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정밀화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Fluoxymesterone, $C_{20}H_{29}FO_3$의 결정구조 (The Crystal Structure of Fluoxymesterone, $C_{20}H_{29}FO_3$)

  • 김의성;박권일;조성일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10
    • /
    • 1993
  • 11 β ,17 β -dihydroxy-9a-fluoro-l7a-methyl androst-4-en-3-one (Fluoxymesterone), CgoH29 FO,, orthorhombic, P2,2,2,, a=13.468(5) A, b= 19.554 (2)A, c=6.578(9)A, a=b=r=90˚, A (CuKa)=1.5406 A , Dm=1.289cm-3, Dc=1.299cm-3 and Z=4 at T=298k. The structure was solved by direct method using seminvariants of ggg Parity group and refined by the full-matrix least-square method, resulting model with reliability factor R=0.069 for 1098 unique reflection over 3σ . Ring A is an 1β-2a-half chair, 5 ring has a highly symmetrical chair conformation, C ring is in a distorted chair conformation and D ring is a 13aenveLope conformation. In the crystal structure, the molecules are packed with a hydrogen bond of 011-H23‥‥03(0.5+x, 1.5-y, 1.0-z) [1.94(9) A of H‥‥0.2.786(9)A of 0‥‥0 and 165(8) ˚ of

  • PDF

$750^{\circ}C$ 에서 탈수한 $Cd_6-A$의 결정구조와 이 결정을 세슘 증기로 반응시킨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s of $Cd_6-A$ Dehydrated at $750^{\circ}C$ and Dehydrated $Cd_6-A$ Reacted with Cs Vapor)

  • 장세복;김양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1-198
    • /
    • 1993
  • $Cd^{2+}$ 이온으로 이온 교환된 제올라이트 A를 $750^{\circ}C$에서 $2{\times}10^{-6}$ torr의 진공하에서 탈수한 구조(a = 12.204(1) $\AA$)와 이 결정에 $250^{\circ}C$에서 12시간도안 약 0.1 torr의 Cs 증기로 반응시킨 구조 (12.279(1) $\AA$)를 $21^{\circ}C$에서 입방공간군 Pm3m를 사용하여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해석하고 정밀화하였다. 탈수한 $Cd_{6-}A$의 구조는 Full-matrix 최소자승법 정밀화 계산에서 I > $3{\sigma}(I)$인 151개의 독립반사를 사용하여 최종 오차인자를 $R_1=$ 0.081, $R_2=$ 0.091까지 정밀화 계산하였고, 이 결정을 세슘 증기로 반응시킨 구조는 82개의 독립반사를 사용하여 $R_1=$ 0.095 and $R_2=$ 0.089까지 각각 정밀화시켰다. 탈수한 $Cd_{6-}A$의 구조에서는 단위세포당 6개의 $Cd^{2+}$ 이온은 O(3)의 (111) 평면에서 소다라이트 동공쪽으로 약 $0.460\AA$ 들어간 자리에 위치하였다(Cd-O(3) = 2.18(2) $\AA$ and O(3)-Cd-O(3) = $115.7(4)^{\circ}$ 또 약 0.1 torr의 Cs 증기를 써서 $250^{\circ}C$에서 반응시킨 결정에서는 탈수한 $Cd_{6-}A$의 6개의 $Cd^{2+}$ 이온은 모두 Cs 증기에 의해 환원되고 세슘은 4개의 다른 결정학적 자리에 위치하였다. 3개의 $Cs^+$ 이온은 $D_{4h}$의 대칭을 가지고 8-링의 중심에 위치하였다. 단위세포당 약 9개의 $Cs^+$ 이온은 3회 회전축상에 위치하였다. 그 중 약 7개의 $Cs^+$ 이온은 큰 동공내의 3회 회전축상의 6-링에 위치하고 2개의 $Cs^+$ 이온은 소다라이트 동공내에 존재한다. 0.5개의 $Cs^+$ 이온은 큰 동공의 4-링과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한다. 이 구조에서 제올라이트 골조의 음하전을 상쇄시키는데 필요한 단위세포당 12개의 $Cs^+$ 이온보다 많은 약 12.5개의 Cs 종이 존재한다. 즉 $Cs^0$가 흡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관측한 점유수에서 두 종류의 단위 세포 배열 즉 $Cs_{12}-A$$Cs_{13}-A$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단위세포의 약 50%는 2개의 $Cs^+$ 이온이 소다라이트 동공내에서 6-링 가까이에 존재하고 6개의 $Cs^+$ 이온은 큰 동공내에서 6-링 가까이에 위치한다. 1개의 $Cs^+$ 이온은 큰 동공내에서 4-링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단위세포의 나머지 50%는 소다라이트 동공내에 2개의 Cs종이 위치하고 큰 동공내에 있는 8개의 $Cs^+$ 이온 중 2개의 $Cs^+$ 이온과 결합하여 선형의 $(Cs_4)^{3+}$ 클라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이 클라스터는 3회 회전축상에 놓여있고 소다라이트 동공 중심을 지나가고 있다. 모든 단위세포는 3개의 $Cs^+$ 이온이 D4h의 대칭을 가지고 8-링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 PDF

$[({\eta}^5-Cp)Co]_2$ (1,2-S,S-o-Carborane) $(C_{12}H_{20}B_{10}S_2Co_2)$의 합성 및 결정구조 (The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of $[({\eta}^5-Cp)Co]_2$(1,2-S,S-o-Carborane) $(C_{12}H_{20}B_{10}S_2Co_2)$)

  • 조성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2-67
    • /
    • 2008
  • 유기금속 화합물 $C_{12}H_{20}B_{10}S_2Co_2$를 o-carborane으로 출발하여 $Cp^*Co(S_2B_2B_{10}H_{10})$을 합성하고, $BH_3{\cdot}THF$를 가하여 합성하였다.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C_{12}H_{20}B_{10}S_2Co_2$ 화합물의 분자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화합물의 결정학적 자료는 monoclinic, space group Cc, a=15.981(4) ${\AA}$, b=15.478(17) ${\AA}$, c=12.0562(17) ${\AA}$, ${\beta}=115.063(16)^{\circ}$, Z=4, V=9683(4) ${\AA}^3$이다. 결정 구조는 직접법으로 해석하였으며, 완전행렬최소자승법을 정밀화 하였으며 9948개의 회절 반점에 대하여 최종 신뢰도 인자 R=0.0630인 분자모형을 구하였다.

C_{28}H_{41}N_4O_4Br\;{\cdot}\;2H_2O$의 결정구조 ([ $C_{28}H_{41}N_4O_4Br\;{\cdot}\;2H_2O$ ])

  • 김문집;이정아;조경진;최기영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3-98
    • /
    • 2004
  •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C_{28}H_{41}N_4O_4Br\;{\cdo}t\;2H_2O$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해석하였다. 이 결정의 결정계는 Triclinic이고 공간군은 Pl이며, 단위포 상수 a=9.000(1) $\AA$, b=9.312(3) $\AA$, c=9.344(2) $\AA$, $\alpha=89.37(20)^{\circ},\;\beta=68.81(3)^{\circ},\;\gamma=84.70(4)^{\circ},\;V=726.7(8){\AA},\;T=298K,\;Z=1,\;D_c=1.402Mgm^{-3}$이다. 회절반점들의 세기는 Enraf-Nonius CAD4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사용한 X-선은 graphite로 단색화한 $MoK{\alpha}$$(\lambda=0.71073\;{\AA}$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Direct method로 풀었으며, $F_o>4{\sigma}(F_0)$인 2521개의 독립 회절 데이터에 대하여 최소 자승법으로 370개의 변수를 정밀화하여 최종 신뢰도 값 $R=5.95\%$를 얻었다.

$C_{16}H_{19}O_2N_3CuCl_2\;{\cdot}\;H_2O$의 결정 구조 ([ $C_{16}H_{19}O_2N_3CuCl_2\;{\cdot}\;H_2O$ ])

  • 김문집;김영수;최기영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9-103
    • /
    • 2004
  •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C_{16}H_{19}O_2N_3CuCl_2\;{\cdot}\;H_2O$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해석하였다. 이 결정의 결정계는 Triclinic이고 공간군은 Pl이며, 단위포 상수는 $a=7.6202(9)\;{\AA},\;b=8.5943(7){\AA},\;c= 8.6272(6){\AA},\;\alpha=67.518(6)^{\circ},\; \beta= 68.043(8)^{\circ},\;\gamma=74.370(8)^{\circ},\;V=478.89(8)\;{\AA}^3,\;T=295K,\; Z=1,\;D_c=1.504Mgm^{-3}$이다. 회절반점들의 세기는 Enraf-Nonius CAD-4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graphite로. 단색화한 $MoK{\alpha}$,$(\alpha=0.7107\;\AA)$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Direct method로 풀었으며, $F_0>4\sigma(F_0)$인 1659개의 독립회절데이터에 대하여 최소 자승법으로 234개의 변수를 정밀화하여 최종 신뢰도 값 $R=2.47\%$를 얻었다.

Salicylaldehyde-4-piperidinothiosemicarbazone의 결정 및 분자구조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Salicylaldehyde-4-piperidinothiosemicarbazone)

  • 이영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4
    • /
    • 1976
  • 살리실알데히드-4-피페리디노티오세미카르바죤의 분잠 및 결정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밝혔다. 이 화합물의 결정은 직각비등축정계에 속하며 공간군은 $P2_12_12_1$이다. 단위세포상수는 a = 6.52(2), b = 13.42(4), c = 14.92(4)${\AA}$으로서 4개 분자를 포함하고 있다. 원자의 좌표는 중원자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고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1019개의 구조인자에 대한 최종 R값은 0.10이다. 티오세미카르바죤 화합물에서 C=S결합은 N-NH 결합에 대해 트랜스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은데 살리실알데히드-4-피페리디노티오세미카르바죤에서는 시스위치에 있다. 히드록실기의 산소원자는 O-H${\cdots}$O의 분자내수소결합과 N-H${\cdots}$O의 분자간수소결합에 참여하는데 그 수소결합길이는 각각 2.56${\AA}$과 3.00${\AA}$이다. 분자간에는 N-H${\cdot}{\cdot}{\cdot}$O 수소결합에 의하여 a축에 평행한 나선축을 따라 나선형 분자띠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 분자띠는 반데르왈스힘으로 결합되어 있다.

  • PDF

(${\eta}^5-Cp^*$)(Ir-B3)(1,2-S,S($CH_2SiMe_3$)-o-carborane) ($C_{16}H_{35}B_{10}IrS_2Si$)의 합성 및 결정구조 (The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of (${\eta}^5-Cp^*$)(Ir-B3)(1,2-S,S($CH_2SiMe_3$)-o-carborane)($C_{16}H_{35}B_{10}IrS_2Si$))

  • 조성일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8권1_2호
    • /
    • pp.1-6
    • /
    • 2007
  • 유기금속 화합물 $C_{16}H_{35}B_{10}IrS_2Si$를 o-carborane으로 출발하여 $Cp^*Ir(S_2C_2B{10}H_{10})$을 합성하고, $Me_3SiCHN_2$를 가하여 합성하였다.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C_{16}H_{35}B_{10}IrS_2Si$ 화합물의 분자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화합물의 결정학적 자료는 monoclinic, space group $P2_1/n$, $a=10.1986(12)\;{\AA}$, $b=14.834(5)\;{\AA}$, $c=17.139\;{\AA}$, ${\beta}=92.24(2)^{\circ}$, Z=4, $V=2591.0(14)\;{\AA}^3$이다. 결정 구조는 직접법으로 해석하였으며, 완전행렬최소자승법을 정밀화 하였으며 5080개의 회절 반점에 대하여 최종 신뢰도 인자 R=0.053인 분자모형을 구하였다.

H.264하에서 마크로 블록 그레이 값의 미분을 사용한 인터폴레이션 (Hybrid Algorithm for Interpolation Based on Macro-block Gray Value Gradient under H.264)

  • 왕실;진홍신;유현중;김형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74-279
    • /
    • 2009
  • H.264에서는 2-D 6-tap wiener filter가 1/2 화소의 위치로부터 1/4 화소 위치를 보간해 내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이웃 화소들의 변화율을 무시하고, 4 방향의 이웃 화소들의 영향만 고려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저역 필터의 특성을 갖게 된다. 그런데, 큐빅 보간 법을 사용하면 보다 넓은 영역의 화소 값을 고려하여 보간하는 장점은 있지만 계산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H.264에서 bilinear와 cubic 보간 법을 사용할 경우의 특성들을 해석하여, 임의의 큰 블록에 보다 적합한 보간 방법을 자동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에서 물체영상의 움직임 탐색과 보간에 요구되는 계산량을 보간의 정밀화를 통하여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p-Dimethylaminobenzaldehyde 4-(p-Ethoxyphenyl) Thiosemicarbazone구조의 정밀화 (Refinement of the Structure of p-Dimethylaminobenzaldehyde 4-(p-Ethoxyphenyl) Thiosemicarbazone)

  • 서일환;서추명;박영자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16
    • /
    • 1991
  • p-dimethylaminobenzaldehyde 4-(p-ethoxyphenyl) thiosemicarbazone, C18H22N4OS의, 단위포상수는 단사정계 a=11.802(2), b=31.962(2), c=9.829(2)A, β=100.12(1)˚, V=3694.8A3이며 F(000)=1472, Mr=342.47, 공간군은 P2₁/c, Z=8, Dx=1.246 Mg m-3, Dm=1.17Mg m-3, μ=0.15mm-1이다. T=294 K에서 Mo Ka(λ=0.71073 A)을 사용하여 최종 R값은 0.0856이다. 비대칭단위내의 두개 분자간의 구조상의 큰차이는 C(9)-N(1)-C(6)-C(7)의 비틀림각이 각각 58.8(8)˚와 1(1)˚인것으로, 각 분자는 길이가 각각 2.613(7)과 2.566(7) A인 N(1)-H(10)'N(3) 분자내 수고결합을 하고 있으며 각 분자는 N(2)원자를 정점으로 하여 V-모양을 하고 있다. 독립적인 두 분자는 두개의 분자간 수소 결합 N(2)-H(11)'S'=3.367(5) A과 N(2')-H(11')'S=3.421(4)A으로 연결되어 이중체(dimer)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이중체들은 van der Waals력으로 결합되어 있다.

  • PDF

Piperidinothiosemicarbazide의 結晶 및 分子構造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Piperidinothiosemicarbazide)

  • 구정회;김훈섭;장종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91
    • /
    • 1975
  • 피페리디노티오세미카르바지드의 결정구조가 X-선을 이용한 단결정 해석에 의하여 해명되었다. 공간군은 $P2_1/c$이며 단위세포는 4분자를 포함하고 있고, 단위세포는 4분자를 포함하고 있고, 세포상수는 $a=14.68{\pm}0.04,\;b=4.59{\pm}0.02,\;c=12.92{\pm}0.04{\AA},\;{\beta}=109.4{\pm}0.2^{\circ}$이다. 3차원적인 회절반점의 강도는 목측에 의하여 얻었다. 결정구조는 패터슨 함수의 해석으로 밝혔고, 원자좌표치는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으며 378개의 독립적인 회절반점에 대한 최종 R값은 0.14이었다. 수소결합에는 $N-H{\cdot}{\cdot}{\cdot}S$ 형과 $N-H{\ldots}N$형의 두종류가 있다. $N-H{\ldots}S$형의 길이는 3.28 및 $3.39{\AA}$이고, $N-H{\ldots}N$형의 길이는 $3.03{\AA}$이다. 수소결합외의 분자들을 연결하는 힘은 van der Wasls힘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