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Pc2

검색결과 739건 처리시간 0.032초

EDTA를 이용한 치근면 처리가 치은섬유모세포의 초기 부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Surface Treatment Using EDTA on the Initial Attachment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 김성봉;임기정;김상목;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145-157
    • /
    • 2000
  • Cytotoxic substances in dental calculus and root cementum of periodontally diseased teeth inhibit new attachment and regeneration. The purpose of scaling and root planing is to remove pathologic structures harboring these cytotoxic substances in order to create a biologically acceptable root surface. However, these procedures inevitably leave a non-biocompatible smear layer. Conventionally, the smear layer has been removed with low pH etching agents such as citric acid, phosphoric acid and tetracycline hydrochloride(TC). Lately, a supersaturated neutral pH etching solution of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EDTA) has been found to be as effective as low pH etchants with respect to smear removal and to be superior in exposing root surfaceassociated collage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oot surface treatment using EDTA on the initial attachment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27 human teeth, extracted due to severe periodontitis, were cut into dentin slices after root planing.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C group(treated with $50㎎/m{\ell}$ tetracycline-HCl, pH 1.52), EDTA group(treated with 17% EDTA, pH 7.4), and non-treated control group. After sterilization, 5th subcultur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seeded in each culture well containing a prepared root slice and incubated for 15 min., 60 min., and 4 hours in 5% $CO_2$ incubator at $37^{\circ}C$. At each incubation time, the number of attached fibroblasts were counted on the microphotographs taken at a magnification of x100. The difference of the number of attached cells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ANOVA followed by Duncan test in SPSS/PC+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fter incubation for 15 min, the attached cells were significantly more in EDTA group and TC group than non-treated control group(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between EDTA group and TC group(p>0.1). 2. After incubation for 60 min and 4 hou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ttached cells between all groups(p>0.1). 3. In both EDTA group and TC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ttached cells between different incubation(p>0.1). But in control group, the number of attached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incubation for 60 min, compared with incubation for 15 min(p<0.05).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root surface treatment using EDTA could enhance the initial attachment of gingival fibroblasts to root surface as effective as tetracycline-HCl.

  • PDF

PC12 신경세포에서 고당 및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곰취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gomchwi (Ligularia fischeri) extract against high glucose- and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PC12 cells)

  • 박상현;박선경;하정수;이두상;강진용;김종민;이욱;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08-5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곰취(Ligularia fischeri)의 in vitro 혈당 억제 가능성과 고당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대표적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하였다. 곰취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은 다른 분획물들보다 뛰어난 총 페놀 함량(223.33 mg GAE/g)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인체에서 당을 흡수하기 위해 필요한 효소인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효과에 의해 당뇨에 의한 고혈당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의적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말론다이알데하이드(MDA) 생성 억제효과를 갖는 곰취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은 과산화수소 및 고당으로 유발시킨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 및 이로 인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곰취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HPLC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표적인 페놀성 화합물은 클로로겐산의 이성질체인 3,5-DCQA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려할 때, 곰취는 고당으로 유도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소전 $CO_2$ 회수를 위한 고체 흡수제 및 WGS 촉매 특성 평가 (Solid $CO_2$ sorbents and WGS catalyst for pre-combustion $CO_2$ capture)

  • 엄태형;이중범;박근우;최동혁;백점인;류청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1.1-111.1
    • /
    • 2010
  •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의 고온 고압 합성가스로부터 $CO_2$를 저비용으로 포집하기 위한 연소전 포집 기술 중 유동층 촉진수성가스전환(SEWGS) 공정이 제안되어 연구개발 중에 있다. 연소전 $CO_2$ 포집을 위한 SEWGS 공정은 동일한 2탑 순환 유동층 반응기에서 고온 고압의 합성가스($H_2$, CO)를 유동층 WGS 촉매를 사용하여 CO를 $CO_2$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환반응으로 생성된 $CO_2$를 흡수제를 이용하여 포집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CO_2$ 회수와 WGS 반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정에 적용 가능한 건식 재생 흡수제 및 유동층 WGS 촉매 개발을 목표로 $CO_2$ 흡수제(P Series) 및 WGS 촉매(PC Series) 조성을 제안하고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6~8kg/batch로 성형 제조하였다. 제조된 $CO_2$ 흡수제 및 촉매의 특성 평가 결과 내마모도(Attrition resistance)를 포함한 물리적 특성이 유동층 공정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모사 석탄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20bar, $200^{\circ}C$ 흡수/$400^{\circ}C$ 재생 조건에서 열중량 분석기(TGA) 및 가압 유동층(Fluidized-bed) 반응기를 통한 흡수제의 $CO_2$ 흡수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마모도(AI) 3% 이하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CO_2$ 흡수능 17.6 wt%(TGA) 및 11wt%(가압 유동층)를 나타냈다. 유동층 WGS 특성 평가 결과 내마모도가 7~35%로 우수하였고, CO 전환율은 $200^{\circ}C$에서 80% 이상으로, 유동층 SEWGS 공정에 적용 가능한 특성을 확인하였다.

  • PDF

3T3-L1세포에서 selenate의 처리가 세포의 분화와 selenoprote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nate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the Expression of Selenoproteins in 3T3-L1 Cells)

  • 박설희;문양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085-1091
    • /
    • 2014
  • 본 연구는 지방전구세포에서 selenate가 지방세포의 분화와 초기 분화조절 연관 selenoprotein의 유전자발현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Selenate의 농도를 달리하여($0-100{\mu}M$) 지방전구세포가 confluent한 시기, 지방세포분화 유도 초기(day0-day2), 분화유도 중기(day2-day4), 또는 분화전기간(day0-day6)으로 구분하여 처리한 다음 세포내 지방구형성과 소포체(ER)스트레스 및 selenoptotein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Selenate에 의한 지방세포분화 억제효과는 지방세포가 post-confluent (cell cycle arrest), 분화유도 초기(mitotic clonal expansion), 또는 지속적인 처리가 주어진 상태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selenate를 분화유도 중기(post-mitotic growth arrest)에 처리되었을 때는 세포분화억제 효과가 감소하였다. Seps1와 Sepp1의 selenoprotein 유전자들은 mitotic clonal expansion시기에 높게 발현하였다가 post-mitic growth period에는 급격한 발현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p<0.05). 본 연구 결과는 selenate에 의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억제효과는 세포분화초기에 효과적인 기능이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selenoprotein의 분화유도초기와 중기의 변환지점에 이들 유전자들의 급격한 발현변화가 selenate에 의한 지방세포의 분화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미꾸라지 간으로부터 포스포리파아제 C델타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hospholipase C$\delta$from liver of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 서정수;임상욱;김나영;이상환;오현석;이형호;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7-80
    • /
    • 2005
  • 미꾸라지 (mudloach, Misgunus mizolepis)의 간으로부터 클로닝한 phosphoinositide-specific phospholipase C$\delta$ (ML-PLC$\delta$)를 대장균 (E. coli)에서 과발현시켜 만든 재조합 ML-PLC$\delta$와 미꾸라지 간 조직으로부터 직접 정제한 ML-PLC$\delta$의 생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pET28a vector (Novagen)를 이용하여 E. coli BL21(DE3)에서 과발현된 재조합 ML-PLC$\delta$$Ni^{2+}$-NTA affinity 크로마토그래피 및 gel filtration 칼럼에 의해서 정제되었다. 미꾸라지 간 조직으로 ML-PLC$\delta$는 open heparin 칼럼 및 분석용 heparin 칼럼등을 통하여 부분 정제하였다. 두개의 재조합 및 wild ML-PLC$\delta$는 phosphatidylinositol 4,5-bis-phosphate ($PIP_2$)에 대한 농도 의존적 PLC 활성을 보여주었고, 그 활성은 포유류 PLC$\delta$ 효소와 유사하게 칼슘 농도에 의존적인 활성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및 wild ML-PLC$\delta$는 각각 pH 7.0 및 7.5에서 가장 큰 PI-가수분해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재조합 및 wild ML-PLC$\delta$는 sodium doecylcholate (SDC) 및 phosphatidylethanolamine (PE), phosphatidylcholine (PC)와 같은 지질류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인 활성을 나타내나, spermine과 같은 polyamine류의 존재하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PLC 활성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미꾸라지 각 기관들의 ML-PLC$\delta$의 발현양상 및 양등을 측정하여 보았을 때 ML-PLC$\delta$는 포유류 PLC$\delta$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의 PLC$\delta$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 미루어서 미꾸라지로부터 얻은 ML-PLC$\delta$는 포유류의 PLC$\delta$ isozymes과 유사한 형태의 생화학적 특성을 가지나, 포유류 PLC$\delta$1과 PLC$\delta$3 isozyme의 생화학적 특성을 함께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수박 열수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능과 신경세포 보호효과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Neuronal Cell Protection of Hydrothermal Extracts from Watermelons)

  • 허다정;김수정;최애란;박해룡;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707-1711
    • /
    • 2013
  • 수박을 과육, 외피, 내피로 나누어 $100{\sim}300^{\circ}C$에서 10, 30, 60분간 열수 추출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과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과육과 외피에서 $300^{\circ}C$, 60분 처리했을 때, 약 93%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300^{\circ}C$에서 60분간 열수 추출한 수박 추출물을 PC12 세포주에 농도별로(10, 50, 100, 500 ${\mu}g/mL$) 처리하여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열수 추출을 하지 않은 수박 부위별 추출물은 $H_2O_2$ 처리군과 세포생존율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이를 통해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나, 열수 추출물들은 $H_2O_2$ 단독 처리군에 비해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열수 처리가 수박에 함유된 유용 물질들의 추출에 매우 유용한 공정임을 시사한다.

Dynamic change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otein and carbohydrate fractions of native grass grown in Inner Mongolia during ensiling and the aerobic stage

  • Du, Zhumei;Risu, Na;Gentu, Ge;Jia, Yushan;Cai, Yim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4호
    • /
    • pp.556-567
    • /
    • 2020
  • Objective: To improve the utility of native grass resources as feed in China, we investigated the dynamics of protein and carbohydrate fractions among Inner Mongolian native grasses, during ensiling and the aerobic stage, using the Cornell Net Carbohydrate and Protein System. Methods: Silages were prepared without or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inoculant. We analyzed the protein and carbohydrate fractions and fermentation quality of silages at 0, 5, 15, 20, 30, and 60 d of ensiling, and the stability at 0.5, 2, 5, and 10 d during the aerobic stage. Results: Inner Mongolian native grass contained 10.8% crude protein (CP) and 3.6% water-soluble carbohydrates (WSC) on a dry matter basis. During ensiling, pH and CP and WSC content decreased (p<0.05), whereas lactic acid and ammonia nitrogen (N) content increased (p<0.05). Non-protein N (PA)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rapidly degraded true protein (PB1), intermediately degraded true protein (PB2), total carbohydrate (CHO), sugars (CA), starch (CB1), and degradable cell wall carbohydrate (CB2) content decreased during ensiling (p<0.05). At 30 d of ensiling, control and LAB-treated silages were well preserved and had lower pH (<4.2) and ammonia-N content (<0.4 g/kg of fresh matter [FM]) and higher lactic acid content (>1.0% of FM). During the aerobic stage, CP, extract ether, WSC, lactic acid, acetic acid, PB1, PB2, true protein degraded slowly (PB3), CHO, CA, CB1, and CB2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all silages, whereas pH, ammonia-N, PA, and bound true protein (PC)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Control and LAB-treated silages produced similar results in terms of fermentation quality, aerobic stability, and protein and carbohydrate fractions. Inner Mongolian native grass produced good silage, nutrients were preserved during ensiling and protein and carbohydrate losses largely occurred during the aerobic stage.

육계 사료 내 클로렐라의 첨가·급여가 생산성, 장내미생물 및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hlorella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Intestinal Micro Flora Concentration of Broiler Chickens)

  • 강환구;최희철;김동운;황보종;나재천;방한태;김동욱;김민지;하룬 무스타크;라나 파빈;김지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71-276
    • /
    • 2013
  • 본 실험은 액상 클로렐라, 분말 클로렐라 및 클로렐라 사료 첨가제 0.5%, 1.0%를 육계 사료 내 첨가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혈액 성상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육계(Ross) 초생추 총 720수를 공시하여 6처리 4반복, 반복 당 30수씩 공시하여 5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로는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NC, negative control), 항생제 처리구(PC, positive control), 액상 클로렐라 1.0% 첨가구 (T1), 분말 클로렐라 1.0% 첨가구 (T2), 클로렐라 사료 첨가제 1.0% 첨가구 (T3) 그리고 클로렐라 0.5%(T4)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종료 시 체중은 무항생제 처리구(NC, negative control)에서 1,635 g 항생제 처리구(positive control) 1,655 g, 액상 클로렐라 첨가구 1,654 g, 분말 클로렐라 첨가구 1,653 g 그리고 클로렐라 사료 첨가제 1.0% 및 0.5%에서 각각 1,672 g, 1,670 g으로 나타나, 클로렐라 사료 첨가제 처리구에서 무항생제 처리구와 비교 시 평균 2% 이상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장내 미생물 조사에서는 클로렐라 사료 첨가제 첨가구에서 유산균수는 각각 7.65 CFU/g, 7.49 CFU/g으로 나타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E. coli 및 Samonella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혈액 내 IgG, IgA 그리고 IgM 역시 클로렐라 함유 사료 첨가제에서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결과적으로 육계사료 내 클로렐라 함유 사료첨가제의 첨가 급여는 장내 미생물 중 유산균 함량과 혈액 면역 물질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육계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내 외적으로 가축 사료 내 클로렐라를 활용한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보다 진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Extracellular Phospholipase $A_2$ in Urine of Patients with Acute Pyelonephritis

  • Park, Jae-Hyeun;Lee, Jee-Hye;Baek, Suk-Hwan;Moon, Tae-Chul;Lee, Jong-Myung;Kim, Nung-Soo;Nam, Kyung-Soo;Chang, Hyeun-Wook
    • BMB Reports
    • /
    • 제30권2호
    • /
    • pp.101-105
    • /
    • 1997
  • Extracellular phospholipase $A_2$ activity has been detected in urine of patients with acute pyelonephritis (APN). This enzyme required micromolar $Ca^{2+}$ ion for its maximum activity and showed a broad range of pH (4.5~10) optimum. Urine enzyme hydrolyzed phosphatidylethanolamine (PE) and phosphatidylserine (PS) more effectively than phosphatidylcholine (PC). $PLA_2$ activity in the urine of patients with APN was about 5-fold higher than that of healthy individuals. When urine was subjected to heparin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phospholipase $A_2$ activity was detected in both heparin-non-binding and binding fractions. Both phospholipase $A_2$ activities were sensitive less than a micromolar calcium concentration and did not react with anti-human 14-kDa group II phospholipase $A_2$ monoclonal antibody, HP-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wo kinds of novel extracellular phospholipase $A_2$. which may not belong to the 14-kDa group II phospholipase $A_2$ family, exist in the urine of patients with APN.

  • PDF

Mutant Presenilin 2 Increases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Neuronal Cells

  • Nguyen Hong Nga;Hwang Dae Youn;Kim Young Kyu;Yoon Do Young;Kim Jae Hwa;Lee Moon Soon;Lee Myung Koo;Yun Yeo Pyo;Oh Ki Wan;Hong Jin Ta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9호
    • /
    • pp.1073-1078
    • /
    • 2005
  • A presenilin 2 mutation is believed to b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lzheimer's disease. In addition, transgenic mice with a presenilin 2 mutation have been reported to have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 this study, exposing PC12 cells expressing mutant presenilin 2 to $50{\mu}M\;A{\beta}_{25-35},\;30mM$ L-glutamate and $50{\mu}M\;H_2O_2$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y. An in vivo study revealed high levels of this enzyme activity in the mutant presenilin 2 transgenic brains compared with the wild type presenilin 2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mutant presenilin 2-induced neurodegeneration in Alzheimer's disease might be involved in the increase in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These findings might help in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 targeting mutant presenilin 2-induced Alzheimer's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