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dune sand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항공사진의 질감 분석을 통한 김녕사구지역의 지형지물 추출 (Feature Extraction in an Aerial Photography of Gimnyeong Sand Dune Area by Texture Filtering)

  • 장은미;박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9-149
    • /
    • 2006
  • 국내에서 해안사구의 생성과정 및 생물지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누적되어 왔지만 원격탐사방법을 이용한 분석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수준으로 시각적 분석을 수행한 것이 대부분이다. 사구지역 범위 추출을 위한 적합한 질감분석방법을 찾아보기 위하여 제주도의 김녕사구지역을 대상으로 영상분석, 야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주도 사구는 내륙으로 깊숙이 발달하고 있으며 현무암 돌담의 색채와 대비되어 단순 영상분류 분석보다는 질감분석을 적용할 경우 뚜렷한 범위를 도출할 수 있었다. 영상은 전처리 과정 이후에 Erdas Imagine과 ENV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으며, 분산분석과 히스토그램 분석, 형태적 특성과 질감의 최고값에 대한 비모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시지역은 농촌지역과 사구지역에 비해 질감의 변화가 폐합된 작은 폴리곤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사구지역은 도시지역과 유사한 높은 질감 변화값을 갖는다는 공통점을 갖는 반면에 폐합된 폴리곤의 크기는 농촌지역과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는 이중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었다. 하이패스필터적용 이후 생성된 사구지역의 폴리곤의 장축과 장축에 대한 단축의 비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비해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이패스필터와 동일성 필터를 적용한 사례가 가장 효과적으로 도심지와 사구지역을 구별할 수 있었다.

중동지역 철도설계 시 지반공학적 고려사항 (Geotechnical Considerations for Railway Design in the Middle East)

  • 문준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1호
    • /
    • pp.49-60
    • /
    • 2013
  • 걸프지역 국가의 철도연계사업과 화물철도의 건설 등으로 인해 대형 철도사업의 발주가 이어지고 있지만, 중동지역 철도 시공 시 타 지역에서는 접하지 못한 특수한 지반조건으로 인한 리스크로 인하여 국내 업체들이 입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동지역의 특수한 지반조건에 따른 주요 공학적 문제는 사브카 지반의 지반개량, 사막지역 모래바람 저감대책, 사막모래 다짐, 대규모 쌓기 및 깎기 등과 관련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조사 및 문헌조사,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 결과 등을 토대로 중동지역에서 접할 수 있는 특수한 지반특성과 시공 상 리스크를 분석하고 대책을 논의하고자 한다.

Effect of Autoclave Curing on the Microstructure of Blended Cement Mixture Incorporating Ground Dune Sand an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 Alawad, Omer Abdalla;Alhozaimy, Abdulrahman;Jaafar, Mohd Saleh;Aziz, Farah Nora Abdul;Al-Negheimish, Abdulaziz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9권3호
    • /
    • pp.381-390
    • /
    • 2015
  • Investigating the microstructure of hardened cement mixtures with the aid of advanced technology will help the concrete industry to develop appropriate binders for durable building materials. In this paper, morphological, mineralogical and thermogravimetric analyses of autoclave-cured mixtures incorporating ground dune sand an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s partial cement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The microstructure analyses of hydrated products were conduc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X),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thermo-graphic analysis (TGA) and X-ray diffraction (XRD). The SEM and EDX results demonstrated the formation of thin plate-like calcium silicate hydrate plates and a compacted microstructure. The DTA and TGA analyses revealed that the calcium hydroxide generated from the hydration binder materials was consumed during the secondary pozzolanic reaction. Residual crystalline silica was observed from the XRD analysis of all of the blended mixtures, indicating the presence of excess silica. A good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blended mixtures and the CaO/$SiO_2$ ratio of the binder materials.

UAE 내 철도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사막 사구의 지형학적 특성 연구 (Geo-Morphological Study of Sand Dune for Railway Project in UAE)

  • 문준식;김재영;이승복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9호
    • /
    • pp.17-22
    • /
    • 2012
  • 초대형 사구지역 내 철도공사를 위한 대단위 토공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공사 중 및 공사 후 모래바람에 의한 철도선로의 침식 등으로 인해 철도운행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모래바람에 의한 철도노선 내 모래퇴적 방지공의 계획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효과적인 모래퇴적 방지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토공설계뿐만 아니라 펜스 시스템과 같은 직접적 모래바람 억제방법 등에 대한 통합적이고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사용된 여러 방법들을 조사해 본 바에 의하면 모래사막 내 철도건설 시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모래퇴적 방지공은 없으며, 모래사막의 사구의 지형학적 연구를 토대로 철도선로 및 모래바람으로부터의 철도선로 보호 구조물 등에 대한 철저한 유지보수 계획의 수립이 더 효과적이고 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UAE에서 수행되는 프로젝트 지역 내 사구지역의 대단위 및 특정지역 지형에 대한 조사, 분석을 수행하고, 문헌고찰, 항공사진, 위성사진, 현장조사 등을 통해 프로젝트 지역 내 사구의 이동경로, 이동속도를 추정하여 모래바람에 의한 철도선로 침식방지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 보수 계획 수립에 기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지표성 딱정벌레류(딱정벌레목 : 딱정벌레과) 군집 구조 : 사구와 방풍림 간의 비교 (Ground Beetle (Coleoptera: Carabidae) Assemblage Structure in Taeanhaean National Park : A Comparison between Coastal Dune and Windbreak Forest)

  • 정종국;홍의정;김태근;정종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7-153
    • /
    • 2018
  • 독특한 경관특성과 높은 보존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사구와 관련된 곤충 다양성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주로 관찰되는 사구와 방풍림(해송)에서 서식하는 지표성 딱정벌레류 군집 구조에 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4년 6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함정트랩을 이용하여 방풍림 5개 지점과 사구 3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2,335개체의 지표성 딱정벌레류를 채집하였으며, 이들은 15속 30종으로 동정되었다. 사구에서는 24종이 채집되었는데, 둥근칠납작먼지벌레(158개체)와 등빨간먼지벌레(153개체)가 우점하였다. 반면, 방품림에서는 14종이 채집되었고, 둥근칠납작먼지벌레(1,630개체), 윤납작먼지벌레(130개체) 및 붉은칠납작먼지벌레(42개체)가 우점하였다. 방풍림과 사구의 지표성 딱정벌레류 종 구성의 유사도는 27.4%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는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발견되는 사구 지형이 방풍림과 비교해서 다른 곤충 군집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향후 곤충 보전을 위한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국내 해안의 해빈-해안사구 지형 및 퇴적물 특성과 입도기반 사구유형 분석 (Morpholog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each-dune System in South Korea, with the Possibility of a Dune Type Scheme Based on Grain-size Trend)

  • 류호상;강지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3-73
    • /
    • 2020
  • Morphology and grain size distribution of coastal dunes should be well documented because they are critical to dune's buffering capacity and resilience against storm surges. The nationwide coastal dune survey produced the dataset, including beach-dune topographic profiles and grain size parameters for frontal beaches, foredunes, and inland dun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dataset to describe geomorphic and textural properties of coastal dunes: foredune slopes, dune heights above approximately highest high water, mean size, and sorting, together with associated variables of coastal setting that influence coastal dunes. It also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dune type scheme based on gran size tre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ast in which dunes are developed is the primary control on foredune morphology and sediment texture. Coastal dunes on the east coast were developed more alongshore rather than inland, with gentler slopes on the higher ground and out of coarser sand. The shore aspect contributes to this pattern because the east coast cannot benefit from prevailing northwesterly. Second, grain size trends from beaches through foredunes to inland dunes were little identified. Third, 12 dune types were identified from 69 dunes, showing the indicative capability for the status of beaches and dunes. We confirmed that the dataset could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oastal dune morphology and texture, though there is something to be improved, for example, establishing the refined and comprehensive field survey protocol.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자연해빈의 지하수위 변동해석 (Analysis of Ground Watertable Fluctuation at the Sandy Barrier Island on Jinu-do in Nakdong River Estuary)

  • 박정현;윤한삼;이인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82-388
    • /
    • 2014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의 사주섬 중 최서측에 위치하는 진우도를 대상으로 실험구를 구축한 후 해안선의 법선 방향으로 관측점 5곳을 선정하여 2012년 3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약 11개월간 관측된 수온, 전기전도도, 압력값을 이용하여 지하수위 변동해석을 하였다. 1) 지하수위의 수온, 염분, 수위변동과 조위, 파랑, 강수량 등의 외력조건과의 시계열 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하여, 소상대 정점에서는 파랑 및 조위의 영향, 식생 및 모래지반 정점에서는 강수량 및 조위의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다. 2) 고파랑내습시 관측점간의 지하수위 및 전기전도도의 공간적 거동을 살펴본 결과 사구(Sand dune) 및 식생대(Vegetation zone)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담수층과 해수층의 천이 영역(Transition zone)이 존재하였고, 진우도 남측을 기준으로 해안선에서 50~70 m 사이에 위치함을 알 수 있었다.

Improvement in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desert sand using shredded plastic waste

  • Kazmi, Zaheer Abbas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0권6호
    • /
    • pp.497-503
    • /
    • 2020
  •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the shallower depth of the earth's crust is composed of loose dune or beach sand with soluble salts. The expansive behavior of salt bearing soil, fluctuation of ground water table and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offer a variety of geotechnical problems affecting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the infrastructure built on it. Despite spending money, time and other resources on repair and rehabilitation, no significant attention is paid to explore the root causes of excessive differential settlement and cracking to these facilities. The scientific solution required to ensure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the constructed infrastructure is to improve the strength and durability properties of the supporting ground. In this study, shredded plastic is employed as a low cost and locally available additive to impro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desert sand. The study shows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shear strength and normal settlement of the soil. A seven (07) degree increase in angle of internal friction is achieved by adding 0.4 percent of the shredded plastic additive. The effect of different proportions and sizes of the plastic strips is also investigated to obtain optimum values. Such a long-lived solution will seek to reduce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of the infrastructure facilities laid on problematic soil along with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s.

Geographic Genetic Contour of a Ground Beetle, Scarites aterrimus (Coleoptera: Carabidae) on the Basis of Mitochondrial DNA Sequence

  • Wang, Ah-Rha;Kim, Min-Jee;Cho, Young-Bok;Wan, Xinlong;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2권2호
    • /
    • pp.65-74
    • /
    • 2011
  • The Scarites aterrimus (Coleoptera: Carabidae), is one of the carabid beetles dwelling exclusively on coastal sandy dunes. Habitat deterioration and equivalent activity have greatly concerned population declines in several species dwelling on the coastal sandy dunes. As a first step to establish long-term conservation strategy, we investigated the nation-wide magnitude and nature of genetic diversity of the species. As a first step, we sequenced a portion of mitochondrial COI gene, corresponding to "DNA Barcode" region (658 bp) from a total of 24 S. aterrimus individuals collected over nine sandy dunes belonging to four Korean provinces. The sequence analysis evidenced moderate to low magnitude of sequence diversity compared with other insect species distributed in Korean peninsula (0.152% to 0.912%). The presence of closely related haplotypes and relatively high gene flow estimate collectively suggest that there had been no historical barriers that bolster genetic subdivision. Population decline was postulated on the basis of several missing haplotypes that are well found in the species with a large population size. This interpretation is consistent with field observation of small population size in the coastal sandy dune habitats. The highest genetic diversity estimates were found in the coastal sand dune population of Seogwipo, Jeju Island, justifying a prior attention to the population, in order to sustain overall genetic diversity of the species. Further scrutinized study might be required for further robust conclusion.

해변염생식물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IV) - 입지조건이 다른 염생식물군집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o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Korea(IV)-The Halophyte Communities at the Different Salt Marsh Habitats)

  • Kim, Cheol Soo;Tae Gon S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3호
    • /
    • pp.167-176
    • /
    • 1983
  • Species composition, life form, biomass and soil properties of the halophyte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from July to September, 1982. At the reclaimed land of Sanho-ri, sand dune of Jido, salt marsh of Suncheon Bay, and Somjin River estuary of Baealdo, species numbers were 26, 14, 13 and 7, dominant species were Salicornia herbaceae, Carex pumila and Suaeda japonica, respectively. Species composition of the 4 investigated areas was 13 families, 25 genera and 39 species, and of them, 10 families, 21 genera and 24 species were attributed to halophytes. Out of 22 life forms, the representative for Jido was $ G-D_4-R_1-3-e.t$and those for the other sites were Th-G4-R5-e. Above ground biomass of all species for Sanho-ri, Jido, Suncheon Bay and Baealdo were 441.3, 202.0, 150.7 and 353.3 g.dw/m2 and the ratios of above ground biomass halophytes to all species were 93.5, 92.7, 90.8 and 100%, respectively. The leading dominant species formed a continuum according to the salt gradiant. The similarity between Baealo and Suncheon Bay was relatively high, and Jido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others in species composition. Aster tripolium was stenohaline and appeared at the low salt concentration, but Suaeda maritima and Suaeda asparagoides were duryhaline and occured at the relatively high salt concent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