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 map making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GIS 기반 의사결정 분석에 AHP의 적용 - 홍수재해관리 중심으로 (Application of AHP in GIS-based Decision Analysis - with emphasis in Flood Hazard management)

  • 김수정;염재홍;이동천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3-428
    • /
    • 2004
  • Flooding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loss of lives and properties among various natural disasters in Korea. Flood risk maps are currently being produced in Korea but the progress is slow considering the necessity to map at nationwide scale. In this study, GIS-based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is normally used for resource management and site analysis was applied to locate flood vulnerable areas. Past records of flooding maps were analysed to extra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flooded areas. The extracted characteristics were then set as criteria for flooding analysis using the Fuzzy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ology.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an improved phased action plan was possible, because the flood vulnerable areas are shown in varying degrees of uncertainty unlike the conventional Boolean type GIS layer superimposition analysis.

  • PDF

시나리오 기반 홍수위험정보지원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Study on Construction of Flood Hazard Information Support System based on Scenario)

  • 구신회;진경혁;정태성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9-393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ystem for visualizing inundation area by using 1-D numerical model analyzing damage information such as inundation area, facilities, land usages, population, building, loads. 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hydraulic models to select a flood model for simulation of discharges, water depths and velocities. The study area is Namhan River from Youngwol to Paldang Dam which had a flood damage on upper and below regions of Chungju Dam by a storm event in 2006. At the first, we developed the DB system base on GIS thematic map, ortho images, cadastral maps to analyze flood damages and support decisions making. Changing the boundary conditions such as discharge at the gauging stations, flood simulations were performed and then damage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s information support system based on 1-D numerical hydraulic model,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analyze flood damages and support a decision making for reduce flood relate damages. In the future,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for flood forecasting system of small scaled streams.

  • PDF

2D Flood Simulation for Estimating the Economic Loss in the Building Areas

  • Kang, Sang-Hye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397-406
    • /
    • 2007
  • 도시지역의 2차원 모형은 홍수침수과정에 있어서 아직 선구적인 분야이며 이러한 모형은 지형 및 불충분한 지형계수 및 자료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DEM에 기초한 제방 붕괴로 인한 표면수의 침수를 재현하고자 한다. 도시지역에 있어서 표면수의 흐름은 Saint-Venant의 방정식을 통해 모형을 구성하였다. 2002년 삼척시에서 발생한 홍수를 재현하기 위하여 추적자를 이용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여 모형을 보정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홍수지도 제작이나 도시지역에서 침수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 PDF

드론 원격정보를 활용한 실제증발산량의 산정: 가뭄지수를 위한 사전테스트 (Computation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Drone-based Remotely Sensed Information: Preliminary Test for a Drought Index)

  • 이근상;김성욱;함세영;이길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653-1660
    • /
    • 2016
  • Drought is a reoccurring worldwide natural hazard that affects not only food production but also economics, health, and infrastructure. Drought monitoring is usually performed with precipitation-based indice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tate and amount of the land surface properties. A drought index based on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can overcome these shortcomings. The severity of a drought can be quantified by making a spatial map. The procedure for estimating actual evapotranspiration is costly and complicated, and requires land surface informati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drone-driven remotely sensed data for actu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was analyzed in this study. A drone collected data was used to calculate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 (SAVI). The spatial resolution was 10 m with a grid of $404{\times}395$.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and parameterized to an actu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The result shows that drone-based data is useful for estimating actual evapotranspiration and the corresponding drought indices.

도로위험정보알림 디바이스 구현 (Implementation of Road Risk Information Notice Device)

  • 김종덕;한승헌;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438-444
    • /
    • 2019
  • 차량의 보급 증가와 함께 신규 도로 건설 및 기존 도로의 확장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도로 위 다양한 위험들은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들은 크게 고정위험과 가변위험들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는 내비게이션을 통해 과속, 사고다발, 낙석주의 등에 대한 고정위험이 운전자에게 안내되고 있다. 그러나 도로위험정보는 고정위험정보보다 가변위험정보가 그 위험성이 높다 할 수 있는데, 가변위험 정보의 경우 맵 회사들이 수기로 정보를 입력하고 있는데, 이는 실시간성이 떨어지며, 돌발 위험에 대한 대응이 되지 않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시간 위험정보를 운전자에게 안내하여 공공이익에 기여할 수 있는 도로위험정보알림 장치에 대해 제안하고 구현하여 도로 위 위험정보의 활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스마트기기 기반 공간정보가 커뮤니티 매핑에 참여한 시민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mart device-based Spatial Information on the Perception of Citizens Participating in Community Mapping)

  • 문성곤;강정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6-76
    • /
    • 2022
  • 본 연구는 커뮤니티 매핑 과정에 스마트기기로 수집된 공간분석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하여 시민들이 자신의 의견을 객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러한 공간정보의 제공이 시민들의 의사결정과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이 지역의 초등학생 보행안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위험지역 선정을 목표로 커뮤니티 매핑을 진행하였다. 시민들은 자신들의 경험과 인식을 기반으로 1차 위험지도를 작성하고, 드론과 센서 등 스마트기기로 수집된 보행안전시설과 유동인구 공간정보를 공유한 후 2차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1차, 2차 위험지도를 비교한 결과 많은 구간에서 순위 변동이 발생했으며, 참여주민들이 인식했던 것보다 객관적으로 측정된 유동인구가 많고 안전시설이 미비한 지역의 순위가 상향되었다. 또한, 주민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커뮤니티 매핑과정에서 스마트기기 기반 공간분석 정보의 제공은 시민들의 지역문제 인식에 도움을 주었을 뿐 아니라 본인들이 제출한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이 직접 만들어 낸 결과물에 대한 신뢰도 향상되어 주민 스스로 자신감과 믿음을 갖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요인을 고려한 연안해역 위험도 평가모델 비교·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n Risk Assessment Models of Coastal Waters considering Human Factors)

  • 김인철;안광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7-34
    • /
    • 2016
  • 국제기구에서 제시해 온 해양사고 예방대책은 주로 선박의 구조 및 복원성 강화, 선원의 교육 훈련, 해상교통환경 개선에 중점을 둔 것이었다. 해양사고통계를 분석한 결과, 사고는 주로 연안해역에서 인적요인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에 기존의 사고예방대책들이 통계분석 결과에 호응하는지 검토하기 위해 사고조사기법인 SHELL모델에 대입하였다. 결과적으로 연안해역에서 인간과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선박 운항자와 항행여건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간공학적 접근이 필요함이 도출되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의사결정 메커니즘으로써 라스무센의 SRK 피라미드, 사고로 표현된 해상운송시스템의 붕괴에 관한 미국 연안경비대 등의 조사 지침서, 그리고 위험성평가모델인 IWRAP, PAWSA, ES모델, PARK모델과 NURI모델의 장단점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비록 기존의 위험성 평가모델은 항만이나 접근수로에서 유효성이 인정되었다고 하나 연안해역에서는 보완이 필요하며, 선박운항자가 직관적으로 해역의 상대적 위험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위험표시도를 발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선박운항자가 느끼는 정성적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새로운 한국형 모델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GIS를 이용한 산불 정보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orest Fi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 조명희;오정수;이시영;조윤원;백승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41-5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산불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효과적인 산불 현황정보 검색시스템을 개발하여 산불 관리자에게 효율적인 공간분석 도구를 제공함으로서 산불에 관한 종합적인 공간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분석하여 속성을 갱신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산불정보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간의 산불 현황통계자료를 이용한 전국 시 군 단위의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여 전국 산불 발생현황을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산불 발생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과의 상관성 분석이 가능하였다. 특히 최근 산불 발생이 빈번한 삼척시의 지형도 및 임상도, 위성영상, 현지사진을 이용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산불 발생위험지역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플랫폼은 IBM호환 PC에서 Windows 98을 운영체제로 하여 DBMS는 Access 2000을 이용하였고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객체지향언어인 Visual Basic 6.0과 GI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Component GIS인 MapObjects 2.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산불 관리자는 진화에 필요한 관리구역내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뿐만 아니라 산불 방제사업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결정지원과 함께 실무자 중심의 산불관리행정을 도모하고 산림자원 관리비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