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water quantity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7초

지하댐 건설로 인한 지하수 증가량 계산 및 유황 분석 (Analysis of Flow Duration and Estimation of Increased Groundwater Quantity Due to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 김종태;김규범;정일문;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4권1호
    • /
    • pp.91-98
    • /
    • 2014
  • 본 연구는 지하댐 건설에 의한 지하수 증가량을 계산하고 지표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 면적과 지하수위, 유효공극률을 이용해 지하수량을 계산하였으며 영덕 오십천의 유황분석을 실시하여 지하수량 증가에 따른 지표수 변화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지하수 증가량은 지하댐 유역 기준으로 최대 $91,746m^3$이며 지하댐 하류의 지하수 감소량은 최대 $11,259m^3$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지하수 확보량은 총 $80,487m^3$이며 지하수 감소량은 지하수 증가량에 비해 12.2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댐 건설 후 하류지역의 유황곡선을 분석한 결과 댐건설로 인해 유출량의 변화가 최대 $3.00{\times}10^{-2}m^3/s$ 발생하였으나 댐 건설 전과 비교해 전반적인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지하댐이 지표수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충분한 대체 수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농어업용 공공관정 기능진단 표준화(안)을 이용한 최적 사후관리 (Establishment of an Optimal Rehabilitation Process for Agricultural Public Wells by Applying Standardized Diagnostic Functions)

  • 이병선;송성호;박정근;원용천;김원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1권4호
    • /
    • pp.1-9
    • /
    • 2016
  • Rehabilitation for low-yielding wells resulting in improvement on groundwater quantity and quality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economic and ecofriendly method against the increasing demand to groundwater due to frequent drought and the increase in numbers of agricultural complex for growing horticultural crops. This study suggests standard, stepwise diagnostic fuctions consisting of four steps (Basic inspection, Specific inspection, Rehabilitation, and Management) for an optimal management to the wells. Basic inspection can provide information on current groundwater quantity and quality compared with those on its initial stage. Specific-inspection based on hydrogeology can scientifically demonstrate causes of deterioration on groundwater quantity and quality. Results of specific inspection can suggest an optimal rehabilitation method to solve deteriorating problems including clogging and corrosion for the wells. After rehabiliating the wells, an assessment on groundwater quantity and quality w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suitability of the applied method and improvement of the wells. A short-term, periodic management to the wells is considered as the key to save a public management budget. Suggested diagnostic functions can possibly induce sustainable supply of agricultural groundwater to the farm land and finally contribute the increase on rural household income.

통합 물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 패러다임 전환과 정책방향 (Groundwater Management Pradigm Shift and Policy Directions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 Korea)

  • 현윤정;한혜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6호
    • /
    • pp.176-185
    • /
    • 2021
  •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new paradigm for groundwater management which is compatible with integrated water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Three key roles of groundwater are defined for addressing water cycle distortion, high water stress, water quality degradation, aquatic ecosystems deterioration, and water-related hazards. Firstly, groundwat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ibuting soundness of water cycle as a component of water cycle. Secondly, it is a local water resource to ensure water supply sustainability. Thirdly, groundwater is an essential water resource for drought and emergencies. In order to support the groundwater roles, we propose a paradigm shift for groundwater management and policy directions towards integrated water management. The new paradigm consists of managements for sound water cycle on a watershed scale and groundwater environment(quantity, quality, and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s) managements for both human and nature. A prospective management also constitutes the new paradigm.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four policy directions in groundwater management. The policies emphasize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management of groundwater environment(quantity, quality, and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s), management of groundwater uses for water sustainability and security, and enhancement of groundwater publicity.

Reviewing the Assessment of Optimal Yield of Groundwater in Korea

  • Soo-Hyoung Lee;Jae Min Lee;Se-Yeong Hamm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11-522
    • /
    • 2024
  • The optimal yield is defined as the amount of groundwater that maintains a dynamic equilibrium state of the groundwater system over a long period. We examined the current problems, improvement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 optimal groundwater yield in Korea, considering sustainable groundwater development. The optimal yield for individual wells and the sustainable yield for the entire groundwater basin were reviewed. Generally, the optimal yield for individual wells can be determined using long-term pumping and step drawdown tests. The optimal yield can be determined by groundwater quantity and quality, economic, and water use rights factors. The optimal yield of individual wells in the groundwater basin must be determined within the total sustainable amount of the entire groundwater basin, such that the optimal yield of a new well must be less than the remaining total sustainable amount, exempting the total optimal yield of the existing wells. Therefore, the optimal yiel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estimated optimal yield at least twice per year. In addition, if groundwater level and pumping quantity data for at least one year are available, it may be effective to use the Hill, Harding, and zero groundwater-level change methods to re-estimate the optimal yield.

강변여과수 취수에 따른 지하수위의 계절적인 변동 특성

  • 정재열;함세영;이정환;김형수;류상훈;김태원;김문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68-71
    • /
    • 2006
  • Season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 by pumping amount and stream discharge at the riverbank filtrate site adjacent to the Nakdong River in Daesan-Myeon was characterized.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shows increase in wet season (June, July, August and September) and decrease in dry season (the other months). Seasonal variation of pumping amount shows similar trend to the groundwater fluctuation due to higher consumption of potable water in summer. The relation of specific capacity, Nakdong River and pumping quantity was analyzed. The logarithmic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capacity and the stream discharge gives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0.96.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increase of stream discharge rate reduces the rate of drawdown in the pumping area in wet season.

  • PDF

도심지역 지하수관리를 위한 지하수환경 모니터링

  • 이진용;최미정;이명재;이강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77-279
    • /
    • 2002
  • In late of the 1980's, dramatic increase in water use caused over-exploitation of groundwater and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in urban areas. To monitor quantity of groundwater resources and their qualities, loc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s were established. Groundwater resources in urban areas are affected by various human activities including underground building construction (subway), pumping for water use, and pavements. Detailed analysis of the monitored groundwater data would provide some good implications for optimal and efficient management for groundwater resources in the urban area.

  • PDF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장 일대의 지하수 오염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the Seokdae Waste Landfill Area of Pusan City)

  • 정상용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1995
  • 매립장에서의 쓰레기는 주변 지역에 지하수오염, 악취, 유독가스 발생 등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부산시에서 만 6년 동안 사용해 왔었던 석대 폐기물 매립장 주변의 지하수 오염실태를 파악하고, 그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연구를 목표로 매립장 주변의 우물과 시추공 내의 지하수위, 수질, 대수층 특성 등을 조사하고, 또 주변 하천의 수질, 매립장 일대의 지하수 분포 및 유동 상태 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지하로 침투하는 순수 침출수량은 일 평균 약 520 m$^3$로 추정되며,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범위가 매립장 중심에서 약 1-1.5 km 정도 까지에 이른다. 오염물질도 중금속류를 비롯한 기타 유해 성분들이 다량 존재한다. 앞으로 이 일대의 지하수를 보전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립장과 지하수오염물질이 확산되고 있는 곳에 감시정을 여러개 설치하여 지하수위와 수질을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채수정을 설치하여 오염된 지하수를 뽑아내어 침출수 처리장에서 처리한 후 하천에 방류하여야 한다. 아울러 지하수 오염물질이 확산되고 있는 매립장 주변 지역에 차수벽 설치가 요구된다.

  • PDF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정책방향 고찰 (Review of Policy Direction and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 이명진;이정호;전성우;홍현정
    • 환경정책연구
    • /
    • 제9권2호
    • /
    • pp.157-18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변화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연구지역의 미래 시기별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에 대한 정책적 사항을 제안하였다. 연구지역은 낙동강 본류를 포함하는 경상북도 칠곡군, 구미시 일부 및 대구시 북구 일부이며, 최종 연구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시기별 강우량, 함양률,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함양량 및 함양률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불명확한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미래 기후변화 예측 결과를 반영한 연구지역 내 지하수 함양률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산정하고, 기존 산정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향후 기후변화를 고려한 국내 지하수 수자원의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연계모델의 고도화 방안 및 현장조사가 추가된다면 보다 정량적으로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수자원으로 이용이 증가될 지하수의 전반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체제 구축을 위한 한 축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 PDF

GIS를 이용한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검증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Using GIS)

  • 이명진;이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6-5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검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변화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연구지역의 시기별 미래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연구지역은 낙동강 본류를 포함하는 낙동강 유역을 선정하였다. 최종 연구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시기별 강우량, 함양률,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함양량 및 함양률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기존에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불명확한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미래 기후변화 예측 결과를 반영한 연구지역 내 지하수 함양률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유역내 기저유출량과 비교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앞으로 연계모델의 고도화 방안 및 현장조사가 추가 된다면 보다 정량적으로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상관관계를 파악 할 수 있으며, 향후 본 연구는 수자원으로 이용이 증가되는 지하수의 전반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 체제 구축을 위한 한 축을 차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단위유역 단위의 지하수 관리기법 현장적용성 검토 (함평군 중심으로) (Field Applications on Groundwater Management Scheme of Subwatershed Unit in Hampyeong-Gun)

  • 정찬덕;송인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6호
    • /
    • pp.545-559
    • /
    • 2013
  • 지금까지의 지하수 수위분포, 이용현황, 개발가능량, 수질현황 등 지하수조사 성과물은 복잡한 우리나라 지형지세 및 수계형태와 달리 넓은 규모($25{\sim}250km^2$)의 유역(basin) 단위로 작성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수량, 수질관리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강수량, 지하수위, 이용량, 수질, 오염 등에 대한 명확한 관리기준과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단위유역(subwatershed) 단위의 강우등급, 수위등급, 이용등급, 오염등급, 수질등급에 대한 분류기준(안)을 제시하고 함평군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적용해봄으로써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