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barley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33초

찻물에서의 Cd과 Pb이온 제거에 관한 차입자의 효과 (Effect of Some Tea on Removability of Cd and Pb Ion in Solution)

  • 김중만;백승화;박성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21-527
    • /
    • 1998
  • Removabilities of heavy metals(Cd and Pb) by the tea materials (barley-tea, corn-tea, jasmin-tea, brown rice-green tea, black-tea, cassia tora-tea, persimmon peel-tea, and rice-tea) in the tea-water were studied in the various conditions ; particle size of tea (20, 40, 70 mes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25, 50, 100 ppm) and extraction temperature(20, 30, 50, 100$^{\circ}C$). The removabilities by the tea solids were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decreased,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increased, and extracting temperature increased. Of the nine kinds of tea, Cd and Pb removability by jasmin-tea was highest. In addition, heavy metal removability by cassia tora tea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tea as extrac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 PD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Prior to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Operation

  • Pak, Chan-Kirl;Yang, Kyung-Ri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13-25
    • /
    • 1978
  • 1970년 12월에서 1976년 12월 사이의 6년간 고리 원자력발전소 주변 환경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환경방사능을 측정조사하였다. 1976년에 채취한 공기미진에서 진알파 방사능과 1970년 12월에서 1976년 12월 사이에 채취한 시료인 토양, 물, 공기미진, 낙진, 솔잎, 빗물과 여런 식품시료에 페하여 전베타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시금치, 배추, 보리, 쌀, 뱀장어, 조기, 미역, 파해 및 우유 중에 함유된 스트론튬-90및 세시움-137 방사능은 방사화학적으로 분석하여 측정하였고 정수, 하천수, 바닷물 중의 트리튬도 전해법으로 농축하여 그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 PDF

종자소독의 현황과 문제점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Chemical Seed Treatment of Seedborne Diseases)

  • 이두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0-137
    • /
    • 1983
  • A wide variety of pathogens are known io be seedborne, carried either as infectious mycelium internally or as contaminants on the seed coat. When seed is infected with a pathogen, the seed nay be rendered nonviable or it may remain viable but produce weak seedling. In some cases, the Infected seedling nay not be severely weakened, but nay serve as a source of primary inoculum within a community of plants. A recent problem nay be the dissemination of seedborne pathogens occurring as a result of the massive movements of seed, as a part of the 'Green revolution' Disease of great danger to agriculture may be introduced with seed from other parts of world. Seed treatment with organic mercury compounds in liquid form had become popular since about 1955. Organic mercury compounds contributed considerably to the increase in production of many crops and vegetables. In 1975, however, the use of organic mercury compound was forbidden because of doubts regarding their residual mammalian toxicity in agricultural products. Benomyl-thiram mixture, thiophanate methyl-;hiram mixture and TCMB have now been registered as seed disinfectants for the use of rice blast, brown spot and Bakanae disease. Oxathiinsthiram mixture has been registered as seed disinfectant for barley and wheat loose smut and leaf stripe of barley. Agricultural techniques have made such rapid progress that the nursery methods changed from the use of paddy nursery to box nursery designed for machine-transplanting. The spread of rice transplanting machines has caused increase of seedborne diseases. Among seedborne diseases, Bakanae disease has remarkably increased and causes much damage recently. In order to counter this trend, seed disinfectants must also be diversified. First, effective non-selective disinfectants need to be developed, and second, appropriate control methods always need to be prepared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for cultivation.

  • PDF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mature embryos of an elite barley cultivar (Hordeum vulgare L. cv Baegdong)

  • Lee, Kui-Jae;Wtpsk, Senarath;Lee, Wang-Hy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제10차 국제학술회의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 /
    • pp.21-21
    • /
    • 2003
  •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was developed for Hordeum vulgare L. cv Baegdong - an important Korean cultivar. The protocol was based on a series of experiments involving the sizes of mature embryos and the culture media. The embryo size is found to be critical for the establishment of embryogenic callus. Embryos of 1.1-1.5 mm size showed a much higher ability to produce embryogenic callus capable of regenerating green plants. The auxins picloram and dicamba proved effective in inducing callus from mature embryos. 2.5 mg $I^{-1}$ dicamba and 4.0 mg $I^{-1}$ picloram in Murashige and Skoog's (MS) medium was optimum for the induction of primary callus. The induced primary callus was loose and friable which ultimately developed into creamy white and compact callus after transferring into the fresh medium. Multiple shoots were induced i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6.0 g $I^{-1}$ maltose, 20 mg $I^{-1}$ sorbitol, 0.5 mg $I^{-1}$ 2,4-D and 1.0 mg $I^{-1}$ kinetin and the rate was 6.5 shoots per embryo. Regenerated plants were hardy and developed roots rapidly in the medium containing 0.2 $I^{-1}$ IBA. This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provides a foundation for generating transgenic plants of this important barley cultivar.

  • PDF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mature embryos of an elite barley cultivar (Hordeum vulgare L. cv Baegdong)

  • Lee, Kui-Jae;Wtpsk, Senarath;Lee, Wang-Hy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심포지엄
    • /
    • pp.59-67
    • /
    • 2003
  •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was developed for Hordeum vulgare L. cv Baegdong - an important Korean cultivar. The protocol was based on a series of experiments involving the sizes of mature embryos and the culture media. The embryo size is found to be critical for the establishment of embryogenic callus. Embryos of 1.1-1.5 mm size showed a much higher ability to produce embryogenic callus capable of regenerating green plants. The auxins picloram and dicamba proved effective in inducing callus from mature embryos. $2.5\;m;I^{-1}$ dicamba and $4.0\;mg\;I^{-1}$ picloram in Murashige and Skoog's (MS) medium was optimum for the induction of primary callus. The induced primary callus was loose and friable which ultimately developed into creamy white and compact callus after transferring into the fresh medium. Multiple shoots were induced i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6.0\;g\;I^{-1}$ maltose, $20\;mg\;I^{-1}$ sorbitol, $0.5\;mg\;I^{-1}$ 2, 4-D and $1.0\;mg\;I^{-1}$ kinetin and the rate was 6.5 shoots per embryo. Regenerated plants were hardy and developed roots rapidly in the medium containing $0.2\;I^{-1}$ IBA. This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provides a foundation for generating transgenic plants of this important barley cultivar.

  • PDF

가축 기호성이 좋은 반매끈망을 가진 청보리 신품종 '미한' (A New Forage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 'Mihan' with Ruminant-Palatable Semi-Smooth Awn)

  • 박종호;정영근;김경호;박태일;김양길;강천식;윤영미;한옥규;윤건식;홍기흥;배정숙;송재기;오영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3-259
    • /
    • 2018
  • '미한'은 추위 및 도복에 강한 다수성이면서 총체적성이 우수한 청보리 품종육성을 목표로 2001년 추위 및 도복에 강하며 초형이 양호한 'SB00T2064'를 모본으로, 양질다수성으로 총체적성이 우수한 '수원385호(IT215831)'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익산487호'로서 전국 6개소에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6년에 육성되었다. '미한'은 기존 육성된 '영양'의 거친 망의 단점을 개선하여, 까락의 거치가 적은 반매끈망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미한'은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IV정도로 영양보다는 추파성이 강하였다. 미한의 잎은 녹색이며, 엽폭은 중간정도이며, 엽이의 안토시아닌색은 없으며, 초장은 96cm, $m^2$당 경수는 665개로 표준품종인 '영양'보다 적었으나, 엽신 비율이 17.9%, 이삭비율은 52.2%로 높다. 답리작(전주 등 5개 지역 평균)에서 출수기는 4월 23일로 '영양'보다 3일 늦었으나, 황숙기는 5월 23일로 '영양'보다 1일 늦었다. '미한'은 내한성에 대해서는 '영양'보다 강하며, 흰가루병에는 약하며,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3.9톤/ha으로 '영양'과 보다 5% 감수하였지만, 답리작에서 10.9톤/ha으로 '영양'과 같았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10.3%로 '영양'에 비해 높았으며, ADF는 26.1%, NDF는 46.9%로 '영양'보다 높았으며 TDN이 68.2% '영양'보다 다소 낮았으나, 사일리지 품질등급은 I 등급으로 '영양'보다 우수하였다.

중부지역 답리작에서 두과 및 화본과 녹비작물의 재배방법에 따른 biomass, 질소 함량이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mass and N Production by Cultivation Methods of Leguminous and Gramineae Green Manures on Rice Growth in Central Regions of Korea)

  • 전원태;성기영;김민태;오인석;최봉수;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53-858
    • /
    • 2011
  • 중부지역에서 파종방법에 따른 녹비작물들의 biomass, 질소 생산성 및 벼 이용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벼 연구포장 (신흥통)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녹비작물 파종은 벼 수확전 입모중 파종과 벼 수확 후 부분경운 파종으로 구분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녹비작물은 두과는 헤어리베치, 자운영, 크림손클로버 3종과 보리, 호밀, 귀리, 들묵새 화본과 4종을 재배하였다. 입모중 파종은 두과는 수확 2주전, 화본과 는 1주일 전에 파종하였다. 벼 수확 후 부분경운 파종은 두과와 화본과 모두 벼 수확 익일에 파종하였다. 10a 당 파종량은 입모중 및 부분경운파종 모두 헤어리베치는 9kg, 자운영과 크림손클로버는 3kg를 파종하였고 볏과는 보리, 호밀, 귀리는 15kg, 들묵새는 3kg을 파종하였다. 녹비작물들의 환원은 2008년 5월 15일에 트랙터로 로터리 경운을 하였다. 벼 품종은 풍미벼로 2008년 6월 5일에 중묘기계 이앙하였다. 두과 녹비작물 중에서는 헤어리베치의 생초중이 10a 당 2,418~2,826 kg, 건물중이 507~692 kg으로 가장 높았고 입모중보다 부분경운파종이 좋았다. 화본과 녹비작물 중에서는 호밀의 생초중이 10a 당 1,187~1,296 kg, 건물중 562 kg으로 가장 높았고 파종방법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두 파종 방법 모두에서 둑새풀인 잡초의 발생은 가장 적었다. 호밀과 헤어리베치를 제외하고는 biomass가 적었고 잡초인 둑새풀의 발생이 많았다. C/N율은 헤어리베치가 14.1로 낮았고 호밀이 56.5~74.2로 높았고 파종방법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녹비작물 환원 후 벼 재배 중 토양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은 이앙 후 14일과 42일 모두 헤어리베치 투입구에서 관행시비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거나 차이가 없었다. 쌀 수량도 헤어리베치 투입구에서 관행시비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어서 중부지역에 답리작에서 적합한 녹비작물은 헤어리베치가 가장 우수하였고 그 효과는 부분경운 파종이 입모중 파종보다 높았다. 호밀은 생육이 빠르고 biomass은 약간 많으나 C/N율이 높아서 쌀수량이 낮았다. 그 외 두과인 크림손클로버, 자운영과 화본과인 보리, 들묵새는 biomass 및 N 생산성이 적어서 중부지역에서 벼 재배 시 화학비료를 대체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에 의(依)한 맥아역가증대(麥芽力價增大)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Enzyme Activities of Green Malt)

  • 김병묵;김형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31-136
    • /
    • 1969
  • 저선량(低線量) 방사선(放射線)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촉진효과(促進效果) (possitive effect)는 이미 주지(周知)된 사실(事實)인 바 맥아(麥芽)의 역가증대(力價增大)에 대(對)한 그 응용성(應用性) 여하(如何)를 검토(檢討)하기 위(爲)하여 대맥종자(大麥種子)에 10, 100, 1000, 10000 rads의 ${\gamma}$선(線)을 조사(照射)하고 맥아(麥芽)를 만들어 기중(其中)의 몇몇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1. 표준구(標準區)에 비(比)해 조사구(照射區)의 생체중(生體重)은 1,000rads 이하의 저선량구(低線量區)에서는 증가(增加)되었으나 10,000rads의 고선량구(高線量區)에서는 감소(減少)되었다. 2. ${\alpha}$-amylase activity 및 당화력(糖化力)은 전조사구(全照射區)에서 증대(增大)되었으며 특(特)히 100rads 구(區)에서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다. 증대효과(增大效果)는 ${\alpha}$-amylase activity의 경우 $26{\sim}69%$ 당화력(糖化力)의 경우 $87{\sim}178%$이었다. 3. pretense activity는 1,000rads이하의 저선량구(低線量區)에서는 거의 변화(變化)가 없고 10,000rads의 고선량구(高線量區)에서는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4. 생맥아중(生麥芽中)의 환원당(還元糖) 함량(含量)은 전조사구(全照射區)에서 감소(減少) 되었으며 특(特)히 100, 1,000 rads 구(區)에서 더욱 감소(減少)되었다. 5. 생맥아중(生麥芽中)의 soluble protein 함량(含量)은 전조사구(全照射區)에서 증가(增加)되었으며 특(待)히 100rads 구(區)에서 가장 증가(增加)되었다.

  • PDF

무인기 기반 RGB 영상을 이용한 동계작물 바이오매스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Biomass Evaluation Model of Winter Crop Using RGB Imagery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 나상일;박찬원;소규호;안호용;이경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09-720
    • /
    • 2018
  • 작황 모니터링에서 바이오매스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정확하고 신속한 작물 생육 상황 등 현장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바이오매스의 평가는 작황 모니터링 및 수확량 예측에 활용된다. 무인기 영상은 작물의 성장에 따라 빠르게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농업에서 포장내 공간변이 파악 및 분석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한 동계작물 바이오매스 평가 방법 개발을 위하여 식생지수($E{\times}G$)에 의한 식생 피복률(VF)과 작물 표고 모형(CSM) 기반의 초고(PH)를 이용하여 보리와 밀을 대상으로 바이오매스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식생 피복률, 초고 및 상호작용 항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 선형 회귀 모델을 구축한 결과, 5가지 품종의 결정계수는 0.84~0.99로 나타났으며, 보리와 밀의 결정계수 및 평균 제곱근 오차는 각각 0.91, 0.90 및 102.09, $110.87g/m^2$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인기 영상을 활용한 동계작물의 바이오매스 평가 및 작황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맥류의 출수기에 관한 연구 VI. 광질이 대맥의 출수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Heading Date of Wheat and Barley VI. Effects of Light Qualities on Heading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Barley)

  • 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4-191
    • /
    • 1989
  • 맥류재배시 보조조명의 광질이 출수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맥류세대족진에 이용코자 오월보리, 완주봄쌀보리, 사천6호, 강보리를 공시하여 8시간의 자연일장과 16시간의 보조조명으로 장일처리하였다. 보조조명은 백열등(80W), 청색형광등(80W), 주광생형광등(80W), Biolux 형광등(80W), 백열전구(40W)+청색형광등(40W), 백열전구(40W)+주광색형광등(40W), 백열전구(40W)+Biolux형광등(40W), 자연일장(8시간) 등 8처리구를 두고 15$^{\circ}C$로 조절된 온실에서 본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질에 따라 지엽전개까지 일수는 백열등조명구 또는 백열등 혼합조명구가 가장 짧았고, 품종간에는 사천6호가 가장 짧았다. 2. 이엽전개까지 일수가 가장 짧은 백열등조명구가 출엽속도는 빨랐으나 주간의 엽수와 초장의 일당생장량은 가장 적었으며, 기타 간장 절간장 및 엽면적 등의 생장량도 적었다. 3. 엽위별 엽록소함량은 상위엽일수록 많았고, 지엽전개가 가장 빨랐던 배열등조명구의 하위엽(제1엽, 2엽)의 엽록소함량이 특히 적었다. 4. 지상부 건물중은 품종별 다같이 백열등조명구가 가장 적었으나 천입중은 백열등조명구 또는 Biolux 조명구에서 가장 높았다. 5. 주당입수와 수량은 Biolux 조명구가 가장 많았고 백열등조명구에서 가장 적었다. 6. 출수족진만이 목적일 때는 보조조명 방법으로 지엽이 가장 빨리 출현하는 백열등조명이 바람직하나 출수기와 수량을 다같이 고려한다면 백열등+청색형광등으로 혼합조명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