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reen development

Search Result 3,28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valuation of Odor Dispersion from Livestock Building through Field Experiment (현장실험을 통한 축산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축산악취의 확산 평가)

  • Yeo, Uk-Hyeon;Lee, In-Bok;Ha, Tae-Hwan;Decano, Cristina;Kim, Rack-Woo;Lee, Sang-Yeon;Kim, Jun-Gyu;Choi, Young-Bae;Park, You-M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61 no.6
    • /
    • pp.21-30
    • /
    • 2019
  • Livestock odor is comprised of mixed type of odorous compounds. Among these, ammonia ($NH_3$) and hydrogen sulfide ($H_2S$) are the two known major odor causing substances. Because high odor concentration reduces productivity of livestock and causes damage to the surrounding communities, quantitative analysis is needed to manage the odor inside and outside the livestock facil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evaluate odor dispers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ptors taking into account the influence of odor source and weather condi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odor dispersion from experimental pig house considering weather conditions. An experimental farm was specifically selected to eliminate the interference of odors generated by adjacent farms. $NH_3$ and complex odor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a gas detector and air dilution sensory method. The concentration of $NH_3$ and complex odor in pig house showed a distinct concentratio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leaning and ventilation conditions. $NH_3$ concentration and complex odor was lower than emission standard in the pig house and at the site boundary. The average $NH_3$ concentration (P1~P3) and the $NH_3$ concentration at the site boundary (S1)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R=0.77. While the correlation for complex odor inside and at the site boundary had R=0.5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NH_3$ and the complex odor was 0.80.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Impervious Ratio in Land-use Zone Using Pervious/Impervious Map based on GIS - Focused on Bupyeong-gu Incheon - (GIS기반의 투수/불투수도를 이용한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분석 -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

  • Oh, Seong Kwang;Kim, Kye Hyun;Lee, Chol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91-191
    • /
    • 2015
  • 무분별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증가하고 있다. 불투수면은 빗물이 투과하지 못하는 지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투수면은 강우 시 지면에 있는 유해물질이 그대로 인근 수계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심각한 수질 오염을 야기한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부에서는 불투수율 관리를 위하여 2013년에 전국토를 대상으로 불투수율을 산정한바 있으나, 소축척 수준의 시 또는 유역 단위 통계만을 산출하였고 대축척 수준의 소규모 개인 필지 내 조경지역 등을 반영한 불투수율 통계는 현재까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소규모 필지까지 적용 가능한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 및 활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을 분석하였다.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을 위해 토지피복지도, 수치지형도, 항공사진(25cm급) 등을 활용하여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하였다. 투수/불투수도는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제작 지침인 선형 요소의 경우 폭 3m, 면형 요소의 경우 면적 $10m{\times}10m(100m^2)$를 참조하여 제작되어 개별 필지단위의 불투수면까지 확인 가능하다. 이후 용도지역도를 수집하여 GIS 환경에서 투수/불투수도와 중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을 산출하였다. 불투수율을 산정한 결과 부평구 전체 불투수율은 64%로 확인되었다. 또한 용도지역도 중분류상 주거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82.1%, 상업지역의 경우 91.7%, 공업지역의 경우 94.1%, 녹지지역의 경우 30%로 확인되었다.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90%이상으로 불투수면 관리가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환경부에서 제작한 투수/불투수도 보다 정확한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 및 불투수 면적 산출이 가능하여 불투수면 우선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불투수율이 높은 지역을 우선 선별하여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및 그린빗물인프라(GSI,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특히, 불투수율이 높은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개선이 요구된다.

  • PDF

Development of Detailed Risk Information based on Risk Zoning for Preventing Urban Flooding (도시침수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상세 위험도 주제도 개발)

  • Kim, Mi-Eun;Kim, Seul-Ye;Lee, S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3-123
    • /
    • 2017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개발밀도가 높은 도시지역은 호우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극한 호우에 의해 발생되는 도시침수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시설물 대책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지자체가 수립하는 공간계획을 통해 토지이용, 건축물 등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예방전략 마련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 도시계획 담당자가 기후변화를 고려해 방재대책을 마련하는데는 국가 차원의 표준화된 방법론의 부재, 침수해석을 위한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가 도시계획에 실효성 있는 방재대책을 마련하는데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침수에 대한 상세 위험도 주제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의 영향과 도시지역의 유출 특성을 고려해 방재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강우 시나리오 기준으로 지속시간 1시간에 대한 재현빈도 30년과 100년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강우 시나리오 기준에 따라 도시지역 내 내수 외수의 침수발생 원인을 고려해 침수심 지도를 생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침수해석 모형인 HEC-RAS와 SWMM을 선정하고, 공간적 제약이 없이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모형의 구축 절차를 간소화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간소화된 침수해석 모형 결과를 토대로 강우 시나리오별 침수심 지도를 제작하고, 강우 시나리오와 침수심을 기준으로 위험정도에 따라 Red zone, Orange zone, Yellow zone, Green zone으로 영향권을 설정하였다. 실질적으로 각 영향권에 적합한 도시계획 차원에서의 방재대책 수립이 가능하도록 노출특성과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출특성은 영향권에 노출된 토지이용면적(m2)과 거주인구수(명)로 평가하고 취약성은 영향권 내 취약한 건축물 수(지하 또는 노후 건축물), 보호대상시설물 수로 평가하였다. 침수 발생이 예상되는 영향권별 노출특성과 취약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위험이 높은 지역(Red zone)은 공간규모를 축소해 상세 위험도 공간정보 주제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위험도가 높은 지역은 작은 공간 단위로 노출특성과 취약성을 분석해 상세 위험도 주제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상세 위험도 공간정보는 지자체가 도시계획 수립단계에서 실질적인 방재대책을 강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applying Green Roof in the CheonggyeCheon Watershed (청계천 유역의 옥상녹화 적용에 따른 유출저감 분석)

  • Park, Gu Young;Yang, Jeong Seok;Lee, Jae Beom;Bang, Yong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0-400
    • /
    • 2015
  • 기후변화로 인해 예측하기 어려운 강우패턴의 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로 도심지는 매년 침수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배수시설의 개선은 인구밀도가 높고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지에서 이루어지기 쉽지 않은 상황이며, 강우패턴의 변화는 예측과 대처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침투증진을 통해 직접유출수를 줄이는 연구 중 LID(Low Impact Developmen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LID기법은 도시화로 증가된 불투수면을 투수면으로 대체하여 저류, 침투, 여과, 증발산을 유도하여 물 순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옥상녹화, 투수성포장, 침투 트렌치 등의 기술요소가 있다. LID 기술요소에 대해 국외의 경우 설치방안과 평균적인 저감효과를 메뉴얼로 제시하고 있지만, 강우 및 토지의 지역적 편차가 큰 국내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LID 모델링의 경우 유역 내 적용 면적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제시하는 연구결과는 다수 제시되고 있지만, 적용 면적과 지점에 따라 효율성을 제시하는 점에서는 다소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LID 기술요소 별 설계 사례와 GIS를 바탕으로 유역 내 적용 지점과 면적을 산출하고, 적용 지점 및 면적에 따른 저감 효율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SWMM모형을 이용하여 LID 기술요소 중 옥상녹화를 적용하여, 강우 강도와 적용지점 및 면적에 따른 유출저감 효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청계천 유역으로 총 면적의 75% 이상이 주거지, 상업지, 교통시설 등을 포함한 불투수면으로 이루어져있는 도시 지역이다. 강우자료는 10년, 30년, 80년 빈도 확률강우량을 적용하였으며, 옥상녹화를 적용하기 위한 지점과 면적은 GIS를 기반으로 산정하였다.

  • PDF

A study on Green Roof System and Stormwater Reduction Effectiveness based on SWMM Model (SWMM 모델을 이용한 옥상녹화면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분석)

  • Kim, Jae Moon;Kim, Sae Bom;Kim, Byung Sung;Park, Kwang Hee;Shin, Hyu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83-38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 및 불투수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도시 지역 내의 첨두유량, 도달시간, 지체시간 등과 같은 수문학적 인자가 변화함에 따라 재산피해,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은 수리수문학적 및 환경생태학적 문제를 저감하는 방안 중 하나로써 도시지역에서 수환경을 자연상태로 복원하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LID 기법 중 하나인 옥상녹화는 도시 내의 불투수면 증가로 인한 초과 지표면유출을 저감시켜 물관리를 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경남 양산시 부산대학교 제 2 캠퍼스에 조성된 옥상녹화 장치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유출량을 분석하였다. 비식생구와 식생구를 설치하고 실험의 시나리오는 강우강도를 25, 50, 75, 100 mm/hr로 설정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을 바탕으로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유출량 값은 SWMM 5의 매개변수 추정지원 시스템인 SWMM-SCE를 이용하여 모형을 자동보정하였다. 보정된 모의유량은 실측유량과 0.28~3.81% 만큼의 오차를 보였고 각 시나리오에 따라 검증한 결과 상관계수가 0.82 이상으로서 실측값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옥상녹화 실험의 경우, 강우강도 75mm/hr일 때 첨두유출저감율과 지연시간은 각각 15.45% 감소, 15초 지연으로 최적의 효율이 나타났으며 강우강도 25mm/hr일 때 첨두유출저감율과 지연시간은 각각 1.36% 감소, 4초 지연으로 최저의 효율이 나타났다. SWMM 모의 결과는 강우강도 75mm/hr일 때 첨두유출저감율과 지연시간은 각각 15.45% 감소, 16초 지연으로 최적의 효율이 나타났으며 강우강도 25mm/hr일 때 첨두유출저감율과 지연시간은 각각 2.73% 감소, 4초 지연으로 최저의 효율이 나타났다.

  • PDF

Research 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Tests of Movable Catenary System Using Rigid Bar for DC Feeding System (강체전차선을 이용한 직류전기철도용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개발 및 성능검증에 관한 연구)

  • Park, Seong-Hee;Jang, Dong-Uk;Kang, Se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20 no.3
    • /
    • pp.356-364
    • /
    • 2017
  • The process of inspecting electric railway vehicles is complicated and these vehicles accompany a risk of safety accidents. This developed system will be a great help in simplifying the shunting process and be very useful in terms of ensuring safety and providing user convenience.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tests are studied on a movable catenary system for railway vehicles that secured mechanical durability, convenience, and operator safety by applying a specific rigid bar catenary of an existing mobile train line. We presented an analysis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for site installation including sorting. In conclusion, this developed system was obtained in good results through durability test, durable mechanical load test and safety test in require specifications.

Consumer Perceptions and Consumer Behavior Toward Bio-Based Products: An Empirical Study in Vietnam

  • NGUYEN, Trong Luan;TRAN, Ngoc Phu;NGUYEN, Thi Kieu Thu;HUYNH, Thi Cam Tien;NGUYEN, Thi Kim Loi;THACH, Le Phuong Nghi;THAI, Gia Nhu;TRAN, Thi Thanh Sa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v.8 no.12
    • /
    • pp.211-222
    • /
    • 2021
  • Green economy, also known as sustainable economy, is a current development trend in which consumers prefer products that are wholly or partly derived from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since they have become more concerned about their health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l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nsumer behavior toward bio-based products with three key goals in mind. First, it help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consumers toward Bio-based products. Second, it properly helps consumers be aware of products derived from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so that the consumer can make purchasing decisions to protect their health and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Third, the study on consumer behavior towards bio-based products will provide a more accurate view and assessment to companies looking to develop Bio-based products. Based on that, the research is carried out through surveying, collecting data from consumers, and then using the deductive approach, descriptive statistics, and quantitative method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 positive relationship and a direct impact are established between the variables of Attitude and Social Norms and the Purchase Intention toward Bio-based products. Furthermore, the findings reveal that customers have positive feelings towards bio-based products in terms of trust, knowledge, and the environment.

Prevalence of feline calicivirus and the distribution of serum neutralizing antibody against isolate strains in cats of Hangzhou, China

  • Zheng, Mengjie;Li, Zesheng;Fu, Xinyu;Lv, Qian;Yang, Yang;Shi, Fusha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v.22 no.5
    • /
    • pp.73.1-73.11
    • /
    • 2021
  • Background: Feline calicivirus (FCV) is a common pathogen of felids, and FCV vaccination is regularly practiced. The genetic variability and antigenic diversity of FCV hinder the effective control and prevention of infection by vaccination. Improved knowledge of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CV should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vaccines.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FCV in a population of cats with FCV-suspected clinical signs in Hangzhou and to demonstrate the antigenic and 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vaccine status and representative isolated FCV strains. Methods: Cats (n = 516) from Hangzhou were investigated between 2018 and 2020. The association between risk factors and FCV infection was assessed. Phylogenetic analyses based on a capsid coding sequence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strains. In vitro virus neutralization tests were used to assess antibody levels against isolated FCV strains in client-owned cats. Results: The FCV-positive rate of the examined cats was 43.0%. Risk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CV infection were vaccination status and oral symptoms.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a radial phylogeny with no evidence of temporal or countrywide clust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serum antibody titers between vaccinated and unvaccinated cats.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a high prevalence and genetic diversity of FCV in Hangzhou.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icacy of FCV vaccination is unsatisfactory. More comprehensive and refined vaccination protocols are an urgent and unmet need.

Using the Perceptions of Residents to Determine Key Priorities for Planning a Community Garden

  • Jeong, Nara;Han, Seungwon;Kim, Kwangjin;Jung, Youngbin
    •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 /
    • v.12 no.4
    • /
    • pp.25-3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how community garden spaces should be used to restore communities engaged in village-rehabilitation projects. To achieve this purpose, we have analyzed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conducting a town-development project. The community reviewed the benefits of having a garden to improve 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comfort. Given the role of gardens in revitalizing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build spaces where residents can relax and enjoy community life. Those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oped that their community garden would provide shade and relaxation, a children's play area, green spaces, and places for conversation. The space and facilities provided by community gardens vary, in accordance with the expectations and needs of each community. It is therefore inappropriate to apply uniform garden designs to all community gardens. Between 20% and 25% of a community garden should be allocated to each of the following: community space, ornamental space, and space for relaxation. As plants that provide shade and help to maintain the ecosystem are strongly preferred in community gardens, all plants should be chosen for their environmental benefits and functionality, rather than aesthetics. Residents may be willing to participate in a range of activities, including community events, the cultivation of plants, and garden management. Towns must therefore set up programs to support these activities. It is essential to continue studying and investigating the formation of community spaces and facilit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unity.

Functional analysis of a homologue of the FLORICAULA/LEAFY gene in litchi (Litchi chinensis Sonn.) revealing its significance in early flowering process

  • Ding, Feng;Zhang, Shuwei;Chen, Houbin;Peng, Hongxiang;Lu, Jiang;He, Xinhua;Pan, Jiechun
    • Genes and Genomics
    • /
    • v.40 no.12
    • /
    • pp.1259-1267
    • /
    • 2018
  • Litchi (Litchi chinensis Sonn.) is an important subtropical fruit crop with high commercial value due to its high nutritional values and favorable tastes. However, irregular bearing attributed to unstable flowering is a major ongoing problem for litchi producers.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low-temperature is a key factor in litchi floral induction. In order to reveal the genetic and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reproductive process in litchi, we had analyzed the transcriptome of buds before and after low-temperature induction using RNA-seq technology. A key flower bud differentiation associated gene, a homologue of FLORICAULA/LEAFY, was identified and named LcLFY (GenBank Accession No. KF008435). The cDNA sequence of LcLFY encodes a putative protein of 388 amino acids. To gain insight into the role of LcLFY, the temporal expression level of this gene was measured by real-time RT-PCR. LcLFY was highly expressed in flower buds and its expression correlated with the floral developmental stage. Heterologous expression of LcLFY in transgenic tobacco plants induced precocious flowering. Meantime, we investigated the sub-cellular localization of LcLFY. The LcLFY-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fusion protein was found in the nucleus. The results suggest that LcLFY plays a pivotal role as a transcription factor in controlling the transition to flowering and in the development of floral organs in lit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