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leaf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Japanese indigenous grape cultivar 'Koshu' (Vitis vinifera) leaf and berry skin during grape development

  • Kobayashi, Hironori;Fujita, Keiko;Suzuki, Shunji;Takayanagi, Tsutomu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3호
    • /
    • pp.225-241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transcriptional profiles of Japanese indigenous grape cultivar 'Koshu' (Vitis vinifera) leaf and berry skin during ripening. In leaf, 64 genes were abundantly transcribed at the end of $v{\acute{e}}raison$ (14 weeks post-flowering), whereas the expression of 61 genes was upregulated at the end of ripening (20 weeks post-flowering). In berry skin, 67 genes were abundantly transcribed at the end of $v{\acute{e}}raison$, whereas the expression of 86 genes was upregulated at the end of ripening. Gene expression associated with biological processes was activated in both tissues at the end of ripening. The expression of genes associated with photosynthesis, sugar synthesis, anthocyanin synthesis, cinnamic acid synthesis, and amino acid metabolism was observed in leaf and berry skin during ripening, together with the accumulation of sugars, anthocyanins, cinnamic acids, and amino acids. Transcripts of AUX/IAA family proteins that repress the activities of auxin-induced proteins were expressed in berry skin at the end of $v{\acute{e}}raison$. Transcripts of genes related to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that degrades AUX/IAA family proteins were abundantly expressed in berry skin at the end of ripening, suggesting that the expansion of skin cells at $v{\acute{e}}raison$ is suppressed by AUX/IAA family proteins, and that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induces the expansion of skin cells during ripening by degrading AUX/IAA family proteins. These transcriptional profiles, which provide new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Koshu' grapevine during ripening, may expl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shu' grap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European grapes used for winemaking, and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Koshu' grape quality.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잎 첨가 쌀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Stevia rebaudiana Leaf)

  • 김다솔;신지훈;주나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1호
    • /
    • pp.14-2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recipe of rice cookies with two different amounts of Stevia rebaudiana leaf and grape seed oil,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In addition, mixing conditions of rice cookies were optimized by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RSM was used to obtain 10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two replicates of Stevia rebaudiana leaf and Grape seed oil), and the formulation of Stevia rebaudiana leaf added rice cookies was optimized using rheology. The results of mechan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hardness, spread factor, loss rate, leavening rate, sweetness, moisture, pH, and density (P<0.001),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color, flavor, taste, texture, appearance, and overall quality (P<0.05). As a results, optimal sensory ratio was found to be 1.98 g of Stevia rebaudiana leaf and 37.94 g of Grape seed oil.

녹차, 메밀, 포도잎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급여 흰쥐의 지질대사, TBARS 및 혈액응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Buckwheat and Grape Leaves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thrombotic Activity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 김영언;오세욱;권은경;한대석;김인호;이창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79-98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Sprague Dawley 종 수컷 흰쥐에게 콜레스테롤이 1% 함유된 사료를 급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키면서 녹차추출물, 메밀추출물, 포도잎추출물 추출물을 500 mg/kg B.W.의 농도로 4주간 매일 같은 시각에 경구투여하여 흰쥐의 혈액과 간장 내의 지질조성과 혈액응고기전 및 체내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군에서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실험식이가 정상적인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녹차추출물투여군은 고콜레스테롤 급여 대조군에 비해서 흰쥐의 꼬리에서의 출혈시간을 증가시켜서 항혈전효과가 있었다. 고콜레스테롤 급여로 인해 흰쥐에게 고지혈증이 유발되었으며 실험 시료를 경구투여하는데 따른 혈액중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는 없었다. 고콜레스테롤 급여로 흰쥐의 간장은 비대해지고 간장내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녹차추출물, 메밀추출물, 포도잎추출물은 간장 내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켜 간장 내 지질대사의 개선효과가 있었다. 고콜레스테롤의 급여는 혈장 내의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포도잎추출물은 체내 지질과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간에서는 메밀과 포도잎추출물이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마그네슘 결핍이 포도나무의 황화현상 발생과 포도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gnesium deficiency on Chlorosis and Fruit Quality of Grapevine)

  • 장태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7-355
    • /
    • 2009
  • Grape fruit quality can be deteriorated with leaf chlorosis caused by magnesium (Mg) deficiency during fruit coloring season in several grapevine varieties. The occurrence of leaf chlorosis and soil Mg states for four grapevine varieties (Campbell Early, Muscat bailey A (MBA), Sheridan, and Kyoho) in the vineyards of Gyeongsan and Youngcheon were survey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f chlorosis and fruit qualities were also investigated. Leaf chlorosis was more widely found and the symptom was stronger in Campbell Early in comparison to the other varieties. Sugar content and Hunter values (L, a, b) of grape frui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rees of chlorosis when compare to healthy grapevine trees. Soil Mg contents in the vineyards where leaf chlorosis was found were lower than the optimum level for grapevine. Also Mg content in the petioles of chlorosis grapevin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healthy grapevines. Application of Mg through foliar spray and soil fertigation was quite effective in correcting deficiencies of Mg in grapevine. Proper management of soil Mg availability and K/Mg ratio is strongly recommended to prevent Mg deficiency in grapevine.

영양진단을 위한 신속한 엽분석 방법으로서 근적외분광분석기의 이용 (Application of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as a Rapid Leaf Analysis Method to Evaluate Nutritional Diagnosis in Apple (Malus Domestica Borkh, Fuji) and grape(Vitis Labrusca, Campbell Early))

  • 서영진;박만;김창배;;윤재탁;조래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2-246
    • /
    • 2000
  • 근적외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과수의 영양진단을 위한 신속한 엽분석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사과 '후지'품종 잎 177점, 포도 '캠벨얼리' 품종 잎130점의 시료를 이용하여 1,100~2.500nm까지 근적외영역의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총질소 분석은 살리실산-황산으로 분해후 켈달 증류하여 측정하였다. 근적외 스펙트럼과 총 질소함량과의 상관분석을 이용, 검량식을 개발하였고 화학분석한 결과에 대한 예측식을 구하였다. 사과는 중회귀계수 0.965, 검량식의 표준오차 0.086, 포도는 중회귀계수 0.926, 검량식의 표준오차 0.152이었다. 개발된 검량식을 이용하여 예측식을 작성한 결과는 사과의 경우 0.360, 포도 0.210의 결과를 얻었다. 지역간, 년차간 발생되는 변이가 보정된다면 신속한 엽분석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포도갈색무늬병 발병수준이 '켐벨얼리' 유기포도의 광합성률에 미치는 영향 (Photosynthetic Rates of 'Campbell Early' Organic Grape as Affected by Degree of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 류영현;배수곤;연일권;김광섭;박상조;박준홍;박종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73-786
    • /
    • 2016
  • 포도 캠벨얼리품종은 우리나라 포도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품종에 비해서 갈색무늬병에 대해서 감수성으로 병 발생이 심할 경우 과실당도의 저하를 가져와 품질하락과 생육불량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켐벨얼리 포도품종에서의 갈색무늬병에 의한 생육피해 해석을 위해서 7년생의 유기재배 켐벨얼리 품종대상으로 2015년 8월에 갈색무늬병이 발병된 포도나무를 대상으로 광합성 효율 특성, 엽록소함량 및 감염잎의 화학성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갈색무늬병 감염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CO_2$ differential value (기준기와 분석기 $CO_2$ 농도차이), WUE value (광합성수분사용효율)와 A value ($CO_2$의 흡수율/호흡률) 등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tomatal conductance value (기공전도도)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엽록소의 함량은 병징이 심할 경우 50% 이상 감소하여 엽록소 함량의 감소가 포도갈색무늬병 발병잎의 광합성 효율 저하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병반면적률에 따른 화학성분을 조사한 결과 병반면적률이 증가할수록 잎의 질소, 인산, 칼륨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총탄소,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의 함량은 병반면적률에 비례해서 증가하였다.

포도 '캠벨얼리' 품종의 전엽기 생장조절제 처리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Sprayed at Unfolded Leaf Stage on Fruit Quality in 'Campbell Early' Grape)

  • 천종필;김병기;배태민;오경영;김진국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9-15
    • /
    • 2012
  • 본 연구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을 활용하여 '캠벨얼리' 포도의 품질향상 증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엽 3~5엽기에 화방에 대한 지베렐린($GA_3$) $5mg{\cdot}L^{-1}$ 엽면처리는 '캠벨얼리' 포도의 과경, 과방중, 가용성당함량, 과피의 착색을 증진시켰다. 전엽 3~4엽기의 화방에 대한 $GA_3$ $5mg{\cdot}L^{-1}$과 ABA $20\;mg{\cdot}L^{-1}$ 혼용처리는 과립 비대와 과축 신장을 저해하지 않았으며 포도 과피의 안토시아닌 축적에 효과적이었다. '캠벨얼리' 포도의 전엽 3~4엽기에 화방에 대한 thidiazuron $2.5mg{\cdot}L^{-1}$$GA_3$ $5mg{\cdot}L^{-1}$ 혼용처리는 가용성고형물 함량 증진과 산함량 감소를 촉진하여 과실 품질이 증대되었다.

비티제를 이용한 포도 '캠벨얼리' 유기과수원 포도들명나방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Bacillus thuringiensis against Herpetogramma luctuosalis on 'Campbell Early' Organic Vineyard)

  • 송명규;박재성;이석호;이재웅;김승덕;최원호;김길하;박종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97-808
    • /
    • 2016
  • 포도 캠벨얼리 유기포도원에서 포도들명나방(Herpetogramma luctuosalis)의 발생생태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방제시기를 결정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Fig. 3의 포도들명나방 성충 발생량과 Fig. 1, Fig. 2의 평균기온과 강수량을 비교하였을 때 간이비가림 시설이어서 발생량과 강수량과의 상관관계는 적어보이고, 온도와 발생량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Fig. 3과 같이 포도들명나방 성충은 6월 중순 1차 피크, 8월 상순에 2차 피크, 9월 중순에 3차 피크를 보였다. 성충이 나타난 후 20일 경에 포도잎을 마는 피해가 보이기 시작했다. $25^{\circ}C$에서 알 기간이 12일, 유충은 22일로 조사되었는데, 6월 포도원에서 성충이 알을 낳고 잎을 말기까지 20일 정도 소요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티제는 유충이 섭식을 하고 며칠간의 잠복기간을 거쳐 비티독소의 장파열과 비티균의 증식으로 유충을 죽이므로, 포도들명나방 유충이 비티제를 섭식할 수 있도록 포도잎을 말기 전에 살포해야 효과를 볼 수 있었다. 7월 상순잎을 만 상태에서 살충력은 43.6%로 매우 낮아졌고, 이른 시기에 살포하였을 경우에도 환경에 따른 분해 등이 발생해 효과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비티제를 이용해 유기포도원에서 효율적으로 포도들명나방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포도잎을 말기 전인 6월 중 하순에 살포해야 한다. 이에 유기포도원에서 나방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티제의 활용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포도재배를 위한 친환경 유기농자재의 엽면시비 효과 (Foliar Fertilization Effect of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 for Grape Cultivation)

  • 문영훈;안병구;정성수;이진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60-763
    • /
    • 2012
  • 친환경 포도재배를 위하여 농가에서 용이하게 구입 및 제조가 가능한 유기농자재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 사용한 농자재의 pH는 4.6이하였고, 아미노산액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료성분을 함유하였다. 포도수확기 토양의 pH는 시험초기 (농자재 처리 전)와 비교할 때 감소하였고, EC와 유기물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유효인산은 대조구 (관행처리)를 제외하고 증가하였다. 치환성 K는 은행잎추출액 처리구와 대조구, 치환성 Ca는 무처리구와 아미노산용액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치환성 Mg는 모든 농자재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포도 잎의 질소 (N) 함량은 chitosan과 아미노산액 처리구, P는 chitosan, 목초액 및 아미노산액 처리구, K는 chitosan과 아미노산액 처리구, Ca은 chitosan 처리구, Mg 함량은 아미노산액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포도 수량은 목초액 처리구와 대조구에서 $1,581{\sim}1,583kg\;10^{-1}$로 가장 많았고, 당도는 무처리구를 제외하고 같은 수준을 보였다.

Effects of Auxins end Cytokinins on Callus Induction from Leaf Blade, Petiole, and Stem Segments of in Vitro-grown 'Sheridan' Grape Shoots

  • Seung-Heui kim;Kim, Seon-Kyu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17-21
    • /
    • 2002
  • To establish an the mass production system of grape anthocyanin pigments through callus and cell suspension culture, the effects of various combinations of auxins and cytokinins on friable callus production were studied. for friable callus production, 2,4-D was superior to other regulators. IAA at 2 mg/L induced callus from stem and petiole while NAA resulted in rooting. Callus induction rate increased with the 2,4-D level, and stem segments were superior to leaf blade or petiole, showing nearly 100% with 1 and 2 mg/L 2,4-D from petiole and stem. Combined treatments of 2,4-D + kinetin and NAA + BA also yielded friable callus from stem segments. In treatments with 1 mg/L 2,4-D + 1 mg/L kinetin and 1 mg/L NAA + 1 mg/L BA, callus induction rate was nearly 100%. The combination effect of 2,4-D and BA on anthocyanin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