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vinegar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7초

포도 식초 첨가 건강음료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rape Vinegar Added Drink Grape Vinegar)

  • 최남순;박홍주;전혜경;김미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37
    • /
    • 2002
  • To develop the processing methods of grape and increase the use of poor fruits, we researched the health drink made with them after making grape juice and vinegar. The grape heated at $80^{\circ}C$ during 30min was followed by filtration. Grape vinegar was prepared by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of grape. Optimum initial alcohol concentration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was 6-8%. Acetic acid fermentation of grape vinegar manufactured in onggi took 9 days and was faster than any other type of utensil.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grape vinegar fermented in the various ratio of 'Campbell Early' and 'Kyoho' grape, the redness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 and the score of sensory evaluation were higher in vinegar made with 100% 'Campbell Early'. The drink manufactured by adding grape vinegar was developed and adding 10% of grape vinegar to volume of grape juice and water mixture(1:1) was best in sensory evaluation. In this mixture, sugar content was $14^{\circ}$Bx.

  • PDF

2단계 발효에 의한 포도식초와 재래식 포도식초의 품질 비교 (The Quality Comparison of Grap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Traditional Grape Vinegar)

  • 정용진;이명희;서권일;김주남;이용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62-468
    • /
    • 1998
  • 편이었다. 미량성분으로는 K이 다량으로 존재하였고, 2단계 발효로 제조된 포도식초는 포도양파식초 보다K, Na, Cu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x Grape vinegar (A) and grape onion vinegar(B) added (3% of onion juice) were produced through two stages of fermentation(alcohol fermentation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to increase the grape's use. Grape wine which contained 5.6% alcohol was produced on the 3rd day of first stage. Then through the second stages, grape vinegar, of which total acidity was 5.37% was produced. The quality of (A) and ( B) which was produced through the two stages of fermentation wa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grape vinegar (C, D) in the market. The content of sugar in (D) was a little higher such as 5.4 $^{\circ}$Brix than others. That of (A) and (B) was 5.13, 4.98 $^{\circ}$Brix respectively. The content of remaining alcohol in (C) was high such as 0.23% comparatively. But there was no remaining alcohol in (A) and (B). The content of acetic acid was 4.3~5.3% as a major organic acid of vinegars. The content of tartaric acid was 340.0 in (A), 315.7 in (B), 322.6 in (C) and 391.7mg% in (D).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distinctly high such as 277.4mg% in (D) There were differences such as 9.2~15.5mg% in the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s among grape vinegars. (D) contained 15.5mg% of total free amino acid and (B) also highly such as 12.0mg%. Potassium was high in grape vinegars. The content of potassium, sodium and copper was higher in (A) than (B).

  • PDF

포도과즙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산도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acidity vinegar prepared with grape juice)

  • 우승미;여수환;권중호;김선화;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0-10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산도 식초 생산 기술을 대체하고자 포도과즙을 이용하여 적정산도 10% 이상의 식초 제조조건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초기 알코올 함량에 따른 고산도 초산발효에서는 초기 알코올 함량 6%에서 적정산도 12%의 고산도 식초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초기 알코올 함량이 높을수록 유도기가 길어져 초산수율이 감소하였다. pH는 구간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고, 당도는 1단계 초산발효(1st AAF)까지 초기 알코올 함량에 비례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2단계 초산발효(2nd AAF)기간 동안에는 초기 알코올 6% 첨가구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고산도 포도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tartaric, malic 및 cit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유가식 첨가량 및 초산 발효수율 차이로 인하여 초기 알코올 함량이 낮을수록 높게 검출되었다. 미량 알코올 중 ethyl alcohol을 제외한 성분은 극소량으로 검출되어 초기 알코올 함량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고, ethyl alcohol은 364~581 ppm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포도 알코올 발효액(초기 알코올 함량 6%)를 이용하여 일체의 영양원을 첨가하지 않고 총산도 12%의 고산도 식초 제조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초산수율 향상 및 유가식 첨가에 의한 발효기간 단축에 관한 보완 연구가 요구되었다.

발효시간에 따른 아로니아 식초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vinegar (Aronia melanocarpa) accroding to fermentation time)

  • 이난희;장혁순;최웅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91-99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의 활용성 확대와 기능성 연구의 일환으로 아로니아 와인으로 초산발효를 진행하여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아로니아 와인의 초기 알코올 함량을 달리하여 30℃에서 30일 동안 초산발효를 진행한 결과, 초기 알코올 함량을 6%로 조절하는 것이 4.1%의 초산을 생성하여 가장 적합하였다. 이후 6%로 초기 알코올 함량을 조정하여 초산발효를 진행한 결과, 총폴리페놀함량은 초산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인 현미식초보다는 높았으나 포도식초의 보다는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되었다. 플라보노이드와 탄닌 함량은 초산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으나, 대조구인 현미식초와 포도식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발효의 진행과 관계없이 모든 시험구에서 95.7%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로니아 식초를 제조할 경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식초의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도재배를 위한 친환경 유기농자재의 엽면시비 효과 (Foliar Fertilization Effect of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 for Grape Cultivation)

  • 문영훈;안병구;정성수;이진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60-763
    • /
    • 2012
  • 친환경 포도재배를 위하여 농가에서 용이하게 구입 및 제조가 가능한 유기농자재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 사용한 농자재의 pH는 4.6이하였고, 아미노산액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료성분을 함유하였다. 포도수확기 토양의 pH는 시험초기 (농자재 처리 전)와 비교할 때 감소하였고, EC와 유기물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유효인산은 대조구 (관행처리)를 제외하고 증가하였다. 치환성 K는 은행잎추출액 처리구와 대조구, 치환성 Ca는 무처리구와 아미노산용액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치환성 Mg는 모든 농자재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포도 잎의 질소 (N) 함량은 chitosan과 아미노산액 처리구, P는 chitosan, 목초액 및 아미노산액 처리구, K는 chitosan과 아미노산액 처리구, Ca은 chitosan 처리구, Mg 함량은 아미노산액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포도 수량은 목초액 처리구와 대조구에서 $1,581{\sim}1,583kg\;10^{-1}$로 가장 많았고, 당도는 무처리구를 제외하고 같은 수준을 보였다.

충치 유발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식초의 항균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of Vinegars on Streptococcus mutans Caused Dental Caries)

  • 김옥미;하대중;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65-568
    • /
    • 2003
  • 5종류의 식초(감식초, 포도식초, 사과식초, 고칼슘현미식초 및 현미식초)의 S. mutans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감식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도, 사과, 고칼슘 현미, 현미식초 순으로 나타났다. 감식초는 1.5%이상 첨가하였을 때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농도에서 균의 생육이 정지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균 내부구조의 손상정도를 관찰한 결과, 세포벽 및 세포막이 파괴되었다. 각각의 식초에 대한 총페놀 함량을 조사한 결과, 감식초가 237.49mg%로 가장 높았으며, 총페놀함량이 높을수록 항균력은 높게 나타났다.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and Phenolic Composition of Korean Commercial Vinegars

  • Jeong, Chang-Ho;Choi, Gwi-Nam;Kim, Ji-Hye;Kwak, Ji-Hyun;Kang, Su-Tae;Choi, Sung-Gil;Heo, Ho-J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258-1262
    • /
    • 2009
  •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Korean commercial vinegars (apple vinegar, AV; blueberry vinegar, BV; grape vinegar, GV; lemon vinegar, LV; Opuntia ficus vinegar, OFV; persimmon vinegar, PV; Prunus mume vinegar, PMV; rice vinegar, RV) were investigate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8 vinegars were within the range of 54.18-491.02${\mu}g/mL$. The vinegars were also capable of scavenging 1,1-dipeh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s in a manner dependent on concentration. The greatest reducing power was observed in PV relative to the other vinegars.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of PV, PMV, GV, and BV were 1.012, 0.969, 0.931, and 0.856 at a dose of 1 mL, respectively. Therefore, our study verified that the GV, PV, and PMV have powerful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are correlated with its high level of phenolics, particularly gallic acid, and epigallocatechin.

서울.경기지역 소비자의 포도음식 선호도 및 개발을 위한 요인조사 (Research on Factors for the Development and Preference of Grape Food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박미연;박경옥;황순란;송은주;박필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17-427
    • /
    • 2011
  • This research obtained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rape foods by investigating the preference for grape foods,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plan of grape foods and obtained knowledge required in order to develop grape foods. The study used 354 consum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istribution of sex on research subjects was as follows. Male was 52.0% (184 persons) and female was 48.0% (170 persons). Age distribution varied by twenties and less than twenties being 30.8%, thirties being 26.3%, forties being 24.6% and the fifties and over being 18.4%. According to the results, preference for grape foods of subjects was that rice wrapped in grape leaves ($2.14{\pm}0.7$) and sweet steamed rice($2.12{\pm}0.8$) were the highest among staple food; grape vinegar($2.38{\pm}0.7$) and grape taffy($2.25{\pm}0.7$) were the highest among spices; grape jelly ($2.53{\pm}0.6$) and grape pudding($2.45{\pm}0.7$) were the highest among snacks; grape juice ($2.70{\pm}0.5$) and grape yogurt($2.59{\pm}0.6$) were the highest among beverages. Subjects responded to the fruit group among food groups harmonized with grape foods(p<0.01). 50.7% of subjects responded to "have to be delicious" and 25.1% of subjects responded to "nutritional balance" as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grape foods. In the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plan of grape foods, Subjects chose with respected importance, personal preference($4.15{\pm}0.8$), price($4.05{\pm}0.8$) and promotional strategy($4.00{\pm}0.9$). In conclusion, the food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plan should use grapes to find out food materials suitable for grape mixture and nutritional balance. We will expect an increase popul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grape foods if we develop grape foods and promote strateg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preference of consumers and the price of produce.

키토산, 곡물아미노산, 목초액의 엽면살포가 포도(Campbell Early)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Grain Amino Acid and Wood Vinegar Foliar Spray on the Quality and Storability of Grapes(Campbell Early))

  • 주인옥;정기태;정성수;문영훈;류정;최정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9-123
    • /
    • 2007
  • 포도 생육 중 유기농자재의 엽면살포가 포도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농약 처리와 비교하였다 포도의 과방중과 열과 발생률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키토산, 목초액, 곡물아미노산 처리에 의하여 과방중 300g이상과의 비율이 농약처리나 무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유기농자재를 처리한 포도의 당도와 환원당은 각각 $15.0\;^{\circ}Brix$, 13.0-14.5%로 농약처리 $14.5\;^{\circ}Brix$, 13.1%에 비하여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총산함량은 키토산(0.81%)과, 목초액(0.78%) 처리가 농약(0.72%)처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성분은 칼륨 함량이 가장 높았고 유기농자재 처리(190.0-197.2mg%)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며 중금속은 철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키토산 처리에 의하여 철과 아연 함량이 증가하였다. 유기농자재 처리 포도를 8주간 MA 저장했을 때 수분감모율은 0.28-0.35%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저장 전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총산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저장 4-6주까지 감소하다 이후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탈립률은 곡물아미노산과 농약 처리가 각각 10.9%, 11.8%로 가장 낮았으며, 부패율은 키토산과 곡물아미노산 처리가 각각2.2 3.7%로 농약 처리 4.8%에 비하여 낮았고, 상품성은 농약 처리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포도의 유기농재배에 있어서 병해충 방제를 목적으로 키토산, 곡물아미노산, 목초액을 엽면살포 했을 때 과실의 성분 등 품질은 농약 처리와 비교했을 때 차이가 없었으나 포도의 과방중에 의한 등급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저장했을 때 저장성은농약 처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곡물아미노산이 농약처리와 가장 비슷한 수준의 저장성을 보였다.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교육방법에만 머무르지 않고 교육방법을 다양화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가정과교육의 영역은 더욱 넓어질 것이다.고, glutathione 함량은 증가시켰으며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저하시켰다. 따라서 모과는 알코올 투여로 손상된 간조직의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32). 이상의 실험결과 모과에탄올 추출물은 in vivo와 in vitro 연구 모두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모과가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찌는 법${\lrcorner}$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2) 견육요리의 전처리에 있어서 씻는 과정은 내장만 씻고 고기는 씻지 않는 것(52.6%)이 전부를 씻는 것(26.3%)보다 많았고, 내장을 많이(42.1%) 이용하였으며 익히는 과정에서는 거의 쪄낸 후(84.2%) 나름대로의 요리를 만들었고 삶어서 이용한 것은(9.0%) 거의 없었다. 3) 전체 견육요리에 이용된 양념은 22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유장(42.1%), 참깨가루(39.4%), 후추가루(36.8%), 식초(36.8%), 간장(28.9%), 고춧가루(26.3%), 참기름(23.6%), 만초가루(23.6%), 천초가루(23.6%) 등이고, 부재료는 5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파(파의 흰부분과 합함 34.2%)와 미나리(21.0%)이다.,\;CaCl_2$를 농도별(0.02-0.1M)로 첨가하여 pH7, $100^{\circ}C$에서 반응시켜 갈변 억제효과를 비교한 결과 0.1M을 첨가하였을 때 $Na_2SO_3$$NaHSO_3$는 76.8%, $CaCl_2$는 96.4%의 억제호과를 나타내었다.c artery variation occurred, 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