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ing season length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동해산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의 성성숙과 산란 (Sexual Maturation and Spawning in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of Korea)

  • 이해원;김진희;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49-356
    • /
    • 2006
  • Gonad development in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was investigated using a histological method. Specimens were collected monthly from April 2003 to March 2004, in the East Sea of Korea. The gonadosomatic index (GSI) of females began to increase in August, reached a maximum in November, and declined sharply in December. By contrast, in males, the GSI began to increase in June and reached a maximum in August.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A. japonicus can be divided into four successive stages in females: the early growing (January-March), late growing (April-August), ripe and spent (September-November), and recovery (December) stages. Males passed through early growing (January-April), late growing (May-July), ripe and spent (August-November), and recovery (November-December) stag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pawning season was from October to December. The egg diameter of mature oocytes was 3.12$\pm$0.02 mm.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 (F$_e$) and body length (BL) was F$_e$=0.4693BL$^{2.6825}$. Fecundity ranged from 483-2,254 eggs in a body length of 14.3-22.9 cm and increased with body length. The body length at 50% maturity was 14.80 cm, which corresponded to an age of 2.40 years.

고온기 야간 냉방이 절화 장미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Cut Flower Yields and Qualities of Rosa hybrid Affected by Night Cooling in High Temperature Season)

  • 김세진;김원희;이영란;정현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22
    • /
    • 2023
  • 장미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는 화종 중 하나로, 절화 장미는 시설 내부에서 연중 생산된다. 최근 여름철 시설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절화장 단축 등 절화 장미의 품질 저하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계절별 절화 품질 및 수량을 비교하여 여름철 생산된 절화 장미의 품질 특성을 파악하고, 고온기 야간 냉방을 통한 온도 하강 효과와 여름철 절화 품질 개선 효과를 검정하고자 수행하였다. 'Pink Beauty'은 여름철 절화장, 화수장, 경경, 화수경경, 화폭, 생체중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Pink Shine'은 여름철 절화장, 경경, 화폭 및 화고, 생체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고온기 야간 냉방을 수행한 결과, 7-8월 온실 내부 평균 온도는 약 2.5℃ 저하되었으며, 배지 평균 온도는 약 3.0℃ 감소되었다. 고온기 야간 냉방 시 절화 품질 및 수량을 비교한 결과 세 품종 모두 야간 냉방 시 절화장, 생체중, 경경 등 절화 품질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고온기 야간 냉방이 여름철 절화 장미의 품질 저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해산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의 성성숙과 산란 특성 (Sexual Maturation and Spawning Characteristics in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of the West Coast in Korea)

  • 강희웅;정의영;김종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0-38
    • /
    • 2004
  •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t를 대상으로 산란시기를 간접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생식소중량지수(GSI)의 연간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 포란수, 산란횟수, 난경조성을 육안적 관찰로 연구하였다. 배우자 형성과정 중 생식세포 분화, 생식소발달 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군성숙도에 관해서 광학현피경으로 연구하였다. GSI의 연간변화는 암컷과 수컷에서 8월에 증가되기 시작하여 저수온기인 10∼11월에 최대값을 나타냈다. 생식연주기는 암컷에서 초기성장기(7월), 후기성장기(7∼8월), 성숙기 (9∼10월), 완숙 및 산란기 (9∼12월), 회복 및 휴지기(12월∼6월)로 구분되었고, 수컷에서는 성장기(6∼8월), 성숙기(8∼10월), 완숙 및 방정기(9∼12월), 회복 및 휴지기(12월∼5월)의 연속적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성숙 및 산란기인 9∼12월 사이의 난소내 난경조성의 조사 결과, 쥐노래미는 2∼3회 이상 산란하는 다회 산란어종으로 확인되었다. 번식력을 측정하는 총포란수와 성숙란수는 체장이 커질수록 포란수도 많아지고, 체중에도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단위 체장당 총포란수와 성숙란수는 체장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단위 체중당 포란수는 체중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군성숙도 조사에서 50%이상 산란에 참여하는 개체는 암$.$수의 체장 19.1∼21.0cm 이었으며, 25.1cm 이상에서 전 개체가 산란에 참여하였으며, 생식에 가담하는 암ㆍ수의 연령은 1세부터였다.

Association of Length of Pregnancy with Other Reproductive Traits in Dairy Cattle

  • Nogalski, Zenon;Piwczynski, Dariusz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호
    • /
    • pp.22-27
    • /
    • 2012
  • The experiment involved observations of 2,514 Holstein-Friesian cow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cow's age, calving season, weight and sex of calves, housing system) and genetic factors on gestation length in dairy cattl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gestation length and other reproductive traits (calving ease, stillbirth rates and placental expulsion). Genetic parameter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sires of calved cows (indirect effect) and the sires of live-born calves (direct effect). The following factors were found to contribute to prolonged gestation: increasing cow's age, male fetuses and growing fetus weight. Optimal gestation length was determined in the range of 275-277 days based on calving ease and stillbirth rates. The heritability of gestation length was estimated at 0.201-0.210 by the direct effect and 0.055-0.073 by the indirect effect. The resulting genetic correlations suggest that the efforts to optimize (prolong) gestation length could exert an adverse influence on the breeding value of bulls by increasing perinatal mortality and calving difficulty. The standard errors of the investigated parameters were relatively high, suggesting that any attempts to modify gestation length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alving ease and reducing stillbirth rates should be introduced with great caution.

Changes of Tre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Yumi" Peach under Long-Term Soil Water Deficit

  • Yun, Seok Kyu;Kim, Sung Jong;Nam, Eun Young;Kwon, Jung Hyun;Chung, Kyeong Ho;Choi, In Myung;Kim, Ghiseok;Shin, Hyunsuk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2권4호
    • /
    • pp.276-282
    • /
    • 2017
  • Purpose: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s of soil drought stress during the growing season and pre-harvest period on tre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Yumi" peach, an early season cultivar. Methods: Soil drought stresses were treated with four levels of -30, -50, -60, and -70 kPa during long term (LT) and short term (ST). For LT treatments, soil water was controlled for nine weeks from May 1 to July 5, which was assumed as the full growing season. For ST treatments, soil water was controlled for four weeks from June 10 to July 5, which was assumed as the pre-harvest season. Tree growth and leaf photosynthesis were measured, and fruit characteristics such as fruit weight and diameter, soluble solid and tannin contents, and harvest date were investigated. Results: Soil water deficit treatments caus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ree growth, leaf photosynthesis, and fruit enlargement. LT water stress over -60 kPa during the full growing season caused significant reduction in tree growth, including shoot length, trunk girth, leaf photosynthesis, and fruit enlargement. ST water stress over -60 kPa during the pre-harvest period also induced significant reduction in leaf photosynthesis and fruit enlargement, while tree growth was not reduced. In terms of fruit quality, water stress over -50 kPa significantly reduced fruit weight, increased soluble solid and tannin contents, and delayed harvest time in both LT and ST treatments. Conclusions: As a result, it is assumed that LT water stress over -60 kPa can reduce both tree growth and fruit enlargement, whereas ST water stress over -50 kPa can reduce fruit enlargement without reducing tree growth. From an agricultural perspective, moderate water deficit like -50 kPa treatments could have positive effects, such increased fruit soluble solid contents along with minimal reduction in fruit size.

광주천 고수부지에 조성한 자유수면인공습지의 인 제거 (Phosphorous Removal in a Free Water Surface Wetland Constructed on the Gwangju Stream Floodplain)

  • 양홍모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00-109
    • /
    • 2012
  • 하천수를 정화하는 자유수면인공습지의 정수식물 성장기(4~9월)와 비성장기(1~3월과 10~12월)의 $PO_4-P$와 TP제거율을 비교 연구하였다. 실험 습지 시스템은 광주광역시를 흐르는 광주천 중류 고수부지에 2008년 조성되었으며, 길이 46m, 폭 5m 규모이다. 2008년 포트에서 2년 자란 부들(Typha angustifloria L.)과 줄(Zizania latifolia Turcz)을 시스템의 1/2씩 각각 식재하였다. 광주천의 물이 자연유하로 시스템에 유입되며, 처리수는 광주천으로 방류된다. 유입수의 양과 수심은 밸브와 위어(weir)로 조절할 수 있다. 유입수 및 유출수의 인 농도를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7~10일 간격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하루에 약 $710m^3$의 하천수가 시스템으로 유입되어, 체류시간은 약 1.5hr이었다. 조사기간 유입수와 유출수의 $PO_4-P$ 평균농도는 각각 0.144, 0.105mg/L이었으며, $PO_4-P$ 평균제거율은 28.1%였다. 유입수와 유출수의 TP평균농도는 각각 0.144, 0.105mg/L이었으며, TP 평균제거율은 20.7%를 보였다. t 검정결과, 정수식물 성장기의 $PO_4-P$ 제거율(31.448)이 비성장기 $PO_4-P$ 제거율(25.829)보다 높았으며(p<0.001), 정수식물 성장기의 TP 제거율(27.230)도 비성장기의 TP 제거율(14.856)보다 높게(p<0.001) 나타났다. 인공습지에서 인 제거는 잔재물-토양 층의 흡착, 입자성 인과 Ca, Fe, Al과 결합된 인산염의 침전, 그리고 정수식물의 흡수가 중요하다. 정수식물 성장기가 비성장기보다 $PO_4-P$와 TP의 제거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원인은 흡착과 침전에 의한 인 제거는 계절에 관계없이 일어나나, 정수식물의 흡수는 성수식물 성장기에만 일어나기 때문이다.

국립수목원의 전나무(Abies holophylla) 조림지의 물 이용 효율의 계절 및 경년 변동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Water Use Efficiency of an Abies holophylla Planta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 빈두 말라 타쿠리;강민석;장용휘;천정화;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6-377
    • /
    • 2016
  • 물 이용 효율(water use efficiency, WUE)은 생태계의 에너지-물질-정보의 흐름과 연관된 프로세스-구조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생태학적 지표로 간주된다. 생태계 단위의 WUE 는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과 증발산(evapotranspiration, ET)의 비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에 위치한 전나무(Abies holophylla) 조림지의 WUE 를 조사하기 위해 KoFlux 에서 장기간(2007-2015) 에디공분산 방법으로 관측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플럭스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전나무 조림지의 WUE의 계절 및 경년 변동을 규명하여 탄력(resilience) 평가를 위한 총체적인 생태학적 지표의 개발에 활용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나무 조림지의 WUE는 8월에 최소값($1.8-3.3g\;C{\cdot}(kg\;H_2O)^{-1}$), 2월에 최대값($5.1-11.4g\;C\;(kg\;H_2O)^{-1}$)을 갖는 오목한 형태의 계절 변동을 보였다. 성장기(4 월-10 월)의 WUE 는 평균 $3.5{\pm}0.3g\;C{\cdot}(kg\;H_2O)^{-1}$ 이었고, 휴면기(11 월-3 월)의 WUE는 평균 $7.4{\pm}1.0g\;C{\cdot}(kg\;H_2O)^{-1}$로서 경년 변동의 폭이 컸다. 이 전나무 조림지의 WUE 는 문헌에 보고된 다른 온대 지역 침엽수림의 WUE 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범위에 속한다. 성장기는 4 월부터 10 월까지의 기간으로 정의하였으나, 실제 성장기의 길이(growing season length, GSL)는 매년 변화하였고, 이러한 GSL의 변화가 성장기 WUE의 경년 변동의 62%를 설명하였다. 이 연구는 생태계 단위 WUE의 장기 변동을 정량화 한 국내 첫 결과로서, 산림생태계 모형, 위성 알고리즘 및 탄력을 시험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두 외래종 민들레 번식 특성의 계절적 변이 (Seasonal Variation of Reproductive Characters in Two Introduced Species of Taraxacum)

  • 강혜순;최유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1호
    • /
    • pp.457.2-486
    • /
    • 1998
  • Ecological success of introduced species is frequently attributed to the reproductive characters of those specie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flowering season and plant size and reproductive characters in two introduced species of Taraxacum, e.g., T. officinale and T.laevigatum. Seventy six plants of T. officinale and 23 plants of T. laevigatum were randomly tagged from a population at the sungshin Women's University in April of 1997. The size and number of vegetative characters such as rosette diameter, leaf number, and the largest leaf length and width were measured for each plant at the onset of flowering. The infructescence was collected continually from each plant before seed dispersal from April to August of 1997. The number of infructescence per plant, and seed number and total seed weight per infructescence were measured. Mean individual seed weight per infructescence was also obtained. T. officinale possessed larger sized, but smaller number of, leaves than T. laevigatum, thereby resulting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leaf area. There was a trend that vegetatively larger plants in both of these species produced reproductive characters larger in size or greater in number, except for seed number and total seed weight per infructescence in T. laevigatum. All reproductive characters examined in T. officinale decreased toward the end of flowering season. In T. laevigatum, infructescence number per plant also declined during a flowering season: however, mean seed number per infructescence increaed toward the end of flowering season with no significant seasonal change in the total seed weight per infructescence. T. officinale produced on average about twice as many seeds per plant as T. laevigatum during a growing season. These two Taraxacum species produced quite small seeds in size compared to the endemic species, exhibiting a far better dispersal ability of introduced species. These data demonstrate that most reproductive characters decline in size and number in both species during a long flowering period, but the two species appear to employ different strategies to achieve reproductive success in disturbed habitats.

  • PDF

무기 토양개량제가 골프장 그린의 크리핑 벤트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organic Soil Amendment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in Golf Course)

  • 이재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0-115
    • /
    • 2012
  • 본 실험은 무기 토양개량제가 골프장 그린의 지반 조성용으로 사용 시 크리핑 벤트그래스 '펜크로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05년 5월부터 12월까지 신원골프장 너스리에서 수행되었다. 조사내용은 토양 pH, 비중, 보수력, 투수계수, 경도, 뿌리길이, 잔디 분얼경 밀도, 건물중을 조사하였다. 무기 토양개량제 처리구의 토양 pH는 잔디 생육에 적합한 6.7~6.8, 토양비중은 S 100%처리구가 1.48로 다른 처리구 1.28-1.38내외보다 무거웠다. 투수속도는 ZC 15%+P 5%+S 80%와 ZC 10%+S 90% 처리구가 USGA 기준보다 2-4배 빨랐다. 토양 경도는 S 100%에서 가장 높았다. 뿌리길이는 무기 토양개량제가 혼합된 ZC10%+S90% 처리구가 7.6~10.0 cm로 가장 길었다. 여름철 생육 부적기의 잔디밀도는 P 5%+S 95%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분얼경수가 4-7개 더 많았으며, 생육 적기에는 ZC 10%+P 5%+S 85% 처리구가 2-3개 많았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생육 부적기 건물중은 ZC 10%+P 5%+S 85% 처리구가 가장 무거웠으며, 생육 적기의 건물중은 P 5%+S 95% 처리구가 가장 무거웠다. 따라서 USGA 그린 조성 시 혼합층에 무기 토양개량제를 단독(5-15%) 사용 것보다 피트모스(5%)와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그 효과는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삼의 생육과 무기양분의 계절적 변화 (Studies on the Growth and Change of Mineral Nutrient Contents in Ginseng (Panax ginseng) Plant During the Growing Process)

  • 이종철;안대진;변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1-475
    • /
    • 1987
  • 인삼의 계절적 물질생산과 생장특성을 분석하고 식물체내의 무기양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5년에 2년생 인삼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의 생장은 6월상순, 경장의 성장은 6월하순에 각각 완료되었다. 2. 생육시기별 근중변화는 V자형을 보였다 즉, 5월하순까지는 근중이 감소되었다가 그 이후에는 다시 증가되었으며 9월후에도 근중증가가 인정되었는데 근중증가 완료는 낙엽기에 좌우될 것이다 3. 근의 길이 생장은 5월상순부터 시작되어 8월 상순에 완료되었다. 4. 상대생장률, 순동화율 및 개체군생장 속도는 출아직후에 부치를 보였으며 5월에 최대치를 보였고 그후 점차 감소되었다. 5. 엽면적비는 30~76$\textrm{cm}^2$/g의 범위로 5월에 최대치를 보였으며 그 후 점차 감소되었다. 6. 지상부에 함유되에있는 질소, 가리의 함량은 생육후기에는 감소되였으나 석회의 함량은 증가되었고 인산과 마그네슘의 함량은 생육시기에 따른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7. 근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 인산, 가리의 함량은 지상부생육 성기에 급격히 감소되었고 생육후기에는 증가되었으나 석회 및 마그네슘의 함량은 생육시기에 따른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