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zing pressur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4초

인천 연안 미세오손생물 군집 형성과 원생동물의 영향 (The Effects of Protozoa on the Early Formation of Microbial Fouling Communities of Inchon Coastal Waters)

  • 최중기;양은진;이원제;윤원득;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4호
    • /
    • pp.349-36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미세오손생물 군집 형성에 있어서 원생동물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기 미생물막 형성과 미세오손생물 군집의 형성 및 부착과정, 부착 박테리아에 대한 원생동물의 포식영향 등이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내항과 외항(해경부두), 실험실 등에서 부착실험을 10~30일간 계속적으로 수행하였다. 인천내항 실험에서 박테리아와 편모충류는 실험 시작 6시간내에 미생물막을 형성하기 시작하였고 섬모충류는 9시간 경과시에 빈모류가 2 cells $mm^{-2}$ 출현하였다. 부착오손생물인 따개비 Balanus albicostatus의 유생은 실험 첫날부터 부착하기 시작하였다. 수괴가 안정된 인천내항에서 편모충류는 13일경 최대 465 cells $mm^{-2}$ 출현하였고, 섬모충류는 11 일째 63 cells $mm^{-2}$이 최대로 출현하였다. 인천외항에서 편모충류는 초기에 최대 223 cells $mm^{-2}$ 출현하였고, 섬모충류는 5일째 최대 39 cells $mm^{-2}$ 출현하여 인천내항보다는 외항에서 미생물막이 빠르게 발달하였으나 원생동물 출현 개체수는 작았다. 미생물막에 출현한 편모충류는 대부분 자서성인 Metromonas종류와 Bodonids종류였고, 섬모충류는 초기에는 소형 유종섬모충류 종류와 빈섬모충 Strombidium종류였고, 후에는 빈섬모충 Strombidium viridae(60 ${\mu}m$)와 부착성 Suctoria인 Acineta, turherosa가 출현하였다. 오손생물 군집은 따개비 유생이 초기부터 부착하여 7일째 18 개체 $cm^{-2}$ 까지 증가하였다. 이때 따개비 성체가 출현하기 시작하고 9일째부터는 따개비 사체가 발견되기 시작하였다. 이외에 오손생물로 강장동물 Anthozoa sp., 참굴(Crassostrea gigas)유생, 갯지렁이 유생 등이 실험시작 3일 후부터 부착하기 시작하였다. 부착판에 서식하는 요각류 Harpacticus sp. 등과 단각류 등은 미생물막이 잘 발달된 7일 이후에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미생물막 형성에는 알루미늄판이 유리판과 아크릴판보다 다소 유리하였고, 오손생물 군집과 부착판 서식생물 군집의 형성에는 유리판이 알루미늄판 보다 유리하였다. 미생물막 박테리아에 대한 원생동물의 섭취율은 낮은 편이나 포식율은 0.058 $h^{-1}$로 비교적 높아 원생동물이 미생물막 박테리아 개체군 사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Temporary Loading of Nonylphenol on a Summer Planktonic Community in a Eutrophic Pond

  • Baek, Seung-Ho;Katano, Toshiya;Han, Myung-Soo
    • 생태와환경
    • /
    • 제41권4호
    • /
    • pp.519-529
    • /
    • 2008
  • Recent studies reveal one of the representative endocrine disrupters of nonylphenol affects on the composition of a planktonic community. Since nonylphenol is sometimes discharged into eutrophic waters, we monitored planktonic community composition of a eutrophic pond after receiving nonylphenol when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mainly dominate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wo times using small-scale microcosms in a laboratory. In both two experiments, ciliate abundance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nonylphenol was added. On the seventh day, the ciliate abundances in $10{\mu}g\;L^{-1}$ added treatments decreased by 36.9% in the first experiment and 33.6% in the secon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The response of other planktonic groups was less obvious to nonylphenol addition. In particular, in the first experiment, Chl. b/Chl. $\alpha$ and Chl. c/Chl. $\alph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nonylphenol, while total Chl. $\alpha$ concentration did not change. Indeed, bacillariophyceae and chlorophyceae abundances tended to increase with nonylphenol dosing. From these results, we tentatively hypothesized that nonylphenolloading positively affects on abundances of edible phytoplankton such as Scenedesmus spp. and diatoms by releasing from grazing pressure due to decrease in ciliate abundances. The present study emphasizes that the indirect effect of endocrine disrupters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when freshwater resources are polluted by them.

光陽灣 植物 플랑크톤 分布에 관한 硏究 (On the Phyr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Kwangyang Bay)

  • 심재형;신윤근;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2-186
    • /
    • 1984
  • 光陽灣 植物 플랑크톤의 分布와 環境과의 관계에 대한 硏究가 1982년 3월 에서 12월까지 4회에 걸쳐 계절별로 이루어졌다. 本 硏究에서 總 211種이 同定 되었는데 이들은 67屬 196種 14變種 1品種으로 構成되었다. 季節別 우점종은 春季 Rhiwosolenia deiicatula, Chroomonas sp, 夏季 Chroomonas sp. 秋季 Chaetoceros debilis, C. socialis, 冬季 Skeletonema costatum, Chroomonas sp.로 季節에 따른 우점종의 遷移현상이 뚜렷하였다. 식물 플랑크톤 現在量의 時間的 變化는 암모니아態 질소의 농도, 동물 플랑크톤에 의한 攝食壓力, 水溫의 變化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特히 春季 硅藻類의 大發生은 암모니아態 질소의 농도와 높은 相關性을 보였다. 種 多樣性指數는 비교적 낮다. 전 群集內에서 nanoplankron 의 年 평균 비율은 36.5%로 光陽灣 일차생산과 먹이망에서 중요한 位置를 占 하였다. 植物 플랑크톤의 空間分析에 의하여 硏究水域은 대체로 淡水 流入이 많은 蟾津강 河口域, 外洋水의 영향이 적은 灣 右側域, 外洋水의 영향이 큰 灣 右側域 등 3個의 특징적인 水域으로 區分된다. 공장 폐수도 植物 플랑크톤 分布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기도 경안천에 설치한 메소코즘 내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어류, 수생식물, 인공식물섬에 의한 조류저감효과 연구 (Effect of Algal Bloom Control Using the Mesocosms Installed with Zooplankton, Fishes, Aquatic Macrophytes and Artificial Marshy Land in Kyungan Stream)

  • 송미애;공동수;이옥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41-647
    • /
    • 2013
  • We installed mesocosms including zooplankton, fishs, artificial marshy land and aquatic macrophytes in Kyoungan stream to study the reduction effects of algae from Sep. 16 to Oct. 28, 2011. The control tendency of phytoplankton taxa was compared by analyzing community structure and dominant species in each mesocosm. Under the condition where Bluegill was absent, Daphnia similoides showed good effect of algal control since it has large food area and has high grazing pressure. Bluegill selectively preys upon large zooplankton, Daphnia similoides, as it also preys on small zooplanktons that flow in. In condition that Bluegill was absent, Daphnia similoides preyed selectively large phytoplankton (Cryptomonas ovata). Due to the shading of light, removal of nutrients and providing refuge for small zooplanktons, aquatic macrophytes and artificial marshy land showed high level of algal control. In corrals with aquatic macrophytes and artificial marshy land, the dominancy of genus Coelastrum and Pediastrum, which are difficult for small zooplanktons to feed on, relatively increased. In conclusion, under conditions of small number of predators such as Bluegill, Daphnia similoides is thought to be useful in algal bloom; however, when lots of predators are present, using small sized zooplanktons along with artificial marshy land and aquatic macrophytes is thought to be more useful than using large zooplanktons.

경기만 수역에서 미세생물 군집의 계절적 변동 연구 I. 박테리아와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 (The Study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Microbial Community in Kyeonggi Bay, Korea 1. Bacteria and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 양은진;최중기;현정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1호
    • /
    • pp.44-57
    • /
    • 2003
  • 경기만 수역의 표영 생태계에서 박테리아 생물량과 생산력 그리고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계절 변동 및 박테리아에 대한 종속영양 미소편모류의 섭식률를 조사하기 위하여, 고정 정점에서 1997년 12월부터 1998년 11월까지 한달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박테리아 생물량과 이차 생산력은 각각 0.38$\times$$10^{9}$ ~ 3.25$\times$$10^{9}$ cells 1$^{-1}$(평균 1.19$\pm$ 0.69$\times$ $10^{9}$ cells 1$^{-1}$)와 1.51~ 20.4 cells 1$^{-1}$h$^{-1}$(평균 6.04$\pm$ 1.88$\times$$10^{6}$cells 1$^{-1}$h$^{-1}$)로 변하였으며, 5월과 9월에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박테리아 생물량과 생산력은 간조와 만조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특히 박테리아 생물량은 수직분포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박테리아 생산력은 저층으로 갈수록 다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박테리아 생물량과 생산력의 계절적 분포는 용존 유기탄소의 농도와 유사한 분포 특성을 보였다. 또한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현존량 분포는 388~4,374 cells ml$^{-1}$(평균 1,344$\pm$130 cells ml$^{-1}$)로 변하였으며, 3월, 4월과 7월, 8월에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는 간조와 만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수직적 분포 특성에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박테리아에 대한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개체군 섭식률은 1.0x$10^{6}$~6.3$\times$$10^{6}$ bacteria 1$^{-1}$h$^{-1}$(평균 3.12$\pm$0.55$\times$$10^{6}$ bacteria 1$^{-1}$h$^{-1}$)로 나타났으며,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개체군 섭식은 박테리아 이차생산의 19.4~141.4% (평균 62.3$\pm$12.0%)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테리아에 대한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섭식률과 박테리아 이차 생산력에 대한 제거율은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현존량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조사수역의 박테리아 생물량과 생산력은 일차적으로 엽록소-a와 용존 유기탄소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3월에는 식물플랑크톤의 대량증식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용존 유기탄소와 낮은 수온으로 인하여 박테리아 생물량과 생산력이 낮아 식물플랑크톤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계를 제외한 시기에는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의 섭식압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소나무 군집안의 주요 구성종의 미분포와 종간 상관 (Pattern and association within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in Kyunggi Province, Korea)

  • 오계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1호
    • /
    • pp.33-46
    • /
    • 1970
  • Pinus densiflora stands are common secondary forest communities on infertile soils in Korea. The stands are results of long severe past biotic pressure such as cutting, burning and grazing. These could be regarded as biotic climax in Korea. Because of their prevalent occurrence, relatively simple species and age composition, and their domestic economic importance, study of their distributional patterns may give some basic knowledge for better utilization of land resources in Korea. To detect distributional patterns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s ten pine stands, each of which was homogenious with respect to topography and physiognomy, were subjectively selected from pine stands in Kyunggi Province near Seoul in 1969 and were made object of this study. Four contiguous systematic samples of count for trees, shrubs and seedlings from belt transects were collected from homogeneous areas within ten natural pine stands. The belt transect was 64m or 128m in length, and 1m, 2m or 4m in width. Basic units within the transect ranged from 64 to 256. The data from the contiguous transects were analysed in terms of multiple split-plot experiment. Departure from randomness of stem distribution, i.e., pattern, was tested in terms of variance mean ratio. For the detection of association between specie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different block sizes. The values of ${\gamma}$ were tested by the usual t-test. Fine trees within one of the stands showed significant regular distribution through out the blocks. Within other eight stands pines were randomly distributed at basic unit with 4$\times$4m, 2$\times$2m, 2$\times$1m and 1$\times$1m. One significantly clumped distribution at basic unit 2$\times$2m, however, was observed from one of the pine stands. These randomly distributed groups were themselves significantly regular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blocks for four pine stands. For the other four pine stands, in addition to the random distribution at the basie unit(the primary random group), randomly distributed groups with 32m dimension(the secondary random groups) were also observed. Both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random groups were significantly regularly distributed at the rest of blocks. Pine seedlings were not distributed randomly thoughout the blocks. Within three of the ten stands they were contagiously distributed. Important shrub species underneath pines such as Querus serrata, Q. acutissima, Leapedeza intermedia,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ae, Juniperus utilis,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shnwed consistently similar distributional pattern with the pine at each stand. The shrub species pairs;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ae/Quercus serr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Lespedeza intermedia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from 1m to 4m dimensional block sizes but became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from 8m sized blocks on. On the other hand the shrub species pairs; Lespedeza intermedia/Robinia Pseudoacacia, and Lespedeza bicolor var, japonica/Lespedeza intermedia were also significnalty negatively associated from 1m to 8m sized blocks but became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from 16m sized blocks on. The associational pattern between Rhododendron mucronul tun var. poukhanenae and Lespedeza intermedia was not consistent throughout the stands. In some stands negative association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blocks except NS 32. From these observatons micro-edaphic variation within the pine stands seems not to be great enough to cause distributinal difference of pine trees within the ten pine stands. Among each species and pine seedings, however, the edaphic variation within the pine stands may be great enought to cause distributional variation.

  • PDF

남극 남쉐틀랜드군도 주변 해역의 영양염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 분포 (Distribution of Nutrients and Phytoplankton Biomass in the Area Around the South Shetland Islands, Antarctica)

  • 김동선;강성호;김동엽;이윤호;강영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77-95
    • /
    • 2001
  • 2000년 1월에 남극 남쉐틀랜드군도(South Shetland Islands) 주변해역에서 수심 200 m 까지 수온, 염분, 영양염, 엽록소, 일차생산력 등을 측정하였다. 표층수온은 남쉐틀랜드군도 북쪽 드레이크해협(Drake Passage)에서 높았고 남극반도 북동해역에서 낮았다. 반대로 염분은 드레이크해협에서 낮았고 남극반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남극반도 북동해역에서 최고 값을 보였다. 표층해수의 영양염 농도는 대체로 드레이크해협에서 낮은 값을 보였고 남쉐틀랜드군도 인접해역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엽록소 농도는 드레이크해협과 남극반도 인접해역에서 낮았고 킹조오지섬(King George Island) 북쪽해역에서 높았다. 연구해역은 T-S diagram의 특징적인 형태에 따라 4개 해역으로 구분된다; 드레이크해협, 브랜스필드해협 (Bransfield Strait), 혼합 해역(Mixed zone), 웨델해(Weddell Sea) 해역. 이들 4개 해역들은 각각 특징적인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은 드레이크해협과 웨델해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았고 브랜스필드해협과 혼합 해역에서 높았다. 웨델해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이 낮은 것은 낮은 수온과 수심 200 m 이상의 깊은 표층혼합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드레이크해협 해역에서는 높은 동물플랑크톤 포식압과 낮은 철농도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동해 울진 바다목장해역의 크기별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Spatio-temporal Fluctuation of Phytoplankton Size Fractionation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UMRA), East Sea of Korea)

  • 윤양호
    • 환경생물
    • /
    • 제34권3호
    • /
    • pp.151-160
    • /
    • 2016
  • 동해 울진 바다목장해역에서 크기별 식물플랑크톤 구성비 및 물질순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는 2008년 4월에서 11월까지 4회 실시하였다. 바다목장해역 표층의 피코플랑크톤은 $0.03{\sim}0.87{\mu}g\;L^{-1}$의 변동 폭으로 연평균 $0.26{\mu}g\;L^{-1}$로 12.9% 구성비를 나타내었고, 나노플랑크톤은 $0.11{\sim}5.60{\mu}g\;L^{-1}$의 범위로 연평균 $1.32{\mu}g\;L^{-1}$로 65.0%, 네트플랑크톤은 nd~$4.68{\mu}g\;L^{-1}$의 범위로 연평균 $0.45{\mu}g\;L^{-1}$로 22.1%를 차지하였다. 10 m 수심도 다소 측정값의 차이는 있지만, 변동양상은 표층과 유사하였다. 시간적으로는 여름 네트플랑크톤 구성비가 30%까지 상승하였지만, 연간 피코 및 나노플랑크톤 구성비가 70% 이상으로 높은 특징을 보였다. 즉 동해 바다목장해역의 물질순환은 계절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담수유입이 원활한 연안해역의 먹이사슬 구조 (bottom-up)보다는 빈영양 환경특성으로 생태계순환에 의한 물질순환 (top-down)에 더욱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제주 바다목장 해역 크기별 엽록소 a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과 미소플랑크톤의 중요성 (Spatio-temporal Variability and Size Fractionation of Chlorophyll a in the Jeju Marine Ranching Area(JMR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ignification of Nanoplankton)

  • 윤양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88-6398
    • /
    • 2014
  • 제주 바다목장 해역의 크기별 식물플랑크톤 조성비 및 물질순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8년 4월에서 11월까지 4회 현장조사를 하였다. 제주 바다목장 해역의 표층에서 초미세플랑크톤은 $0.03{\sim}0.84{\mu}g/L$에서 평균 $0.30{\mu}g/L$로 17.3%, 미소플랑크톤은 $0.22{\sim}3.93{\mu}g/L$에서 평균 $1.35{\mu}g/L$로 78.0%, 소형플랑크톤은 $nd{\sim}0.24{\mu}g/L$에서 평균 $1.73{\mu}g/L$로 4.7%를 차지하였다. 10m 수층도 측정값에서 다소 차이는 있지만 경향은 표층과 매우 유사하여, 계절에 따라 엽록소 a의 측정값은 변화하지만, 미소플랑크톤 조성비는 연중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제주 바다목장 해역의 크기별 엽록소 a의 분포는 지리적으로 인접한 우리나라 연안해역이나, 쿠로시오나 쓰시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동중국해 및 일본연안보다도 계절풍 이후의 열대 해역 연안환경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주 바다목장 해역의 물질순환은 전통적인 먹이사슬보다는 저차영양단계는 미세먹이망으로 구성되어, 기초생산은 영양염류 공급보다 미소동물플랑크톤의 포식압 등의 top-down 동태에 의해 조절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기만에서 박테리아와 종속영양편모류의 계절변화에 미치는 환경요인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Seasonal Variation of Bacteria and Heterotrophic Nanoflagellate in Kyeonggi Bay, Korea)

  • 백승호;유카이;한명수
    • 환경생물
    • /
    • 제35권2호
    • /
    • pp.198-206
    • /
    • 2017
  • 수환경요인이 미소생물 그룹 박테리아와 종속영양편모류의 계절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2007년 6월에서 2008월 5월 사이에 경기만에서 그들의 동태 및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과 염분은 $1.9^{\circ}C{\sim}29.0^{\circ}C$와 31~35.1 psu로 변화하였으며, 하계에 현저한 수온 증가와 함께 표층 염분이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영양염 중 암모니아의 농도는 $0.01{\sim}3.22{\mu}M$로, 질산염+아질산염의 농도는 $2.03{\sim}15.34{\mu}M$로, 인산염의 농도는 $0.06{\sim}1.82{\mu}M$로, 규산염은 $0.03{\sim}18.3{\mu}M$로 각각 변동하였다. Chl. a농도는 $0.86{\mu}g\;L^{-1}{\sim}37.70{\mu}g\;L^{-1}$로 관찰되었으며, 각 수심별 Chl. a농도의 연평균은 표층에서 $10.35{\pm}8.54{\mu}g\;L^{-1}$로 가장 높았고, 수심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박테리아와 종속영양미소편모류는 $0.29{\times}10^6cells\;mL^{-1}{\sim}7.62{\times}10^6cells\;mL^{-1}$$1.00{\times}10cells\;mL^{-1}{\sim}1.26{\times}10^3cells\;mL^{-1}$로 변동하였고, 계절적으로는 하계 박테리아의 생물량이 현저하게 높게 관찰되었을 때 종속영양편모류 또한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시화호에서 단 주기로 개방되는 배수갑문의 영향으로 경기만 내만일대에 일정의 높은 유 무기물이 공급되면, 이들 탄소원으로 박테리아의 현저한 증식이 하계를 중심으로 일어나며, 이는 미소생물고리로 연결되는 종속영양편모류의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