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h topology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5초

VARIATION OF ORBIT-COINCIDENCE SETS

  • Srivastava, Anjali
    • 충청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
    • /
    • 2002
  • David Gavid [3] proved that in many familiar cases the upper semi-finite topology on the set of closed subsets of a space is the largest topology making the coincidence function continuous, when the collection of functions is given the graph topology. Considering G-spaces and taking the coincidence set to consist of points where orbits coincidence, we obtain G-version of many of his results.

  • PDF

건물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그래프 토폴로지 설계 및 패턴매칭 구현 (Graph Topology Design for Generating Building Database and Implementation of Pattern Matching)

  • 최효석;염재홍;이동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11-419
    • /
    • 2013
  • 3차원 건물을 모델링하기 위해 항공영상 또는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물 외곽선 추출이나 지붕을 구성하는 패치를 추출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3차원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알고리즘 개발과 같은 효과적인 정보의 획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추후 추출된 정보의 활용이나 유지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3차원 정보를 얻었다는 가정 하에 건물의 형태에 따른 검색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벽면, 분할 지붕면, 바닥과 같은 건물의 구성체를 노드(node)로 표현하고 이들의 인접성 관계를 그래프 구조로 객체의 형태를 정의하는 토폴로지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 의해 생성된 토폴로지를 건물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토폴로지 정보를 이용한 패턴매칭을 수행하여 건물을 검색한 결과의 분석을 통해 제안된 객체 토폴로지 설계방법의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그래프 구조의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건물을 검색할 수 있었으며, 검색 조건을 부여하여 건물의 유사 정도를 조절하며 검색할 수 있었다. 또한 축척 및 회전에 불변한 객체의 형태묘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선로그래프를 이용한 철도망 위상 표현방법 (Representation Method of Track Topologies using Railway Graph)

  • 조동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4-119
    • /
    • 2002
  • 철도선로망 제어시스템에서 신속한 철도선로의 배정은 실시간 선로배정의 중요한 요소인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먼저 철도 선로망의 위상을 정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그래프는 망 구조를 표현하는데 적절한 자료구조이지만 철도 선로망을 표현하는 데에는 부적절하다. 이 논문에서는 철도 선로망의 위상구조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구조인 선로그래프(railway graph) 개념을 정의한다. 그리고 정의된 선로그래프에서의 경로탐색 알고리즘과 선로그래프를 이용한 하향식 철도 선로망 모델링 방법을 설명한다.

  • PDF

토공수량계산 자동화를 위한 스케치 도면 요소의 그래프 위상 자동 구성 및 형태 패턴 인식에 대한 연구 (The Recoginition of Pattern of Shape and Composing the Graph Topology of Sketch Drawing Element for the Automation of Earthwork Quantity Calculation)

  • 강태욱;김봉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D호
    • /
    • pp.171-1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토목 설계 엔지니어링에서 공사비 산출에 50%이상을 차지하는 토공 공종 분류 및 수량산출을 위한 스케치 도면 요소의 위상 자동 추출 및 토공 형태 패턴 자동인식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횡단면도에서 자동으로 폐영역을 인식해 vertex(정점), edge(모서리), face(면)로 위상요소를 추출하고, 각 위상요소간의 관계를 자동 설정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이 위상구조를 이용해 형태 패턴을 수학적으로 정의하고 형태를 자동 인식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로 기존 토공엔진에서 처리하기 어려웠던 토공 형태도 토공 형태 패턴 모델을 확장함으로써 쉽게 처리할 수 있었으며, 횡단면도에서 수량을 산출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 패턴 인식 모형을 얻을 수 있었다. 개발된 모형을 이용한다면, 토목에서 다양한 분야의 토공 분류 및 수량 산출 업무를 자동화해 비용을 줄이고 수량 산출의 정확도는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An Efficient Topology/Parameter Control in Evolutionary Design for Multi-domain Engineering Systems

  • Seo, Ki-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5권2호
    • /
    • pp.108-113
    • /
    • 2005
  • This paper suggests a control method for an efficient topology/parameter evolution in a bond graph-based GP design framework that automatically synthesizes designs for multi-domain, lumped parameter dynamic systems. We adopt a hierarchical breeding control mechanism with fitness-level-dependent differences to obtain better balancing of topology/parameter search - biased toward topological changes at low fitness levels, and toward parameter changes at high fitness levels. As a testbed for this approach in bond graph synthesis, an eigenvalue assignment problem, which is to find bond graph models exhibiting minimal distance errors from target sets of eigenvalues, was tested and showed improved performance for various sets of eigenvalues.

링크 유효시간에 따른 OLSR 토폴로지 그래프 생성 방법 (Topology Graph Generation Based on Link Lifetime in OLSR)

  • 김범수;노봉수;김기일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19-226
    • /
    • 2019
  • One of the most widely studied protocols for tactical ad-hoc networks is Optimized Link State Routing Protocol (OLSR). As for OLSR research, most research work focus on reducing control traffic overhead and choosing relay point. In addition, because OLSR is mostly dependent on link detection and propagation, dynamic Hello timer become research challenges. However, different timer interval causes imbalance of link validity time by affecting link lifetim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weighted topology graph model for constructing a robust network topology based on the link validity time. In order to calculate the link validity time, we use control message timer, which is set for each nod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chanism is able to achieve high end-to-end reliability and low end-to-end delay in small networks.

Double Vertex 그래프에 의한 궤도회로 토플로지의 생성 (Track Circuit Topology Design by Double Vertex Graph Algorithm)

  • 황종규;이종우;정의진;김태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B
    • /
    • pp.389-391
    • /
    • 2000
  • A representation technique of a given track topology is required by many software applications in railway technology such as signalling system simulator. To achieve these, the concept of double vertex graph architecture is proposed. These are composed of pairs of vertices and node between the single vertices. Double vertex graph architecture can be understood as a extension of classical graphs. In developed railway signalling simulation software, it is shown that track topology can be represented by proposed algorithm in a efficient way. Especially it makes sure that these are suitable technique for representing and implementing of switch, routes which can be introduced some mistake in classical graph algorithm.

  • PDF

ON THE SIMPLICIAL COMPLEX STEMMED FROM A DIGITAL GRAPH

  • HAN, SANG-EON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27권1호
    • /
    • pp.115-129
    • /
    • 2005
  • In this paper, we give a digital graph-theoretical approach of the study of digital images with relation to a simplicial complex. Thus, a digital graph $G_k$ with some k-adjacency in ${\mathbb{Z}}^n$ can be recognized by the simplicial complex spanned by $G_k$. Moreover, we demonstrate that a graphically $(k_0,\;k_1)$-continuous map $f:G_{k_0}{\subset}{\mathbb{Z}}^{n_0}{\rightarrow}G_{k_1}{\subset}{\mathbb{Z}}^{n_1}$ can be converted into the simplicial map $S(f):S(G_{k_0}){\rightarrow}S(G_{k_1})$ with relation to combinatorial topology. Finally, if $G_{k_0}$ is not $(k_0,\;3^{n_0}-1)$-homotopy equivalent to $SC^{n_0,4}_{3^{n_0}-1}$, a graphically $(k_0,\;k_1)$-continuous map (respectively a graphically $(k_0,\;k_1)$-isomorphisim) $f:G_{k_0}{\subset}{\mathbb{Z}}^{n_0}{\rightarrow}G_{k_1}{\subset}{\mathbb{Z}^{n_1}$ induces the group homomorphism (respectively the group isomorphisim) $S(f)_*:{\pi}_1(S(G_{k_0}),\;v_0){\rightarrow}{\pi}_1(S(G_{k_1}),\;f(v_0))$ in algebraic topology.

  • PDF

Hierarchical Topology/parameter Evolution in Engineering Design

  • 서기성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5권 제1호
    • /
    • pp.185-188
    • /
    • 2005
  • This paper suggests a control method for efficient topology/parameter evolution in a bond-graph-based GP design framework that automatically synthesizes designs for multi-domain, lumped parameter dynamic systems, We adopt a hierarchical breeding control mechanism with fitness-level-dependent differences to obtain better balancing of topology/parameter search - biased toward topological changes at low fitness levels, and toward parameter changes at high fitness levels. As a testbed for this approach, an eigenvalue assignment problem, which is to find bond graph models exhibiting minimal distance errors from target sets of eigenvalues, was tested and showed improved performance for various sets of eigenvalues.

  • PDF

지식 기반 접근법과 Loop 검증을 이용한 부호운향그래프 자동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utomatic Synthesis of Signed Directed Graph Using Knowledge-based Approach and Loop Verification)

  • 이성근;안대명;황규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3-58
    • /
    • 1998
  • 화학공정 변수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지식기반 접근법을 이용하여 부호유향그래프(signed directed graph, SDG)를 자동합성하였다. SDG의 자동합성은 지식베이스를 이용한 추론과정 및 Loop 검증의 두 단계를 거쳐 수행된다. 먼저, 공정내 장치를 중심으로 장치간의 결합관계를 Topology로 표현하고, Topology 정보를 이용한 공정 변수관계 표현 및 지식베이스의 공정경향 데이타를 문자 패턴 매칭하여 Primary-SDG를 자동으로 합성한다. 생성된 Primary-SDG를 Loop 검증기의 추론을 통하여 검증, 수정하여 SDG를 자동합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