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rainfall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7초

GIS를 이용한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검증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Using GIS)

  • 이명진;이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6-5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검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변화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연구지역의 시기별 미래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연구지역은 낙동강 본류를 포함하는 낙동강 유역을 선정하였다. 최종 연구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시기별 강우량, 함양률,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함양량 및 함양률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기존에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불명확한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미래 기후변화 예측 결과를 반영한 연구지역 내 지하수 함양률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유역내 기저유출량과 비교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앞으로 연계모델의 고도화 방안 및 현장조사가 추가 된다면 보다 정량적으로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상관관계를 파악 할 수 있으며, 향후 본 연구는 수자원으로 이용이 증가되는 지하수의 전반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 체제 구축을 위한 한 축을 차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DRASTIC과 지하수 수질에 의한 창원시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 (Assessing Groundwater Vulnerability Using DRASTIC Method and Groundwater Quality in Changwon City)

  • 함세영;정재열;김무진;김인수;황한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6호
    • /
    • pp.631-645
    • /
    • 2004
  • 본 연구는 DRASTIC 기법과 지하수 자료를 이용하여 창원시의 공단지역과 주거상업지역의 지하수 오염취약성을 평가하였다. DRASTIC 기법은 원래 오염원이 지표에 있으며 강우의 침투와 함께 오염물질이 지하수로 유입되는 조건에 적용시켰었다. 공단지역은 대체로 주거상업지역보다 높은 DRASTIC 평가지수를 가진다. 그러나, 주거상업지역 중 용지동지역은 연구지역 중에서 가장 낮은 DRASTIC 평가지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지하수 오염정도가 높다. 이러한 사실은 도시지역의 지하수 오염이 과잉양수와 이에 따른 지하수위 하강과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것을 지시한다. 각 동별 최소 DRASTIC 평가지수와 먹는물 수질 부적합의 상관계수는 0.4로서 비교적 낮다. 그러나, 각 동별 최소 DRASTIC 평가지수와 지하수 사용량의 상관계수는 0.70이고, 각 동별 최소 DRASTIC 평가지수와 지하수 공 분포밀도의 상관계수는 0.87로서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도시지역에서 지하수 오염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DRASTIC 평가요소뿐만 아니라 지하수 사용량과 지하수 공 분포 밀도와 같은 인위적인 요소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Impact of Marketing Losses on Efficiency in Transacting Banana in Scarce Rainfall Zone of Andhra Pradesh, India

  • Kumar, K. Nirmal Ravi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9권2호
    • /
    • pp.1-11
    • /
    • 2017
  • Introduction: To analyze the impact of marketing losses on efficiency in transacting banana in Kurnool district of SRZ in Andhra Pradesh and to assess the opinions of the farmers on the constraints in transacting banana. Research back ground,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relies exclusively on primary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nana farmers of Kurnool District. Purposive sampling procedure was followed for the selection of the study area. Top two mandals in the district and top two villages in each mandal a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area under cultivation of banana. Probability proportion to size was followed regarding the selection of sample farmers and accordingly 60 marginal, 37 small and 23 other farmers were selected and thereby, the total sample size was 120. Result and Discussion: Three marketing channels were identified in the marketing of banana in Kurnool district viz., Producer ${\rightarrow}$ Local-exporter ${\rightarrow}$ Wholesaler ${\rightarrow}$ Retailer ${\rightarrow}$ Consumer (Channel-I), Producer ${\rightarrow}$ Wholesaler ${\rightarrow}$ Cart-vendor ${\rightarrow}$ Consumer (Channel-II) and Producer ${\rightarrow}$ Juice-holder ${\rightarrow}$ Consumer (Channel-III). With the inclusion of marketing losses in the price spread analysis of banana in all the three channels, the marketing costs of all the intermediaries were increased and thereby, the farmer's share in consumer's rupee and Net Marketing Margins of the agencies are on the decline. So, without inclusion of marketing losses, the farmer's share in consumer's rupee and Net Marketing Margins of all the agencies are overvalued. The higher the marketing losses, the more is the negative impact on farmer's net selling price, net marketing margins of the intermediaries and marketing efficiency. The sample farmers are facing major problems in marketing of banana like frequent price fluctuations, unorganized marketing and lack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on priority basis. Suggestions: It is suggested to educate the farmers regarding the optimum maturity index for harvest, use of mechanical harvesters, proper placement of fruits during storage and ripening, better packaging and cushioning technologies to absorb shocks during transportation, strengthening of storage facilities and transport facilities, encourage co-operative marketing etc., to promote marketing efficiency of banana in the study area.

연안지역 포장면 비점오염물질 유출 및 최적관리방안 시설의 선정을 위한 가이던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n-point Source Pollutants from Pavement of Coastal Area and Guidance for Selecting BMP)

  • 고웅;박기수;진요평;김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43-553
    • /
    • 2013
  • 우리나라에서는 유역 특성별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을 파악하고 최적관리방안을 도모하기 위해 2000년 이후 다양한 형태의 실험실 규모 또는 실증 규모 최적관리방안(Best Management Practices, BMP) 시설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유역 특성상 자정작용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연안지역에서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최근 연안지역 개발에 따른 불투수층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초기우수의 직접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시설 및 최적관리방안 시설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충남 보령시 대천항 주차장을 중심으로 연안 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한 최적관리방안을 설정하여 연안지역 비점오염원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안지역은 지역특성상 해안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위가 낮고 경사차가 크지 않은 평탄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즉, 최적관리방안을 선정하는데 있어 유출입구의 수두확보문제와 굴착 깊이에 제한을 받으며, 인공습지 및 저류지와 같은 대규모 저류형 시설의 입지조건으로는 부적합하다. 또한, 연안지역은 강우유출 특성상 염분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 식생을 이용한 자연형 최적관리방안 시설을 적용하는데도 제약을 받는다. 연안지역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과 연안지역 지리 지형적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된 최적관리방안 시설의 주관평가 결과 시공시 굴착 깊이가 적고, 식생의 이용이 제한적인 침투수로 형태의 시설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며 유지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연초재배기간중(煙草栽培期間中) 증산량(蒸散量) 및 수량(收量) I. 연초생육기간(煙草生育期間)동안의 증산량변화(蒸散量變化)와 토양수분(土壤水分)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Yield, Transpiration of the Tobacco Plant, and Seasonal Meteorological Factors during the Growing Season I. Interrelationship between Change of Soil Moisture and Transpiration during the Growing Season)

  • 홍순달;김재정;조성진;이윤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8-233
    • /
    • 1989
  • P.V.C관(管)(직경 40cm)을 이용(利用)한 지하수위조절용(地下水位調節用) 폿트재배(栽培)(지하수위(地下水位) : 30cm 및 100cm)로 연초생육기간(煙草生育期間)동안의 일증산양변화(日蒸散量變化)와 자연강우분포조건(自然降雨分布條件)에서 재배포장(栽培圃場)의 근권토양수분변화(根圈土壤水分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연초식물(煙草植物)의 증산(蒸散)으로 수분소모양(水分消耗量)이 가장 많은 기간(期間)은 이식후(移植後) 40일(日)에서 60일(日)까지로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동안(70일(日)) 증산(蒸散)된 양(量)의 약(約) 50%를 차지했다. 따라서 재배포장(栽培圃場)의 근권토양수분량(根圈土壤水分量)은 이 기간(期間)동안에 매우 낮은 조건(條件)으로 지속되었다. 또 연초식물(煙草植物)의 증산량(蒸散量)은 기상환경변화(氣象環境變化)에 따라 민감하게 영향을 받아 청명한 날은 흐리고 비오는날보다 약(約) 3배(倍) 많았으며 주간(晝間)의 14:00시(時)부터 16시(時)사이에 최대증산량(最大蒸散量)을 보였고 24:00시(時)부터 08:00시(時)사이에 가장 적은 증산량(蒸散量)을 나타냈다.

  • PDF

시설농업단지에서 HydroGeoSphere 모델을 이용한 지하수 유동 및 물수지 분석 (Groundwater Flow and Water Budget Analyses using HydroGeoSphere Model at the Facility Agricultural Complex)

  • 강동환;소윤환;김일규;오세봉;김수홍;김병우
    • 지질공학
    • /
    • 제27권3호
    • /
    • pp.313-32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표수-지하수 통합 모델을 통해 모델 영역과 시설농업단지(밀양들)의 지표수/지하수 유동을 모의하고 모델 영역의 물수지 분석을 통해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지표수 유동 모델 결과에서는 밀양강 상류(북동쪽)에서 하류(남동쪽)로 약 1~5 m의 수심으로 지표수가 유동하고 있으며, 모델지역 상류의 M01 지점에서는 지표수 유량 관측값과 모델값이 일치하고, 모델지역 하류의 M02 지점에서의 지표수 유량은 1%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지하수 유동 모델에서는 지하수 심도가 하천에서는 표고와 유사하며 산림 지역으로 갈수록 높아지고, 지하수 양수를 고려한 지하수 심도는 모델값이 관측값보다 1.5 m이내의 범위로 높게 나타난다. 지표수-지하수 통합모델에서는 지하수의 함양 면적이 모델 면적의 90% 정도이고, 지하수 함양량은 $1.92{\times}10^5m^3/day$인 것으로 나타난다. 연평균 물수지 분석에서는 단위 면적당 지하수 함양량이 503.9 mm/year로서 연평균 강우량의 39% 정도로 추정된다.

무안반도 연안수질의 시ㆍ공간적 변동과 소규모 방조제의 영향 (Temporal and Spatial Fluctuations of Coastal Water Quality and Effect of Small Tide Embankment in the Muan Peninsula of Korea)

  • 이대인;조현서;이규형;이문옥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36
    • /
    • 2003
  • 본 연구는 무안반도 주변 연안수질의 계절별, 조석별 변동과 방조제의 수문개방시 시간에 따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요 수질인자 중 용존산소는 하계의 대부분 정점과 추계 썰물시 저층에서 불포화상태를 나타내었지만, 다른 조사시기에서는 대부분 포화상태를 나타내었는데, 광합성에 의한 영향보다는 기후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생물성장에는 악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였다.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춘계 밀물시와 추계의 밀물과 썰물시에 표층과 저층 모두 평균 2㎎/L이상의 고농도를 나타내고 있어 해역수질환경 기준 II등급을 초과하였는데, 이것은 이 지역이 매우 낮은 Chl. a농도로 보아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유기물보다는 이 시기에 증가된 저층교란에 의한 부유물질과 담수유입의 영향이라 판단되었다 용존무기질소는 전 조사기간에 걸쳐 0.11~8.63㎍-at/L의 변동범위로 하계와 추계에서 다소 높고, 조석별 차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저층에서 놀게 나타났다. 용존무기인은 ND~2.08㎍-at/L의 변동범위를 보였으며 춘계를 제외하고는 평균 0.30㎍-at/L이상의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N/P비는 대부분 16이하로 조사해역은 질소가 식물플랑크톤 등의 기초생산자에 대한 성장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영양화 지수는 대부분 1이하였으나, 추계에는 밀물시 방조제 지선 주변해역에서 1이상의 부영양화 현상을 나타내었고 썰물시에는 남부해역에서 부영양화 현상을 나타내었다. 추계 강우시 방조제 수문을 약 12분 동안 개방으로 인해 담수가 방류된 후 조석류에 따라서 방조제와 지선 주변해역에서 COD, DIN, DIP 등의 농도가 1시간 내지 2시간 안에 일시적으로 급증하였으나 그 후 다시 감소하여 방류전의 농도로 회복하는 특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해역의 지속적 건강성을 위해서는 간석지 매립에 의해 조성된 방조제를 통한 방류량 및 오염부하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간척지(干拓地) 밭토양(土壤)의 염류이동(鹽類移動)에 관(關)한 연구 (Studies on the Salt Movement of Upland Soil in Reclaimed Tidal Land)

  • 이종식;김종구;유철현;강종국;김호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8-34
    • /
    • 1991
  • 본(本) 연구는 간척지(干拓地)를 밭으로 이용(利用)할 경우(境遇) 토양중(土壤中)의 염이동(鹽移動) 상태(狀態)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해 계화도(界火島) 간척지(干拓地) 토양(土壤)((문포통(文浦統):세사양토(細砂壞土))에서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지하수(地下水)의 양(陽)이온함량(含量) 변화(變化)는 경시적(經時的)으로 증가(增加)를 보였으나 지표수(地表水)의 경우(境遇)는 변화(變化)가 심(甚)하였고 $Na^+$$M^{2+}$에 비(比)해 $K^+$의 함량(含量)이 적었다. 2. 강우차단(降雨遮斷) 조건시(條件時) 저염농도(低鹽濃度) 토양(土壞)에서는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높은 토양(士壞)에서 염분함량(鹽分含量)이 높았으나, 고염농도(高鹽濃度) 토양(土壞)은 큰 차이가 없었다. 3. 강우차단(降雨遮斷) 조건(條件)에서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함량(有效憐酸嚴含) 저염농도(低鹽濃度) 토양(土壞)에 비(比)해 고염농도(高鹽濃度) 토양(土壞)에서 많았다. 4. 자연강우(自然降雨) 조건(條件)에서는 토양수분(士壞水分) 함량(含量)과 유효인산함량(有效憐酸含量) 간(間)에 유의성(有意性)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反面), 강우차단(降雨遮斷) 조건(條件)의 표토(表土)에 있어서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5. 토양(土壞) 염농도(鹽濃度), SAR 그리고 $Cl^-$, $SO_4{^{2-}}$ 등(等) 토양(土壞) 음(陰)이온의 상승(上昇)은 흑색(黑色)Vinyl>백색(白色)Vinyl>생고(生藁)〉무처리순(無處理|順)으로 억제(抑制) 되었다.

  • PDF

Non-point Source Critical Area Analysis and Embedded RUSLE Model Development for Soil Loss Management in the Congaree River Basin in South Carolina, USA

  • Rhee, Jin-Young;Im, Jung-H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363-37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이용하여 미국 South Carolina 주 Congaree 유역에 대한 평균 연간 토양 유실량을 산출 하였으며 비점오염원 토양 유실 민감지역을 추출하였다. 평균 연간 토양 유실량은 강우-유출 침식성 인자, 토양침식성 인자, 지면특성 인자, 식생피복 인자, 그리고 토양보존 인자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토양 유실 민감지역은 토양 유실량이 토양침식 허용량을 초과하는 지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전체 면적의 10% 이상의 면적이 비점오염원 토양 유실 민감 지역으로 확인되었으며, Congaree 유역의 7개 소유역중 Congaree Creek, Gills Creek 소유역의 도심지역과 Cedar Creek 소유역의 농업지역에서 가장 심각한 토양 유실의 위험이 나타났다. 관심 지역의 인위적, 자연적 변화가 토양 유실에 가져오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시범 모형으로서,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에 기초한 내장형 모형이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VBA)를 이용하여 ESRI사의 ArcGIS ArcMap 9.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 내장형 모형에서 사용자는 각 소유역의 토지 피복, 식생 유형, 지표 식생 유형, 경사, 작물 유형, 경작 방식 등을 변경시킴으로써 C, LS, P 인자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계산된 평균 연간 토양 유실량과 민감 지역을 현재 상태의 값들과 비교하여 앞으로의 토양유실 관리를 위한 주요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 PDF

지반특성을 고려한 토사재해 예측 기법별 위험지 분석 (Analysis of Hazard Areas by Sediment Disaster Prediction Techniques Based on Ground Characteristics)

  • 최원일;최은화;백승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2호
    • /
    • pp.47-5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토사재해 예비중점관리 대상지역 중 총 6개 연구지역(춘천, 성남, 세종, 대전, 미량, 부산)을 선정하여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모델은 현재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존 모델(SINMAP, TRIGRS)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LSMAP)을 활용하였으며, 결과 비교분석을 통해 개발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에 사용되는 매개변수는 크게 지형특성, 토질특성, 임상특성, 강우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모델에 따른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 분석 결과 LSMAP 및 TRIGRS에 비해 SINMAP을 이용한 분석은 대체로 위험지를 광범위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델별 적용되는 분석 매개변수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임상특성을 고려한 LSMAP은 TRIGRS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예측 위험지 기준 -0.04~2.72%의 범위 내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산지에 분포하는 임상 정보가 비탈면 안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에 중요한 매개변수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