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microalga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8초

해양배양기 내 중탄산염 공급에 따른 Tetraselmis sp. KCTC12432BP 증식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Microalgal Growth, Tetraselmis sp. KCTC12432BP by Supplying Bicarbonate on the Ocean Cultivation)

  • 조용희;신동우;이상민;전효남;류영진;이종찬;임상민;이철균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8-122
    • /
    • 2014
  • The ocean provide great benefits for microalgal mass cultures with maintaining stable temperature due to high specific heat, mixing by wave energy, and providing large area for large-scale microalgae cultures. In this study, we cultivated a marine green microalga, Tetraselmis sp. KCTC12432BP, using marine photobioreactors on the ocean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NaHCO_3$ concentration on the biomass productivities and evaluating the potential of ocean microalgae culture. The culture medium consist of three fold concentrated f/2-Si with 4 g/L of $NaHCO_3$, which is dissolved in natural seawater. After 11 days of cultivation, the cultures reached stationary phase at biomass concentration of 1.6 g/L. At that time, $NaHCO_3$ concentration of 0, 2, and 4 g/L were fed to the cultures. The daily productivities of 0.11, 0.19, 0.30 g/L/day were attained with feeding rate of 0, 2, and 4 g/L $NaHCO_3$, respectively. Biomass productivity of Tetraselmis sp. KCTC12432BP was a function of the $NaHCO_3$ feeding rate as expected.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microalgae can grow with $NaHCO_3$ as carbon source in marine photobioreactors on the ocean while exploiting various benefits of ocean cultivation.

초기 착생생물 Ulva pertusa 포자와 Nitzschia pungens를 이용한 신방오제의 방오능 검증 (Evaluation of antifouling system of new antifouling agents using spores of the green alga, Ulva pertusa and diatom, Nitzschia pungens)

  • 신현웅;강슬기;손지수;전재혁;이한주;정상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36-742
    • /
    • 2015
  • 대형녹조류인 Ulva pertusa는 전 세계 연안에 서식하는 저서성 종으로 대발생 또는 인공구조물에 착생되어 경제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착생생물을 제어하기 위해 신방오제인 ziram, diruon, zinc pyrithione(ZnPT), copper pyrithione(CuPT), DBNPA, triclosan 등이 방오도료로 사용 중이나, 대형 및 미세조류를 이용한 신방오제들의 방오능 검증과 기초적인 연구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 우점착생종인 구멍갈파래의 포자를 이용하여 방오제의 효능을 검증하고 생체막 형성의 우점종인 미세조류 Nitzschia pungens를 이용한 방오능을 검증하였다. 구멍갈파래포자의 운동성 검증에서 ziram과 ZnPT는 diuron, CuPT, DBNPA, triclosan보다 50% 높은 운동성 억제를 나타내었고 착생 검증에서는 ziram이 가장 낮은 착생률 1%로 나타났으며 CuPT는 $100{\mu}g/L$의 농도에서 다른 대조군에 비해 80%의 성장율 억제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신방오제의 방오능을 검증하여 향후 방오능 검증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지질생산 및 유전자 조작의 잠재적 자원으로서의 토착 미세조류 Chlamydomonas reinhardtii K01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ndigenous Microalgae Chlamydomonas reinhardtii K01 as a Potential Resource for Lipid Production and Genetic Modification)

  • 김은경;조대현;서상익;이창준;김희식;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2-209
    • /
    • 2022
  • 반수체 단세포 진핵생물인 녹조류 Chlamydomonas reinhardtii는 미세조류와 유전자 변형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 물질을 생산하는 세포 공장으로 연구자와 산업계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현재 대부분의 기초 및 산업 연구에 사용되는 외래종인 C. reinhardtii를 대체하기 위하여 충청과 전라지역 12개의 담수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Chlamydomonas로 추정되는 미세조류 K01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K01의 형태학적 분석과 18S rDNA 유전자 서열(NCBI 수탁번호 KC166137)의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통하여 분리균주 K01는 Chlamydomonas reinhardtii로 동정 되었다. 분리균주 C. reinhardtii K01의 성장 및 지질 함량은 TAP 배지에서 3개의 야생 균주 및 4개의 돌연변이 균주와 비교하였다. 이들 균주 중 C. reinhardtii K01 균주가 배양 3일째 1.74×107 cells/ml개의 세포수가 관찰되었다. 이는 비교 균주 중 가장 높은 세포 수(1.20×107 cells/ml)를 나타내어 UTEX2244와 비교했을 때 1.5배 빠른 성장속도를 보였다. 분리균주 C. reinhardtii K01의 지질함량(20.67%)은 야생형 균주의 지질함량과 유사하였다. 분리균주 Chlamydomonas reinhardtii K01의 지방산 성분은 7종의 분양 균주에서 확인된 지방산 중 oleate (C18:1)가 검출되지 않았다. 분리균주 C. reinhardtii K01은 nitrate (NaNO3)를 질소원으로 포함하는 BG11배지에서 배양 6일 동안 0.87 g/l까지 세포밀도가 증가하였으나, 분양균주인 7종의 Chlamydomonas의 경우 모든 균주에서 세포증식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