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mnosperm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물 스트레스를 받는 속씨식물과 겉씨식물에서 검출된 음향방출의 신호특성 (Signal Characteristics of Acoustic Emission from Angiosperm and Gymnosperm by the Water Stress)

  • 남기우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80-487
    • /
    • 2003
  • 식물의 환경제어 향상을 위하여, 비파괴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식물의 신호 특성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속씨식물과 겉씨식물에서 검출되는 음향방출 신호에 미치는 물 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낮 시간의 음향방출 신호는 밤 시간 보다 훨씬 많았으며, 낮 시간의 신호는 식물의 물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속씨식물과 겉씨식물은 음향 신호의 강한 주파수 대역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실외에서 검출한 식물의 음향 신호 주파수는 동일한 식물을 사용하여 실내에서 검출한 신호의 주파수 범위와 일치하였다.

인도네시아 식물 3종(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from 3 Types Indonesia Plants (Hibiscus Petals, Moringa Oleifera Gymnosperm, and Nipa Fruticans Wurmb))

  • 최지혜;황진우;이성규;허수학;강현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2-47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네시아 원료 중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차용)을 열수로 추출하여 항산화 능을 비교하여 어떠한 시료가 효능이 높은지 조사하고, 또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나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해서도 연구하는 것이었다. 방법: 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 추출물을 열수 추출하여 polyphenol, flavonoid의 함유량 및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와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 radical의 소거 능력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을 검사하였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시료들의 독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해죽순 열수 추출물의 polyphenol 함유량은 109 ㎍/mg으로 히비스커스 꽃잎(13 ㎍/mg)과 모링가 겉씨(19 ㎍/mg)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flavonoid 함유량은 다른 모링가와 히비스커스보다 높게 나타났다. ABTS와 DPPH radical 소거능 또한 해죽순이 높았으며, 상기시료들의 세포독성 실험결과는 비슷하였다. 결론: 위의 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의 열수 추출한 결과물이 항산화 작용이 높고 독성이 거의 없어서 화장품 물질이나 자연유적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나자식물의 바른 한국어(韓國語) 용어 사용에 대한 제언 (A Contribution to Appropriate Korean Equivalents to Some International Gymnosperm Terminologies)

  • 성은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126-139
    • /
    • 2018
  • 생식구조를 중심으로 나자식물의 바르지 않은 한국어 용어를 바로 잡고 국제용어에 상응하는 나자식물의 한국어 용어를 제안하여 정리하였다. 즉, 나자식물 용어에 '꽃(花)'이나 '열매(果實)'의 의미가 들어 있는 용어를 중심으로 바로 잡았다. 예를 들어, '열매' 또는 '구과(毬果)'라고 부르는 'cone'은 '종구(種毬)'로 수정하고, '종린(鍾鱗)' 또는 '실편(實片)'이라고 부르는 'cone scale', 'ovuliferous scale'은 '종린(種鱗)' 하나로 정리하고, '화분낭(花粉囊)'으로 부르는 'microsporangium', 'pollen sac'은 '소포자낭(小胞子囊)'으로 부르고, 화분(花粉)이라고 부르는 'pollen'은 '소포자(小胞子)' 또는 '웅성배우자체(雄性配偶者體)'로 수정할 것을 제안했다. '암꽃', '자화수(雌花穗)', '구화수(毬花穗)', '구상화서(毬狀花序)', '자화서(雌花序)' 또는 '자성구화수(雌性毬花穗)' 등으로 부르는 'female cone', 'ovulate cone'은 '암종구(種毬)', '자종구(雌種毬)', '자성종구(雌性種毬)'로 정리했으며, 나자식물에는 '꽃(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화수(花穗)', '화서(花序)' 등으로 부르는 'strobilus'는 '포자수(胞子穗)' 또는 '포자낭수(胞子囊穗)'로 정리했다. 생식구조와 관련이 없는 용어로 '구과식물(毬果植物)' 또는 심지어 '침엽수(針葉樹)'라고 부르는 'conifers(coniferous plants)'는 '종구식물(種毬植物)' 또는 '송백류(松栢類)'로 정리했다.

나자식물이 꽃피는 식물로 인식되고 있는 잘못된 관행의 분석 (Analysis of the misguided practice of recognizing Gymnosperms as flowering plants)

  • 이규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88-29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식물학이 시작된 이후 57년이 넘도록 나자식물 분류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잘못 인식되어 온 관행의 원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즉, 수많은 식물(분류)학 관련 매체들에서, 나자식물(꽃이 피지 않는 종자식물)의 생식구조(cone 및 pollen)에 관한 용어 및 기재에 피자식물(꽃이 피는 종자식물)에서 사용되는 생식기관(꽃)의 용어들을 그대로 적용하여 쓰고 있다. 이로 인하여, 마치 나자식물이 꽃이 피는 식물(피자식물)인 것처럼 오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오류의 관행은 각급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꽃에 대한 개념 및 정의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커다란 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으며, 이는 식물(분류)학 교육에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많은 식물학 관련 매체들로부터 나자식물에 대하여 잘못 표현된 용어 및 기재를 조사하여, 이를 분계도, 생식구조의 해부학, 분류체계의 역사적 배경 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의(單板樹種)의 목재식별(木材識別) - II. 현미경적(顯微鏡的) 성질(性質)에 의한 목재(木材)의 특성(特性) 및 그 식별(識別) - (Wood Identification of the Veneer Species that grow in Korea - II. Wood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by the Microscopic Features -)

  • 이필우;엄영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22-55
    • /
    • 1987
  • 본(本) 연구(硏究)는 육안적(肉眼的) 특성(特性)에 의한 목재식별(木材識別)의 속보(續報)로써 앞으로 생산가능(生産可能)한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현미경적(顯微鏡的) 목재특성(木材特性)을 조사(調査)하여 합판공업(合板工業)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선정(選定)된 50수종(樹種)의 현미경적(顯微鏡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여 수종별(樹種別)로 기재(記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침엽수재(針葉樹材) 및 활엽수재별(闊葉樹材別)로 목재식별(木材識別) 검색표(檢索表)를 간략(簡略)하게 보고(報告)하면 다음과 같다.

  • PDF

식물의 환경 변화에 따른 음향방출의 신호특성 (Characteristics of AE Signals from Pla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Variation)

  • 남기우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8-20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식물에 나타나는 다양한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식물의 상태를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검토하여 식물생장을 제어하기 위한 기초적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건조토양에서 겉씨식물과 속씨식뭍은 물관부에서 발생하는 케비테이션 신호만 검출되었다 증류수를 공급한 직후는 물관부의 강한 신호와 원형질 연락사 및 세포만의 약한 신호가 동시에 검출되었다. 그러나 강산성수를 공급한 경우는 증류수를 공급한 경우와 상반되는 신호가 검출되었다. 바람의 세기, 잎의 수, 음악, 기온 및 습도는 음향 신호 발생 수에는 영향을 끼쳤으나,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 범위는 같았다.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airborne pollen in Korea peninsula

  • Moon, Hye-Kyoung;Kong, Min-Jung;Song, Jun-Ho;Kim, Sun-Yu;Kim, Jin-Suk;Jung, Eun-Hee;Park, Chan-Ho;Lee, Byoung-Yoon;Hong, Suk-Py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59-168
    • /
    • 2015
  • Although airborne pollen is invisible to the eye, it has been known as a major source to respiratory allergic reactions. For this reason, airborne pollen is monitoring in many countries to predict pollen concentration based on locality and season. Howeve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irborne pollen and their potential tendency as an allergen are still obscure. In the present study, we selected 52 airborne pollen samples based on previously reported data and investigated their detail pollen characteristics using LM and SEM. Major airborne pollen in Korea has sorted in 19 families (most angiosperms except four gymnosperm families), and all pollen grains are small to medium in size ($P=17.34-49.86{\mu}m$) apart from the bisaccate pollen grains of Pinaceae ($P=46.49-106.20{\mu}m$). The aperture number and shape vary from sulcate to polyporate. While the inaperture pollen has found only in gymnosperm (Cupressaceae and Taxaceae), triporate or polyporate is common pollen type in angiosperm. The sexine ornamentations could divide into several types, but the most sculpturing types are inconspicuous like psilate, rugulate and granulate. Reticulate pollen grains as a semitectum have occurred the species of genera Platanus and Fraxinus only. To estimate the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pollen features and allergen,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botanical context.

수종 나자식물의 잎 수용 추출액이 무궁화의 품종별 종자발아와 유식물 및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f Aqueous Extracts from Some Gymnosperm Plant on the Seed Germination, Seedling Growth and Transplant of Hibiscus syriacus Varieties)

  • 배병호;김용옥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1호
    • /
    • pp.39-47
    • /
    • 2003
  • 나자식물 5종의 잎 수용 추출액과 무궁화 4품종간의 allelopathy 현상을 조사하였다. 이들 수용 추출액의 총 phenolic compound 함량은 리기다소나무가 2.21 mg/L, 그리고 생육지의 수관 내 토양 총 phenolic compound 함량은 잣나무가 1.38 mg/L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HPLC를 이용하여 phenolic compound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14종을 확인하였고, 그 중 리기다소나무의 phenolic compound함량은 320.56 g/mg으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5-sulfosalicylic acid가 312.55 g/mg로 분석되었다. 수용 추출액의 총 phenolic compound 함량과 pH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총 phenolic compound는 공여체 식물의 수관내 토양 pH에 변화를 보이고 있다. 무궁화의 종자발아 실험에서 수용 추출액의 임계농도는 25%였으며 이 경우 잣나무의 수용 추출액은 4품종의 상대종자발아율이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약간의 발아 촉진현상이 나타났고, 도입종인 캄판화 종자는 모든 수용추출액의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촉진되었다. 또한 유식물 생장에서 서호향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의 지상 및 지하부의 생장이 모두 촉진되었으며 그 외 품종들의 지상부 생장은 대조구와 유사하고 지하부는 촉진되었다. 또한 실외의 초기생장에서 서호향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촉진되었고 그 외 품종은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감소하고 건중량은 서호향이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촉진되었고 그 외의 품종은 대부분 대조구보다 억제되었다. 엽록소의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고요로와 서호향의 품종에서 약간의 촉진현상이 있었으나 그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5종의 나자식물 수용 추출액은 무궁화의 4품종 중에서 서호향은 생장의 촉진을, 그리고 다른 품종들은 억제 시키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사별관리를 위해 사별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관리운영자의 전문적인 교육과 봉사자 교육 및 훈련이 있어야 하고 사별자의 개별성과 요구에 적합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앞으로 한국실정에 맞는 토착화된 사별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시도되어야 하며 이를 실무에 적용시켜야 한다.ssumption,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microbes and excessive concentrations of EA, and borate at a high pH level.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국음식을 더 많이 해서 전통음식과 친밀한 장소로 발전시키자', '계절식품을 이용하고 비슷한 종류의 음식은 빼서 가격을 낮추자', '연령에 따라서, 또, 성인에서는 성별에 따라 가격 차이를 두자'는 의견 등이 있었다.이용한 배반포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배양액내 항산화제의 첨가는 체외성숙단계에서만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아마도 항산화제가 체외성숙 시 난포란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화학 반응의 처리시간과 관련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난포란의 생존력을 높인 것이라고 사료되기 때문에 앞으로는 돼지 난포란의 효율적인 체외성숙에 대해서 배양액내 첨가물질은 물론 나아가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더욱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ed from Nusselt's film condensation theory on tilted plate. Using those two expressions, a correlation was formulated as a function of heat flux and tilt angle, to determine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a tilted thermosyphon. The

Identification of Cambodian Gnetum (Gnetaceae, Gnetales) species by DNA barcoding

  • Kim, Joo Hwan;Won, Hyosi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3-174
    • /
    • 2016
  • Gnetum (Gnetaceae, Gnetales) is a gymnosperm genus with ca. 35 species distributed in tropical forests around the world. Due to its dioecious habit and lack of diagnostic characters from vegetative tissue, the identification of Gnetum species is not easy without seeds or reproductive structures. To identify and verify their phylogenetic positions, we applied DNA barcoding to Cambodian Gnetum collections gathered between 2010 and 2015, with previously designed cp matK gene primers. We newly sequenced partial matK sequences from 72 Gnetum collections, 43 out of 72 from Cambodia, and analyzed 115 Gnetum accessions using the neighbor-joining method. The resulting neighbor-joining tree categorized Cambodian Gnetum samples into three clades of species: G. macrostachyum, G. montanum, and G. aff. gracilipes. The recognition of G. aff. gracilipes in Cambodia is reported here for the first time. Taxonomic information for the three recognized Cambodian Gnetum species is provided and the benefits of the taxonomic reevaluation assisted by DNA barcoding are emphasized in this work.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목재식별(木材識別) - I. 육안적(肉眼的) 성질(性質)에 의한 목재(木材)의 특성(特性) 및 그 식별(識別) - (Wood Identification of the Veneer Species that grow in Korea - I. Wood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by the Gross Features -)

  • 이필우;엄영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1-30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목재특성(木材特性)을 조사(調査)하여 합판공업(合板工業)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實施)하였다. 최근(最近) 목재자원(木材資源)이 점차 고갈(枯渴)되어 외재(外材)의 도입사정(導入事情)이 악화(惡化)됨에 따라 합판공업(合板工業)에 한국재(韓國材)의 활용(活用)을 증진(增進)시키고 그 가공기술(加工技術)을 발전(發展)시킴에 있어서 단판수종(單板樹種)의 목재특성(木材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는 우선적으로 취급되어야 할 것이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이들 취급(取扱)된 단판수종(單板樹種)은 우리 나라에 생장(生長)하고 있는 33개(個)의 속(屬)으로부터 50개(個)의 경제수종(經濟樹種)을 선정(選定)하였으며 이들 수종(樹種)에 대하여 주로 육안적(肉眼的) 목재특성(木材特性)을 조사(調査)하여 수종별(樹種別)로 기재(記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침엽수재(針葉樹材) 및 활엽수재별로 목재식별(木材識別) 검소표(儉素表)를 간략(簡略)하게 작성(作成)하여 보고(報告)한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육안적(肉眼的) 특성(特性)에 따른 식별(識別) 원표(圓表)를 작성(作成)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산(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육안적(肉眼的) 식별(識別) 검소표(儉素表)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