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andicapped pers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19초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와 학교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비교 (Web Accessibility Comparison between Handicapped Person Related Web Sites and School Web Sites)

  • 김황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365-370
    • /
    • 2014
  • 웹의 역할이 커져가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서 장애인을 위한 웹 접근성의 중요도 또한 커져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들의 접근성 실태를 알아보고자 학교 웹 사이트들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웹 접근성 평가 실험 결과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들의 접근성이 일반 학교의 웹 접근성보다 낮게 평가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일반 웹 사이트들에 비하여 장애인 관련 웹 사이트들의 웹 접근성 향상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보여준다.

Development of the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Mobility Handicapped Persons in Passenger Ship

  • Kim, Hongtae;Lee, Jong-Gap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763-767
    • /
    • 2012
  • The ratio of the mobility handicapped person is about 25.8% of the total population in Korea(MCT, 2006). In order to prepare for the enforcement of the "Transportation Services Improvement Act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People"(MCT, 2006), various equipments and installations should be developed to ensure appropriate safety level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persons in maritime transportation. While approximately 10 million people are using domestic passenger vessels annually, preferences for maritime transport is very low, especially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This study reviewed a current statu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person in domestic passenger ship and analysed the improvement plan for them.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passenger vessel usage by the mobility handicapped, to analysis the requirements for amenities necessary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select the ones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investigated results and to do feasibility study of barrier-free ship.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복지차량 연구-양산 차에 대한 휠체어 사용 탑승을 중심으로- (A Study on Welfare Vehicles for the User's of Wheelchair)

  • 이호숭
    • 디자인학연구
    • /
    • 18호
    • /
    • pp.123-134
    • /
    • 1996
  • 이동이 불편한 장애자에게 있어서 자동차는 필수 불가결한 존재이다. 특히 장애인의 재활을 통한 사회 참여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정상인들과 동등한 이동의 자유는 성숙사회에 있어서 질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이동수단을 통한 장애인의 적극적 사회참여와 휠체어 사용환경의 확대 추구를 목적으로, 휠체어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트랜스포테이션에 대한 제반적인 문제요소를 조사하고, 이들 문제요소의 해결을 위하여 장애인 승차의 특성을 고려한 자동차를 스타일링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존의 양산 차에 장애자를 위한 편의 시설을 보강하고, 구조 변경된 차량들의 조형적인 부분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되는 차종을 선정하여 휠체어 탑승이 가능하도록 내부구조를 제시하고, 스케치를 통해 변경된 차량의 모델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신체장애자의 안전성 관점에서 경사로 바닥의 미끄럼 평가방법에 관한 기초적 연구 (Evaluation Method of Slipperiness of Inclined Floors from a Viewpoint of Safety in Case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in Walking)

  • 최수경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145-153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신체적 약자와 건강한 사람의 경사로 바닥에 대한 미끄럼 평가척도의 변동 경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반신마비 장애인과 건강한 사람에 대한 중심동요 비교 실험을 통하여 신체적 약자의 중심동요 특성을 항상 재현하는 장애 고령화 체험장비가 개발하였다. 그리고 신체적 약자(건강한 사람이 장애 고령화 체험장비 착용)와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관능검사결과로부터 수평바닥 및 경사로 바닥에 대한 미끄럼 평가척도를 구성하였다. 미끄럼 평가척도와 미끄럼저항계수(C.S.R')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로부터 경사로의 기울기나 미끄럼저항 차이에 따른 미끄럼 평가척도의 변동 경향은 남성과 여성이 서로 유사하다는 사실을 명확히 규명하였다. 경사로 바닥에 대한 미끄럼의 평가는 건강한 사람은 C.S.R'가 0.30 이상이면 안전하다고 평가하지만, 신체적 약자는 C.S.R'가 $0.45{\sim}0.50$ 이상인 경우에도 위험하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의 차이는 주로 건강한 사람과 신체적 약자의 보행 메커니즘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상황인식-흰지팡이 (Situation-awareness White Cane Using a Mobile Device)

  • 전동희;전준욱;백화현;문미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67-173
    • /
    • 2014
  • 흰지팡이는 시각장애인이 보행을 위하여 사용하는 지팡이이다. 시각장애인의 보행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마트 전자 흰지팡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흰지팡이와 모바일기기 간의 통신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보행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몇 가지 상황들에 대해 안내해주는 상황인식 흰지팡이의 개발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상황인식 흰지팡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쉽게 누를 수 있는 형태로 버튼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를 누르면 시각장애인의 목에 걸려있는 스마트 모바일기기와의 블루투스 연동을 통해 상황인식 결과값을 음성으로 알림 받는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보행 환경에 대한 불안전 요소를 감소시켜줄 수 있으며 그 결과 보행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가정환경에서 홈 서비스로봇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me service robot interface in home environment)

  • 문용선;강성률;최형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710-1717
    • /
    • 2006
  • 현대는 과학의 발달로 점차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있어 장애를 갖는 장애인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을 위해 홈에서 가사 일을 도울 수 있는 홈 서비스 로봇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대한 기술로 인터페이스를 중요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홈에서 인간과 로봇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음성 인식과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음성에 따라 스테레오 카메라에 들어오는 물체의 거 리를 측정하였다.

상황인지 기반 스마트 워크플로우 AAC 시스템 (Context-Aware Based Smart Workflow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 박상현;김진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69-477
    • /
    • 2009
  •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보완 대체 기술적 연구가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다. 특히, 의사소통 분야에서는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자연스럽게 의사를 주고받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과 장치가 나왔지만, 아직까지 비장애인과 같이 완벽한 의사소통을 하기에는 기술적인 보완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증장애 및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장애인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의사를 전달하여, 생활함에 있어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중증장애인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이루어 질수 있도록 도와주는 Smart Workflow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기능과 장애인의 상황별 편리하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IR센서 기반의 상황 인지 기능을 개발하였다. 제한된 시스템은 실험을 통하여, 개개인의 장애 상황별 스케줄을 관리 및 장애인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보다 직관적으로 전달하는데 효율적인 것이 증명 되었다.

  • PDF

장애학생을 위한 대학캠퍼스 교육시설 내부 공용공간에 관한 조사 분석 (The Survey Analysis on the Interior Public Spaces of Education Facilities in University Campuses for Handicapped Students)

  • 최장순;김진원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9-26
    • /
    • 2012
  • Many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are recently remodeled to provide the substantial learning rights of handicapped students to embody the dignity and value as man by many campus authoriti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terior public spaces between entrances and class rooms for handicapped students of S and D campuses. The summari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bullet$Since S campus was built long years ago before the related law for the handicapped person enacted, it was thought that the campus master plan to consider handicapped students' activations must be established and the campus educational facilities was remodelled by campus master plan. $\bullet$Since D campus was built lately after the related law for them enacted, it was thought that the officer who is responsible for campus facilities for handicapped students put in order it by repair plan every year. By remodelling every year steadily according to each campus master plan, all handicapped students must be guaranteed the same learning rights as normal men to remove obstacles as the upper mentioned imperfections in using exterior campus facilities.

통합보육시설의 시설 및 설비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acility standards of integrated child care facility)

  • 김영은;박현수;이건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36-143
    • /
    • 2006
  • This research proposes the importance of physical environment if integ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a successful integration of children's education, we processed fundamental research on requirements of facility and equipments, looking at related standards and code on handicapped person's convenience facility. Also, this research alms at providing first step to establish evaluation method and quality assurance standards of integrated child care facility, regarding space planning of handicapped children. By examining home and abroad material and analyzing handicapped children's convenience facility standards, this research pursues improving the basis of planning criteria. As present criteria of relevant regulations appears not to handle detailed facility standards, and the handicapped people's facility is for childhood education, it is necessary first to differentiate indispensable equipments from optional one, then categorize them into more specific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