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ed fruit ratio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19초

Fruit Set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Highbush Blueberries (Vaccinium corymbosum cvs. Bluecrop, Coville, and Northland) in an Open Field and a Rain Shelter

  • Kim, Su Jin;Kim, Jin Gook;Ryou, Myung Sang;Park, Kyo-Sun;Kim, Hong-Lim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01-706
    • /
    • 2014
  • Three highbush blueberries (Vaccinium corymbosum cvs. Bluecrop, Coville, and Northland) grown in an open field and in a rain shelter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potential benefits of rain-sheltering system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Shrubs grown in rain shelter flowered 5-14 days earlier and were in full bloom earlier than those in the open field. All three cultivars set fruit by nearly 90% of flowers when they were grown in the open field, but was markedly reduced when they were grown in the rain shelter, to approximately 50% for 'Bluecrop' and 'Coville'. Fruit sets ratio of 'Northland' grown in the in the rain shelter was 14.5. Fruit from greenhouse-grown 'Northland' were larger, heavier, and had more seeds per berry. Soluble sugar content (SSC) of fruits varied both with the cultivars and growing conditions. SSC of fruits grown in the greenhouse was higher in 'Bluecrop' compared to that grown in the field, but this pattern was reversed in 'Northland'. Titratable aci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ruits from rain shelter-grown shrubs of both 'Bluecrop' and 'Northland' than in fruits from open field-grown shrubs (P < 0.05),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A with respect to growing conditions for 'Coville'. The number of seed per fruit, fruit length and diameter, weight, SSC, and TA were similar in 'Coville' shrubs grown in the open field and the rain shelter. Fruit firmness of 'Bluecrop', 'Coville', and 'Northland' was higher in the rain shelter than in the open field. 'Coville' and 'Northland' fruits harvested in the open field had higher blue chroma than those harvested in the rain shelter. However, this pattern was reversed for 'Bluecrop'. On the whole, sheltering from rain affected most fruit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cultivars differently. Therefore, suitable blueberry cultivars for the rain shelter should be chosen by purpose.

생산지역과 고도별 흥진조생 온주밀감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t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var. okitsu) According to Harvest Areas and Altitude in Cheju)

  • 좌창숙;김영휘;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47-151
    • /
    • 1999
  • 제주지역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감귤품종인 흥진조생 온주밀감의 품질에 관여하는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감귤원의 고도별 및 생산지역별로 12월 초순에 감귤을 수확하여 분석하였다. 가용성고형물의 함량은 해안 지역(해발 100 m 이하)에서 $9.06{\sim}12.98$였으며, 중산간 지역(해발 150 m 이상)에서는 $10.16{\sim}12.26$으로서 일반적으로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생산된 감귤이 당도가 높았으며 지역간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산 함량은 한경면을 제외하고는 해안 지역에서는 $0.83{\sim}1.21%$였으며, 중산간 지역에서는 $0.94{\sim}1.34%$를 보여 일반적으로 중산간 지역에서 생산된 감귤이 해안 지역에 비하여 산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해안 지역에서 생산된 감귤의 과육율은 $77.32{\sim}81.27%$이었고, 중산간 지역은 $75.00{\sim}81.55%$를 보여 재배지역 사이에 차이를 보였다.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해안 지역과 중산간 지역에서 각각 당도의 변화량은 0.91과 0.82였고, 산 함량의 변화량은 0.15%와 0.13%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당산비의 증가가 각각 1.85와 1.39를 나타내어 수확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품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겉보기에 의한 관능평가에서는 감귤원의 고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도가 낮은 감귤 주산지에서 생산된 감귤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감귤 주산지인 서귀포시 지역에서 수확한 온주밀감이 다른 지역보다는 품질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산지역과 고도별 궁천조생 온주밀감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tuma Mandarin by Harvest Areas and Sea Level Altitude in Cheju)

  • 고정삼;강창희;좌창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56
    • /
    • 2000
  •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var.miyagawa) harvest on early December according to production areas and sea level altitude of Cheju were investigated. Soluble solids and flesh ratio were distributed 9.32∼12.50, 75.95%-81.3 in citrus fruits harvested in orchards located below 10m sea level altitude (lower area), and was 10.23-12.17 , 77.35%-80.29% on those over 150m sea level altitude )higher area), respectively. Acid content of citrus juice was 0.95%-1.26% in fruits harvested inlower area, and was 1.02%-1.39% in higher area. In proportion to late harvesting , Brix/acid ratio and fruits quality was improved. Soluble solids of fruits harvested in higher area were higher than those of fruits from higher area, but acid contents were on the contrary . In sensory evaluation on fruit appearanc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altitudes were not clear.

  • PDF

시장 출하 '거봉' 및 '캠벨얼리' 포도의 등급과 품질 조사 (Comparison of 'Kyoho' and 'Campbell Early' Table Grape Fruit Quality in Wholesale Market)

  • 황용수;임병선;김진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1호
    • /
    • pp.7-12
    • /
    • 2010
  •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ble grape quality was found between harvest seasons, producers and cultivars. In general, 'Kyoho' grapes showed much greater difference in fruit quality than 'Campbell Early'. The ratio of 'Campbell Early' grapes with poor quality (below quality standard within grades), was higher in fruit harvested early in the season, mainly because of immature fruit harvest. In 'Kyoho', poor quality of fruit seemed to be derived from the deviation of cultural practice between producers. Major factors responsible for poor quality in both cultivars includes harvest of unripe cluster, poor sorting and grading, berry abscission, and poor coloration. It is recommended to introduce a new quality standards considering the market condition in 'Kyoho' or a fresh-cut technology of grape berries for niche market.

배 신품종 '창조'의 성숙 중 품질 요인 변화 및 수송온도 환경에 따른 반응성 (Evaluation of the Fruit Quality Indices during Maturation and Ripening and the Influence of Short-term Temperature Management on Shelf-life during Simulated Exportation in 'Changjo' Pears (Pyrus pyrifolia Nakai))

  • 이욱용;최진호;안영직;천종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8-385
    • /
    • 2017
  • 국내에서 육성된 중생종 동양배 품종인 '창조'는 성숙기간 중 지속적으로 과실이 비대하여 600g대의 편원형 과실로 발달하였다. 성숙기간 중 경도는 경시적으로 저하되어 만개 후 153일인 9월 13일에 32.58N으로 조사되었고 만개 후 160일에는 26.44N으로 급격히 경도가 저하되었다. 식감과 관련된 품질요인 중 과실의 전분함량은 만개 후 153일에 0.737, 만개 후 160일에 0.451로 전분함량이 급속히 감소하였고, 과육의 세포벽함량을 조사하였던 결과, 과실비대가 증가하고 과실성숙의 진행과 더불어 알코올불용성물질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과피색차 중 적색도($a^*$)는 만개 후 139일 이후 양의 값을 보여 외관상의 과피녹색 발현이 소실되었는데 과피의 SPAD 값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엽록소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Hue angle 역시 성숙과 연화기간 중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수확시기의 지표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성숙기간 중 과육 내에 축적되는 당 성분을 분석한 결과, 만개 후 153일에 총량이 최대치를 보였는데 전 생육시기에 걸쳐 전체 당성분 중 과당이 우점하고 있었고, 과실성숙도가 높아질수록 자당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만개 후 160일에 수확한 과실에서는 자당이 과당을 넘어 우점하여 과숙단계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배 신품종 '창조'의 적정 수확시기는 만개 후 153일인 9월 13일 이전으로 평가되었고 수확시기를 놓친 경우에는 경도 등 과실의 품질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만 지역 수출을 모의하여 단기수송온도 설정을 위한 수확 후 저온순화 실험을 실시한 결과, 만개 후 146일에 수확한 과실이 만개 후 153일에 수확한 과실에 비하여 $25^{\circ}C$ 유통 후 높은 경도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고 최종 수송 목표온도인 $5^{\circ}C$로 저하되는 속도가 느릴수록 과육장해의 발생심도 및 에틸렌발생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므로 '창조' 품종에 있어 동남아 지역 수출 시 생리장해 및 과실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수확시기를 만개 후 146일 이전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조' 배의 목적별 수확시기 결정 및 과실의 선별 기술에 일조하고 수출 시장에서의 한국산 배의 신인도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산 영귤의 산지 및 수확시기에 따른 성분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Citrus sudachi Fruit by Harvesting Time and Region)

  • 정승원;이경미;정진웅;이영철;이미순;엄선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03-1510
    • /
    • 1999
  • 영귤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영귤의 과피와 과즙을 분리하여 수확시기별 (9월 3일부터 11월 8일까지 약 20일 간격) 및 산지별(서귀포, 제주시)에 따른 물리화학적 성분특성을 조사하였다. 영귤의 평균중량은 서귀포산이 제주시산보다 2배 이상이었으며, 평균직경도 10mm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피의 수분함량은 $74.0{\sim}78.7%$로 성숙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과즙에서는 $90.1{\sim}91.9%$ 수준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은 과피와 과즙에서 모두 9월 3일에서 11월 8일 사이에 약 2배 가량 증가하였고, 조섬유는 과피와 과즙에서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조단백질과 회분의 경우, 과피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과즙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H와 비타민C는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과피 및 과즙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과즙의 경우 중요한 품질인자가 되는 transmittance는 9월 20일에서 10월 13일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리고 유리당의 함량은 과피의 경우 9월 3일에서 11월 8일까지 2배 가량 증가한 반면에 과즙은 4배까지 증가하였다. 무기질의 경우 과피에는 Ca과 K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과즙에는 K이 가장 큰 비율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각 무기질의 함량은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동양배 '원황' 및 '화산'의 생육기간 중 품질 변화 요인 탐색 (Evaluation of quality indices during fruit development and ripening in 'Wonhwang' and 'Whasan' pears)

  • 이욱용;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3호
    • /
    • pp.405-411
    • /
    • 2011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hanges of fruit quality indices during fruit development and ripening in Korean new pear cultivar 'Wonhwang' and 'Whasan' to determine appropriate harvest time and to enhance the marketability. The fruit of each cultivar harvested from 100 days after full bloom (DAFB) to 135 and 150 DAFB in 'Wonhwang' and 'Whasan', respectively. The fruit growth of both cultivars showed a typical single sigmoidal pattern. Flesh firmness of two cultivars decreased continuously with fruit development and ripening, reaching a final level of about 2.6 kgF at harvest stage. The starch content of fruit sap was much higher in the fruits of early development stage than the later stage of fruit ripening. In 'Wonhwang' pears, the starch level decreased coincide with fruit ripening (130 DAFB), while that of 'Whasan' decreased from very early stage of fruit development (120 DAFB), 30 days before full ripe. 'Whasan' pear showed much lower acidity level of about 0.13% during fruit development and ripening period compared with that of 'Wonhwang'. Therefore, the ratio of soluble solids to total acidity (TSS/acid) increased gradually with fruit development and ripening, reaching a final level of 80 and 98 in 'Wonhwang' and 'Whasan', respectively. There were no climateric rise of fruit respiration during fruit ripening periods in two oriental pear cultivar. The changes of skin color difference including hunter vale $a^*$ which means loss of green color occurred only after onset of ripening in two cultivars.

'브라이트웰' 래빗아이 블루베리의 Ammonium thiosulfate와 UREA처리에 따른 적화와 과실생장 효과 (Effects of ATS and UREA on Flower Thinning and Fruit Growth in 'Brightwell' Rabbiteye Blueberry)

  • 김홍림;이목희;이하경;정경호;이한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0-367
    • /
    • 2020
  • BACKGROUND: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blueberry (Vaccinium ashei Reade) greatly depend on the number of fruits in a plant. Especially, fruit set more than appropriate number negatively affects productivity and marketability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small fruits and delayed harvest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oper timing and concentration for applying chemical blossom thinners such as ammonium thiosulfate (ATS) and UREA. METHODS AND RESULTS: ATS at 1.25% and 1.50%, and UREA at 6% and 8% were applied in four developmental stages, bud swell, pink bud, full bloom and petal fall. Fruit thinning rat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fruits harvested divided by that of flowers before applying blossom thinners. Ratios of leaf to flower and leaf to fruit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fully developed leaves in 25 days after full blossom divided by that of flowers or fruits, respectively. Chemical injury of leaves was investigated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leaves with chemical injury divided by the total number of leaves. Fruit thinning rates were 48% and 66% for UREA treatments at 6% and 8%, respectively, and 49% and 62% for ATS treatments at 1.25% and 1.50%, respectively, in the full bloom stage. In the petal fall stage, fruit thinning rates were 18% and 24% for UREA treatments at 6% and 8%, respectively, and 49% and 35% for ATS treatments at 1.25% and 1.50%, respectively. Leaf to fruit ratio (L/FR) increased by 109% and 188% compared to leaf to flower ratio in ATS treatments at 1.25% and 1.50%, respectively, and L/FR increased 93 and 196% in UREA treatments at 6% and 8%, respectively, in the full bloom stage. In the petal fall stage, leaf to fruit ratio increased by 60% to 100% in ATS treatments, bu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control in UREA treatments. Fruit harvest was delayed in all treatments of all developmental stages except for 1.5% ATS and 6% UREA treatments at the petal fall stage, whose fruit harvest was two or three days faster than the control.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ATS and UREA for blossom thinning should be in the petal fall and full bloom stages for early and late harvest, respectively. Considering chemical injury, integrated harvesting and fruit size, however, it is appropriate to apply ATS at 1.5% in the petal fall stage to increase fruit productivity and quality in blueberry.

홍고추 생육시기별 기상여건과 외형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Fruit in Different Growing Periods)

  • 조병철;박권우;강호민;윤형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3-80
    • /
    • 2004
  • 한국 고추 주산단지에 '금탑', '부강' 품종을 1998년과 1999년에 재배하여 4회에 걸쳐 홍고추를 수확하였다. 고추의 과장, 과중, 건물율을 조사하고 색도를 분석한 후 고추 생육기간 동안의 지역별 온도 강우량 일조시간의 기상여건과 상관을 살펴보았다. 고추는 초기수확보다 후기로 갈수록 과장이 짧아지고, 과중은 가벼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두 품종간의 특성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 연도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건물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졌으며, 고추의 붉은색 비교를 위한 a${\times}$L값은 조사에서는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기상여건과 고추 과실 생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과장은 수확 전의 적산온도와 양의 상관이 있었다. 과중은 강우량과 수확직전의 적산온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율은 수확 전 온도와 음의 상관을, 일조량과 양의 상관을 보였다. 붉은색 정도는 생육기간의 강우량과 음의, 일조와는 양의 높은 상관이 있었으며, 결정계수($r^3$)도 모든 외적품질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후지' 사과 과실의 형태 결정 요인 간 상관 (Correlation among Conformation Parameters in 'Fuji' Apple Fruit)

  • 윤태명;한수곤;박윤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58-361
    • /
    • 2001
  • 경북 안동과 영양 지역 과수원에서 적숙기에 수확한 '후지' 사과 과실을 중량별로 분류한 후, 과중, 종자 수, 종자 중량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요인과 과형지수 및 기형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과실당 평균 종자수와 무게는 안동과수원의 경우 8.9개, 종자 중량 0.64g이었고 영양 과수원은 6.3개, 0.47g이었다. 두 과수원의 조사자료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과중은 종자 중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던 반면 종자의 수와는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형지수는 종자 수나 종자 중량과 미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과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과실의 기형지수는 종자수가 많고 종자 중량이 큰 안동과수원 과실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종자의 수 또는 종자 중량과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