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zer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출수형태와 BMR이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ding and BMR typ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Quality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 김종덕;고기환;권찬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3-300
    • /
    • 2012
  • 본 시험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품종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9년 경북 성주와 충남 천안에서 수행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8처리 3반복의 난괴법 배치로 하였다. 시험구의 처리는 품종으로 하였으며, 공시한 품종은 'Sordan79', 'SX17', 'Honey chew', 'Honey grazer', 'G7', 'Jumbo', 'Green star' 및 'GT56'를 공시하였다. 2지역 모두에서 출수형 4품종은 출수를 하였다. 그 외 생육특성에서는 품종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출수형과 BMR 품종이 다른 품종보다 당도가 높았다. 건물률 및 초장은 출수형이 비출수형 보다 높았다. 생초수량, 건물수량 및 TDN 수량도 출수형이 비출수형 보다 높았고 BMR 품종은 다른 품종보다 적었다. 조단백질과 조회분 함량은 출수형 품종이 비출수형 품종보다 많았으나 비섬유성탄수화물(NFC)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BMR 품종의 ADF 및 NFC 함량은 다른 폼종 보다 작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출수형이 비출수형에 비하여 사초 생산성이 우수하고, 품질은 비출수형과 BMR 품종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BMR 품종은 당도가 높고 ADF 함량이 낮아 사초 품질 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주 남부해역 조하대 하계 해조군집 및 갯녹음 특성 (Characteristics of Summer Marine Algal Community and Barren Ground in the Southern Coast of Jeju, Korea)

  • 정승욱;전병희;최창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2-219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주 해역의 여름철 해조 군집 특성과 갯녹음 현황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는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스쿠버 다이빙(SCUBA Diving)을 이용하여 정량 조사 및 정성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녹조류 11종(9.1 %), 갈조류 24종(19.8 %), 홍조류 86종(71.1 %) 등 총 121종의 해조류가 확인되었다. 지역별로는 형제섬이 60종으로 출현종수가 가장 많았으며, 하례가 18종으로 가장 적었다. 연구 지역의 평균 생물량은 $1,503.0g{\cdot}m^{-2}$이며, 주변 도서의 평균 생물량($3,268.7g{\cdot}m^{-2}$)이 본섬의 평균 생물량($914.7g{\cdot}m^{-2}$)보다 높았다. 우점종은 주변 도서에서 Sargassum macrocarpum, 본섬에서 Ecklonia cava로 나타나 생물량뿐만 아니라 종 조성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해조 군집 특성(종 조성, 생물량, 대형 갈조류의 생물량 비율), 무절산호말류의 피복도, 조식동물의 밀도 등을 토대로 연구 지역의 여름철 해조 군집 상태를 평가한 결과, 형제섬과 마라도 두 지역은 우수한 해조 군집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보전 및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며, 다른 6개 지역은 각 지역별로 해조 군집의 조성 내지 복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갯녹음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현재 해조 군집의 현황 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해양 생태계의 실태를 파악하는 일도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Seasonal variation in kelp phlorotannins in relation to grazer abundanc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n the Alaskan sublittoral zone

  • Dubois, Angela;Iken, Katrin
    • ALGAE
    • /
    • 제27권1호
    • /
    • pp.9-19
    • /
    • 2012
  • Phlorotannins are common metabolites produced in kelps that can have deterrent functions against grazers. The factors dictating seasonal patterns of phlorotannin content in northeastern Pacific kelps are not well understood. This study assessed density and grazing of the gastropod Lacuna vincta on the annual canopy-forming kelp Nereocystis luetkeana and the perennial understory species Agarum clathratum, Saccharina latissima and S. groenlandica in Kachemak Bay, Alaska. In addition, we assessed seasonal patterns of environmental variables as possible drivers of phlorotannin concentrations. Phlorotannins occurred in all species, with overall lowest levels in N. luetkeana, and with different seasonal patterns among the four species. Lacuna vincta was most dense on N. luetkeana thalli in the summer and had highest grazing rates on this low-phlorotannin species. However, correlations between L. vincta density and phlorotannin content of each kelp species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N. luetkeana,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phlorotannin level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e suggest that kelp life history traits may be more important for phlorotannin patterns in these kelp species than grazers or environmental drivers.

Ingestion of the unicellular cyanobacterium Synechococcus by the mixotrophic red tide ciliate Mesodinium rubrum

  • Yoo, Yeong Du;Seong, Kyeong Ah;Myung, Geumog;Kim, Hyung Seop;Jeong, Hae Jin;Palenik, Brian;Yih, Wonho
    • ALGAE
    • /
    • 제30권4호
    • /
    • pp.281-290
    • /
    • 2015
  • We explored phagotrophy of the phototrophic ciliate Mesodinium rubrum on the cyanobacterium Synechococcus. The ingestion and clearance rates of M. rubrum on Synechococcus as a function of prey concentration were measured. In addition, we calculated grazing coefficients by combining the field data on abundance of M. rubrum and co-occurring Synechococcus spp. with laboratory data on ingestion rates. The ingestion rate of M. rubrum on Synechococcus sp.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prey concentrations up to approximately 1.9 × 106 cells mL-1, to exhibit sigmoidal saturation at higher concentrations. The maximum ingestion and clearance rates of M. rubrum on Synechococcus were 2.1 cells predator-1 h-1 and 4.2 nL predator-1 h-1, respectively. The calculated grazing coefficients attributable to M. rubrum on cooccurring Synechococcus spp. reached 0.04 day-1. M. rubrum could thus sometimes be an effective protistan grazer of Synechococcus in marine planktonic food webs. M. rubrum might also be able to form recurrent and massive blooms in diverse marine environments supported by the unique and complex mixotrophic arrays including phagotrphy on hetrotrophic bacteria and Synechococcus as well as digestion, kleptoplastidy and karyoklepty after the ingestion of cryptophyte prey.

동물플랑크톤 Daphnia magna와 Moina macrocopa에서 유도된 분비물질에 의한 Scenedesmus dimorphus의 형태변화 (Growth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Scenedesmus dimorphus Induced by Substances Released from Grazers, Daphnia magna and Moina macrocopa)

  • 장민호;주기재;;하경
    • 생태와환경
    • /
    • 제34권4호통권96호
    • /
    • pp.285-291
    • /
    • 2001
  • 상위포식자에 의해 유도되는 Scenedesmus dimorphus (T$\ddot{u}$rpin) K$\ddot{u}$tzing의 군체형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물플랑크톤 Daphnia magna (300 ind./L)와 Moina macrocopa (500 ind./L) 배양한후, $0.1\;{\mu}m$ (millipore)로 여과하여 얻어낸 용액 (ZFW)을 S. dimorphus가 1.8 ($10^5\;cells/ml$까지 자란 처리군에 첨가하여, ZFW를 넣지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두 동물플랑크톤 처리군에서 S. dimorphus의 군체형성의 유도가 뚜렷이 관찰되었다. 이 현상은 M. macrocopa 보다는 D. magna처리군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첨가해준 ZFW의 양이 증가할수록 particle당 세포수도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ZFW처리군에서 1군체당 세포수(cells/colony)와 평균체적 (mean particle biovolume)은 $24{\sim}72$시간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S. dimorphus의 군체형성현상은 동물플랑크톤 D. magna와 M. macrocopa의 분비물에서 유도되는 화학물질의 영향으로 보이며, 이와 같은 형태변화현상은 동물플랑크톤의 포식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청예용 호밀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ing Daates on Forage Yield and Qality of Winter Rye)

  • 김동암;권찬호;한건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3-177
    • /
    • 1992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harvesting dates on the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Kool grazer" winter rye(Seca1e cereale L.) as a soilage crop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of College of Agrlc. and Life Sciences, SNU, Suweon. Four-day harvasting interval was allocated to measure the growth, yield and quality of rye from April 14 to May 18, 1987. Rye was rapidly grown as 3 cm/day and the growth was linearly recorded from the elongation to flowering stage. The dry matter and in vitro digestible dry matter(1VDDM) yields per ha were linearly increased up to 0.26 and 0.19 tonlday from April 14 to May 4 and April 14 to 29, respectively, but major breaks in yield increases occurred at the 50% heading stage, than yields increased. The highest crude protein yield was observed at the first heading stage of April 29, then decreased.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crude protein(CP) contents of rye at the heading stage of May 5 were 35 and 17%, respectively and the nutritive value of rye in terms of ADF and CP contents was evaluated as the I st grade hay, but neutral detergent fiber(NDF) content of rye was 47 % at the boot stage ofApril 22 and evaluated as the 2nd grade hay in terms of NDF cont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irst heading stage or the end of April would be the most suitable harvesting time for early maturing winter rye as a soilage crop in terms of yield and quality in the middle northwestern coast rcgion of Korea. of Korea.

  • PDF

가축분 시용조건에서 4종 수수 X 수단그라 교잡종의 질산태질소 함량과 당도 및 채식률 비교 연구 (Studies on the Nitrate Concentration, Sugar Content and Intake of Four Sorghum X Sudangrass Hybrids Grown under Application of Animal Manure)

  • 서성;김종근;정의수;신동은;임영철;윤세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1-136
    • /
    • 2002
  • 본 시험은 가축분 시용 조건에서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중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는 장려품종 4종(P 988, Jumbo, TE-Hay-grazer, NC+ 855)을 공시하여 생육시기별, 잎과 줄기의 부위별 질산태 질소 함량과 당도 및 가축 기호도 등을 구명하였다. 가축분은 톱밥과 50:50으로 섞은 발효분으로 ha당 우분 40톤, 돈분 및 계분은 30톤을 파종 보름전 시용하였으며, 파종은 ha당 30kg의 종자를 휴폭 50cm로 1995년 4월 21일에 실시하였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질산태 질소 함량은 초장 50~50cm일 때 365mg/kg, 초장 100~120cm일 때 501mg, 초장 200~220cm일 때 502mg이었으며, 품종별로는 Jumbo에서 평균 317mg으로 낮았고 P 988(526mg)과 NC+ 855 (519mg)에서 높았다(P<0.05). 또 품종에 관계없이 줄기(376mg)가 잎(135mg)에 비해 질산태 질소함량이 크게 높았으며(P<0.05), 같은 잎과 줄기에서는 아래부위로 갈수록 질산태 질소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품종별 당도는 NC+ 855가 평균 $3.9^{\circ}$ 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P 988($3.4^{\circ}$), TE-Hay grazer ($3.2^{\circ}$), Jumbo($2.9^{\circ}$) 순이었다. 채식률은 P 988과 NC+ 855에서 Jumbo와 TE-Haygrazer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장려품종 4종간 유의적인 채식률 차이는 없었다.

초지류형별(草地類型別) 방목축(放牧畜)에 의한 목초이용(牧草利用)과 방목(放牧) 및 사회습성(社會習性) 비교(比較) (A Comparison of Herbage Use, Grazing and Social Behaviour by Livestock Grazing under Grassland Types)

  • 이인덕;명전;송우석;임동찬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219-226
    • /
    • 1986
  • 평지(平地), 경사(傾斜) 및 임간초지(林間草地)의 유형(類型)이 가축(家畜)에 의한 목초이용(牧草利用)과 방목(放牧) 및 사회습성(社會習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비교검토(比較檢討)하고자 4년차(年次) 기존(旣存) 혼파초지(混播草地)에서 한우육성빈우(韓牛育成牝牛) 30두(頭)와 재래산양(在來山羊) 5두(頭)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재래산양(在來山羊)에 의한 상대섭취빈도(相對攝取頻度)는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5.2%,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5.0%, 임간초지(林間草地)가 29.8%이었고, 두당(頭當) 1일(日) 건물섭취량(乾物攝取量)은 평지초지(平地草地)가 462g, 경사초지(傾斜草地)가 459g,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91g이었으며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평지초지(平地草地)가 63.7% 경사초지(傾斜草地) 63.0% 임간초지(林間草地)가 62.1%이었다. 2. 한우(韓牛)에 의한 채식시간(採食時間)은 초지류형(草地類型)에 따라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반추시간(反芻時間)은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길었고,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짧았다. 휴식시간(休息時間)은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길었고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짧았다. 보행시간(步行時間)은 평지초지(平地草地)에서 길었고, 방황시간(彷徨時間)은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길었다. 반추회수(反芻回數), 식괴당저작회수(食塊當咀嚼回數) 및 배분회수(排糞回數)는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적었고, 배뇨회수(排尿回數)는 임간초지(林間草地)에서 많았다. 음수인수(飮水因數) 및 음수량(飮水量)은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많았고 보행거리(步行距離)는 경사초지(傾斜草地)에서 길었다. 3. 한우(韓牛)에 의한 사회적(社會的) 거리(距離)는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70m,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56m,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41m였고, 두당점유면적(頭當占有面積)은 임간초지(林間草地)가 $14.6m^2$, 평지초기(平地草地)가 $11.9m^2$, 경사초지(傾斜草地)가 $11.0m^2$이었다. 우군형성(牛群形成)은 경사초지(傾斜草地)가 3.7두(頭), 평지초지(平地草地)가 3.6두(頭), 임간초지(林間草地)가 3.4두(頭)이었다. 방목이동순위(放牧移動順位)는 복합적(複合的)인 pear-shaped grazing formation에 가까웠으나 초지유형(草地類型)에 따른 상하(上下) 방목축간(放牧畜間)의 우열관계(優劣管係)는 분명(分明)치 않았다.

  • PDF

동해안 조식성 무척추동물과 해조류 간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Invertebrate Grazers and Seaweeds in the East Coast of Korea)

  • 유재원;김효진;이현정;이창근;김창수;홍재상;홍정표;김동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125-132
    • /
    • 2007
  • 조식동물-해조류 상호작용의 크기 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12종의 조식동물에 대하여 개체 당 일평균 섭식률 (PCGR, per capita grazing rate, g seaweeds/individual/day)을 구하고, 다른 종들의 섭식률을 추정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만들었다. 조식동물의 생체량과 사제곱근 변환 PCGR은 power curve($y=0.2310x^{0.3290}$)에 적합되었고 모형의 r값은 0.8864였다. 이로부터 조식동물의 PCGR 변동은 생체량과 관계가 있으며, 섭식 효율성은 관찰된 생체량 범위내에서 균일하지 않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각 종별 생체량 효과가 보정된 PCGR을 추정하였고, 작은 몸체를 갖는 종일수록 보다 효율적인 섭식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서식밀도를 감안한 개체군 별 상호작용(grazing impact, $mg/m^2$)을 계산한 결과, 해조장에 가장 큰 영향을 갖는 개체군은 군소(Aplysia kurodai, 약 $2,513mg/m^2$)인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 약 1,500 mg/)와 새치성게(S. intermedius, $733mg/m^2$)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각류 가운데 단위 면적당 밀도가 4,000 개체 이상인 멜리타옆새우류, Elasmopus sp.와 2,000 개체 이상인 가시꼬리육질꼬리옆새우붙이, Jassa falcata의 섭식량은 각각 3.435와 $1.697mg/m^2/day$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조식동물 군집의 종 조성과 서식 밀도가 동일할 때 상호작용의 총합은 $5,045mg/m^2/day$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과 모형 연구로부터 성게류와 군소 외에도 적잖은 상호작용이 높은 밀도를 갖는 많은 수의 종들로부터 해조류에 가해지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성게류의 경우 3 개체/$m^2$의 평균 서식밀도에서 발생하는 섭식량은 국내 천해 양식업의 평균 해조류 생산량(약 5 ton/ha)을 초과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미소 갑각류 역시 낮은 포식압 조건에서 서식밀도가 증가하면 적잖은 충격(해조류 생산량의 약 16%)을 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해조장에 서식하는 조식동물의 밀도가 어류에 의해 강도 높게 조절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어류와 조식동물 간 상호작용에 대한 인간의 간섭(어류의 남획 등)은 해조장에 커다란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출수형과 불출수형 품종간 예취횟수가 수량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Frequency on Yield and Nutritive Value Between Heading and Headless Varieties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 이종경;김종근;신동은;윤세형;김원호;서성;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7-242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tting frequency on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between heading and headless varieties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in 1998. Treatments were var. TE hay grazer(heading type) and Jumbo(headless type) as main plot, and 1, 2, and 3 cutting times per a year as sub plot. Although plant height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headless type was very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heading type, and both of variety decreased with 1, 2, and 3 cutting times in order. Also, dry matter yield of sorghum~sudangrass hybrid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eading and headless type. Dry matter yield of first cutting plot in heading type and in headless type was the higher than those of second and third cutting plot. Acid detergent fib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of headless typ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heading type. Acid detergent fiber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was highest at first cutting plot in both varieties. Neutral detergent fiber of second cutting plot in heading type and first cutting plot in headless type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headless type was very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heading type.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second cutting plot was the highest in both varieties. In vitro digestible dry matter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lthough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cultivation of headless type and first cutting plot per a year were very good for nutritive value and DM yield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as summer forage crops in Korea. (Key words : Heading, Headless type, Cutting frequency, Sorghum X Sudangrass Hybri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