과 판매서비스직의 위험도가 높았다. 특히 현재 흡연자인 경우 고위험 음주 위험도가 높았다. 3가지 방법 중 AUROC (area under a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측면에서 신경망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위험 음주 예방을 위한 우선 관리 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 신경망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개발된 예측모형의 사후확률을 기초로 두 가지 모형 모두 예측분포의 상위 10%인 집단에 해당되는 경우를 선정한 결과 신경망 분석이나 로지스틱 회귀모형 1가지 모형으로 적용하는 것보다 반응률 및 향상도가 다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고위험 음주 예측모형과 우선 관리 대상자 선정 방법은 문제적 음주 예방 및 개선 교육, 절주 프로그램 개발 등에 보다 세분화되고 효과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나라 치과 기공사의 신체 자각 증상과 직업 관련 건강 위험 요인 (Subhective Symptoms and Work-related Health Risk Factors in Korean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 김웅철;이세훈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9-112
    • /
    • 2000
  • Although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are prone to be exposed to various work-related health hazardous materials such as dusts, chemicals, etc., the prevalence and nature of work-related health problems of them have not been a matter of great concern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in Korea.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describe a collected profile of subjective health symptoms and their attributable factors in Korean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A questionnaire listing five groups of health symptoms and five health symptom-related factors was mailed to randomly selected 1,900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Among them, 1,344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and returnde them. Five groups of health symptoms included musculoskeletal symptom, dermal symptoms, respiratory symptoms, eys symptoms, and ear symptoms. Five health symptom-related factors were occupational environment-related health risk factors, work history, health related habits and status,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Detailed parameters of health risk factors were work posture, vibration, and chemical or physical hazards such as dust, fume, vapor, solvent, light, and nois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related factors; work place, area, number of employees, work hours, career, work part, and work load for work history; Broca's index, hours of sleep, eating, smoking, alcohol, exercise, health examination, and self assessed health status for health habits and status; face masks, goggles, and so on for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age, sex,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Before the start of main survey, a pilot survey was carried out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of the questionnaire. All the data obtained were coded and analyzed with PC/SAS 6.12 program. The prevalence of health symptoms was the highest in musculoskelton (87.3%), and followde by eyes (78.9%), respiratory organs (64.3%), ears (57.8%), and skin (52.2%) in descending order.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sex, health examination,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hand/finger posture in musculoskeletal symptoms; sex, self assessed health status, career, acid gas, and hand contact with resin mixture in deraml symptoms; Broka's smoking, exercise,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face mask in respiratory symptoms; sex, hours of sleep, self assessed health status, work hours, work load, plaster dust, inadequate lighting, and goggle in eys symptoms, and eating, smoking,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work load in ear symptoms. With the above considerations in mind, prevalence of subjective symptoms among Korean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was relatively high, and they were attributable to most of the occupational environment-related factors, work history,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health habits and statu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it is suggested that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promoting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smoking cessation, preventive measures for protection of the female technicians’health, and reducing work load be necessary, since thos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more than one subjective symptom.

  • PDF

ZnO-Fe2O3 복합금속 산화물을 이용한 고온에서의 황화수소 제거에 관한 연구 (High Temperature Desulfurization over ZnO-Fe2O3 Mixed Metal Oxide Sorbent)

  • 이재복;이영수;류경옥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2-67
    • /
    • 1994
  • ZnO-$Fe_2O_3$ 복합금속 산화물 흡착제가 황화수소 제거능이나 황화된 흡착제의 산화적 재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Zinc ferrite 흡착제가 가장 높은 황화수소 제거능을 나타내었고 혼합한 $Fe_2O_3$ 흡착제는 황화반응 도중 H$_2$S의 생성을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황화반응의 결과로 생성되는 금속황화물들이 H$_2$S 열분해의 촉매로 작용하였으며 H$_2$$Fe_2O_3$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더 많이 발생하였다. 산화적 재생반응의 결과로부터 ZnS를 제외하고 $Fe_2O_3$를 혼합한 흡착제는 모두 잘 재생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화적 재생반응 도중 생성될 수 있다고 보고된 zinc sulfate는 생성되지 않았다. 그리고 SO$_2$ 발생 곡선의 형태나 완전재생에 소요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해 볼 때 $Fe_2O_3$의 혼합량의 변화는 산화적 재생반응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