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mful bacteria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32초

비지터블 추출물 및 유산균 발효물의 진생사포닌 대사산물과 장건강 활성성분 효과 (Effects of Ginseng Saponin Metabolites and Intestinal Health Active Ingredients of Vegetables Extracts and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43-9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과, 배, 무 등 8종 과채류를 절단하고 열수추출물과 과채류 증숙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실험기질로 사용하였다. 실험기질에 홍삼추출물 1%(W/V)와 유산균발효 추출물에 유산균 8종 혼합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한 결과, ginsenosides의 패턴과 함량은 과채류 추출물군과 증숙 처리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발효군에서는 발효과정과 처리에 따라 TLC 패턴이 변하여 Rg3(S) 및 Rg5으로 전환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4종의 과채류추출물 모두에서 유산균 수(cfu)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산균 CFU의 수는 과채류 추출물의 4가지 발효군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익균의 생장 억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가지 유해균의 증식억제 효과는 4가지 과채추출물에서 대장균과 슈도모나스의 증식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과채류 증숙 열수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첨가 여부에 관계없이 과채류 추출물의 생장억제효과로 확인되었다.

Bacillus subtilis AK균 발효액(Enzamin)의 섭취 후 장내 유익세균의 분포조사 (Distribution of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es after Enzamin Ingestion of Bacillus subtilis AK Strain Fermentation)

  • 류서원;이형환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7-38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임상대상자 16명에게 Bacillus 발효용액(ENM)을 8주간 섭취시키기 전 후에 임상대상자들의 변에서 주요 목표 장내 유익세균의 증식이 촉진 되는지 및 유해균은 감소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장내세균은 16S rRNA 특정 Primer를 이용하여 PCR 증폭기로 동정 검색하였다. 결과: Bifidobacterium속 gene index (%)(=gi%)는 ENM섭취 후에는 대조군이 58.92%, 임상군은 69.53%로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Lactobacillus 속 지수는 사후에는 대조군이 49.37%, 임상군은 66.43%로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 (p<.029). Clostridium 속 지수는 사후에는 대조군이 83.16%, 임상군은 67.76%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77). Bacteroides 속 지수는 사후에는 대조군이 12.58%, 임상군은 20.87%로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p<.095). Prevotella 속 지수는 사후에는 대조군이 7.55%, 임상군은 17.28%로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p<.005). 중간균체는 사후검사의 경우에는 대조군이 20.06%, 임상군은35.88%로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p<.001). 결론: Bacillus 발효액(ENM)을 섭취후에는 유익균 수는주로 증가하였고, 유해균인 Clostridium균수는감소하는경향을보였다. 이는 발효음료 ENM의 섭취가 유익한 장내세균의 증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actobacilli와 Saccharomyces 혼합균주의 대두발효액(Zen) 섭취 후 장내 유익세균과 유해세균의 증식에 미친 영향 (Effects of the Proliferation of Beneficial and Harmful Enteric Bacteria after Intake of Soybean Fermentation (Zen) Produced by a Mixture of Lactobacilli and Saccharomyces)

  • 류서원;이형환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0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임상대상자 30명에게 미생물발효용액인 Zen발효용액을 8주간 섭취시킨 후에 임상대상자들의 변에서 중요한 장내 유익세균 및 저해세균의 증식이 촉진되는지 또는 감소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장내세균은 특정 Primer를 이용하여 PCR 증폭기로 동정 검색하였다. 결과: Zen발효액을 섭취한 임상군의 Bifidobacterium genus 유전자복제지수(gi%)는 섭취 전 수치는 55.15%, 섭취 후에는 70.1%로 나타났으며, 섭취 후에 14.95% 차이로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 아래 모든 대조군은 유의성이 없었다. 임상군의 Lactobacillus genus지수는 섭취 전이 46.87%, 섭취 후가 60.91%로 나타났으며, 섭취 후에 14.04% 차이로 유의성은 있게 증가하였다(p<.01). 임상군의 Clostridium genus지수는 사전이 85.64%, 사후가 65.99%로 나타났으며, 섭취 후에 -19.65% 차이로 유의성이 있게 감소를 하였다(p<.017). 임상군의 Bacteroides genus지수는 사전이 17.11%, 사후가 20.22%로 나타났으며, 섭취 후에 3.11% 차이로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 임상군의 Prevotella genus지수는 사전이 14.01%, 사후가 16.79%로 나타났으며, 섭취 후에 2.78%차이로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장내세균은 혼합미생물의 발효액 Zen을 섭취 후에 장내에서 유익균은 증식이 증가하고, 유해균은 억제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Zen발효액은 장 건강에 유익한 음료라 평가한다.

식품유해균에 대한 차류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on the Harmful Foodborne Organisms)

  • 오덕환;이미경;박부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0-106
    • /
    • 1999
  • Use of chemical preservative for controlling harmful microorganisms in food products has been debated due to public concerns about food quality because of perceived toxic and carcinogenic potential. Thus, use of non toxic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has become essential.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or ethanol extract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and of solvent fractionated 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steamed green tea. Both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green tea(steamed or roasted), oolong tea and black tea exhibit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 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but not effective against yeast and mold. Also,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4 different kinds of tea was stronger than that of water extract. Among 4 different tea, ethanol extract of steamed green tea was further fractionated. One thousand g/disk buthanol extract ha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and mold. The concentr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uthanol extract in tested microorganisms ranged from 125~1000 g/disk except for Rhizopus javanicus. Antimicrobial activity of buthanol extract of steamed green tea was not destroyed by heating at 100oC for 60 min and at 121oC for 15 min, which is very stable over heat treatment.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buthanol extract on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investigated. Growth of both strains was started in the presence of 250 and 500 g/ml after 12 and 24 hour respectively, whereas complete inactivation of both strains was occurred in the presence of 1000 g/ml.

  • PDF

시판김치 중 유해세균의 조사 (Investigation of some harmful bacteria in commercial Kimchi)

  • 신선미;박주연;김은정;한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5-200
    • /
    • 2005
  • 시판김치의 위생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포장 김치 3종, 백화점 김치 3종, 재래시장 김치 3종을 각각 $2^{\circ}C$$20^{\circ}C$ incubator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E. coli, Salmonella sp., Staphylococcus sp. yeast균수의 경시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백화점 김치의 구입 당일 pH는 5.85로 가장 높았고, 재래시장 김치는 4.47로 가장 낮았다. $2^{\circ}C$저장에서 숙성시킨 김치의 pH는 완만하게 감소되었으나, $20^{\circ}C$에 저장한 김치는 저장 첫날 pH가 가장 급격히 감소되었다. 산도는 이와는 반대 경향을 나타내었다. E. coli 균수는 포장 김치에서는 낮게 검출되었으나 백화점 김치와 시장 김치 같은 비포장 김치에서는 $1\;{\times}\;10^1cfu/mL$ 부근으로 검출되었으며 $2^{\circ}C$저장에서 백화점 김치와 재래시장김치는 저장 2일째까지도 균이 생존하였으나 저장 5일째에는 더 이상 검출되지 않았다. $20^{\circ}C$ 저장의 경우 저장 $1\~2$일 동안 균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았다. Salmonella sp.은 구입 당일 시료 모두에서 약간이 검출되었으나 발효와 더불어 $1\~2$ 일 동안에 감소되었다. 그러나 구입 당일 포장 김치 $7.73\times10^2cfu/mL$, 백화점 김치 $2.87\times10^3cfu/mL$, 재래시장 김치에서 $7.89\times10^2cfu/mL$의 비교적 높은 수의 Staphylococcus sp.가 검출되었고, $2^{\circ}C$ 저장에서 각 시료의 균수는 거의 감소하지 않았으며, $20^{\circ}C$ 저장의 경우에도 감소율은 낮았다. Yeast수는 재래시장 김치가 구입 당일 $2.12\times10^2cfu/mL$의 수를 나타내었고, 발효 숙성전 기간에 걸쳐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김치가 가장 맛이 있는 시기로 알려져 있는 pH 4.2부근, 산도 $0.4\~0.8\%^{(10)}$에서도 식품 유해가능성을 가진 균이 상당수 검출되므로 원료의 수송, 김치의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병원균에 대한 오염방지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Red to Red - the Marine Bacterium Hahella chejuensis and its Product Prodigiosin for Mitigation of Harmful Algal Blooms

  • Kim, Doc-Kyu;Kim, Ji-Hyun F.;Yim, Joung-Han;Kwon, Soon-Kyeong;Lee, Choong-Hwan;Lee, Hong-Ku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0호
    • /
    • pp.1621-1629
    • /
    • 2008
  • Harmful algal blooms (HABs), commonly called red tides, are caused by some toxic phytoplanktons, and have made massive economic losses as well as marine environmental disturbances. As an effective and environment-friendly strategy to control HAB outbreaks, biological methods using marine bacteria capable of killing the harmful algae or algicidal extracellular compounds from them have been given attention. A new member of the $\gamma$-Proteobacteria, Hahella chejuensis KCTC 2396, was originally isolated from the Korean seashore for its ability to secrete industrially useful polysaccharides, and was characterized to produce a red pigment. This pigment later was identified as an alkaloid compound, prodigiosin.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prodigiosin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for its medical potential as immunosuppressants and antitumor agents, owing to its antibiotic and cytotoxic activities. The lytic activity of this marvelous molecule against Cochlodinium polykrikoides cells at very low concentrations ($\sim$l ppb) was serendipitously detected, making H. chejuensis a strong candidate among the biological agents for HAB control. This review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algicidal marine bacteria and their products, and describes in detail the algicidal characteristics, biosynthetic process, and genetic regulation of prodigiosin as a model among the compounds active against red-tide organisms from the biochemical and genetic viewpoints.

Evaluation of Manganese Ion on Controlling Harmful Microorganisms In vitro and In vivo for the Early-Weaned Pig

  • Kim, I.H.;Kang, D.H.;Kim, C.S.;Seok, H.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8-12
    • /
    • 1998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nSO_4$ on controlling harmful microorganisms in vitro and in vivo. The in vitro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anganese sulfate $(MnSO_4)$ on the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E.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by growth stimulation of Pediococcus acidilactici (P. acidilactici; lactic acid bacteria). Manganese ion (0.003 %) was found to stimulate the growth of P. acidilactici in the In Vitro system. When E. coli and S. aureus were grown in a mixture with P. acidilactici, their numbers were reduced. This may be the result of a reduction of pH in the medium as a result of better growth of P. acidilactici due to stimulation by the Mn ion. The in vivo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nSO_4$ in diets on controlling harmful microorganisms in fecal samples of pig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microbial numbers (i.e., total microorganisms, E. coli, lactic acid bacteria and S. aureus) in feces of pigs fed $MnSO_4$ compared to feces of pigs fed the control diet through 7 days. However, on day 7 of experiment, the pH of feces in pigs fed $MnSO_4$ (0.1%) decreased faster than pigs fed the control diet.

New Algicidal Compounds from a Marine Algicidal Bacterium against Cochlodinium polykrikoides

  • Jeong, Seong-Yun;Kim, Min-Ju;Lee, Sang-Youb;Son, Hong-Joo;Lee, Sang-Joon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85-289
    • /
    • 2006
  • In screening of algicidal bacteria, we isolated a marine bacterium which had potent algicidal effects on harmful algal bloom (HAB) species. This organism was identified as a strain very close to Bacillus subtilisby 16S rRNA gene sequencing. This bacterium, Bacillus sp. SY-1, produces very active algicidal compounds against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We isolated three algicidal compounds (MS 1056, 1070, 1084) and identified them by amino acid analyses,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ometry (FAB-MS), infrared spectroscopy (IR), $^1H$, $^{13}C$, and extensive two-dimensional nuclear magnetic resonance (2D NMR) techniques including $^1H-^{15}N$ HMBC analysis. One of them, MS 1056, contains a b-amino acid residue with an alkyl side chain of $C_{15}$. MS 1056, 1070, and 1084 showed algicidal activities against C. polykrikoides with an $LC_{50}$ (6 hrs) of 2.3, 0.8, $0.6\;{\mu}g/ml$,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also showed significant algicidal activities against other harmful dinoflagellates and raphidophytes. In contrast, MS 1084 showed no significant growth inhibition against various organisms coexisting with HAB species in natural environments, including bacteria, eukaryotic microalgae, and cyanobacteria, although it inhibited growth of some fungi and yeasts. These observations imply that algicidal bacterium Bacillus sp. SY-1 and its algicidal compound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onset and development of HABs in the natural environments.

  • PDF

[유산균]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17-832
    • /
    • 2011
  • 불가리아 사람들이 장수하는 것은 요구르트를 많이 섭취하여 유산균이 장내의 독소 생성 세균을 억제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젊을 때는 사람의 장 내용물 1 g당 100억 마리 이상의 $Bifidobacterium$이 살지만 노쇠하거나 병들면서 줄어들고 $Clostridium$ 등의 유해균이 많아진다. 그래서 인공적으로 장내의 비피도박테리움을 증가시키면 유해세균이 억제되어 건강하고 장수한다고 한다. 이를 위하여 섭취하는 미생물을 probiotic 미생물이라고 하며, 주로 유산균이 사용된다. 프로바이오틱 미생물은 항생제와 같이 유해균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유해균과 공생하면서 유해균을 억제하여 건강을 증진, 즉 숙주(사람)를 증생(增生)시킨다. 그래서 유산균을 주체로 하는 프로바이오틱 미생물과 그 제품은 변비, 설사, 장염, 혈중 콜레스테롤, 암 등을 예방 내지 치료하고 정장(淨腸) 작용으로 건강을 향상시킨다고 하여 시장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종균을 대부분(90%) 수입하여 사용하므로 한국인의 체질에 적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E사는 자체 개발한 미생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산균을 주체로 하는 프로바이오틱 미생물과 제품의 효과와 특성, 종류, 시장 등 전반적인 면을 살펴 보았다.

The dual probiotic and antibiotic nature of Bdellovibrio bacteriovorus

  • Dwidar, Mohammed;Monnappa, Ajay Kalanjana;Mitchell, Robert J.
    • BMB Reports
    • /
    • 제45권2호
    • /
    • pp.71-78
    • /
    • 2012
  • Bdellovibrio bacteriovorus is a predatory bacterium which attacks and consumes other bacterial strains, including the well known pathogens E. coli O157 : 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Helicobacter pylori. This remarkable activity has been the focus of research for nearly five decades, with exciting practical applications to medical, agriculture and farming practices recently being published. This article reviews many of the exciting steps research into this bacterium, and similar bacteria, has taken, focusing primarily on their use as both an antibiotic to remove harmful and pathogenic bacteria and as a probiotic to help curb and control the bacterial populations within the intestinal tract. Owing to the unique and dual nature of this bacterium, this review proposes the use of "amphibiotic" to describe these bacteria and their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