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in number

검색결과 1,150건 처리시간 0.033초

저사이클 피로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구상흑연주철의 흑연입자수의 영향 (Effect of the Number of Nodular Grains on Low Cycle Fatigue Life in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 김민건;이병현;유병호
    • 산업기술연구
    • /
    • 제20권B호
    • /
    • pp.3-8
    • /
    • 2000
  • Low cycle fatigue life of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is determined by the morphological parameters of internal graphit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number of nodular grain of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on low cycle fatigue life. Two specimens that have identical average nodular grain size by changing nodular grain volume fraction and different number of nodular grain count was tested. In this paper, the parameter governing fatigue life through fatigue test, the number of nodular grain seriously affect fatigue life and nodular grain size is no longer governing parameter of it.

  • PDF

Comparison of yield and its components in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by path coefficient analysis

  • Choi, In-Bae;Kim, Hak-Sin;Hwang, Jae-Bok;Bae, Hui-Su;Ku, Bon-Il;Park, Hong-Kyu;Par, Tae-Seon;Lee, Geon-Hw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34-234
    • /
    • 2017
  • Recent abnormal weather, especially continued rainfall during sowing season causes difficulty in proper sowing of wheat and delayed sowing after November 15 is concerned about freezing damage during winter, resulting in reduction of wheat yield. To correspond government policy of crop sufficiency improvement and produce and supply raw wheat and barley steadily, expansion of cultivation area is necessary and spring sowing of wheat is requir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production, comparison and path coefficients analysis was conducted for yield and yield related components from autumn and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Path analyses were known as very useful in clarifying the effects of yield components on grain yield formation, which were not accurately reflected in simple correlation anaylses. Most cultivated 5 wheat and 9 barley cultivars were sown on October and February at Cheon-ju province according to standard sowing method. For the spring sowing of wheat and barley, the varieties having vernalization degree I~III are seeded in the mid of February and seeding rate is 200~250kg/ha which is increased by 25% than autumn sowing. N-fertilizer of 95 kg/ha and the same amount of P, K dressed in autumn are applied at once as basal fertilizer. The magnitude of direct effect in each yield components on yield was in sequence as follows. In autumn wheat, grain number per $spike{\geq}$ the number of spike per $m^2$>1000-grain weight and in spring wheat, grain number per $ spike{\geq}the$ number of spike per $m^2$> 1000-grain weight. In autumn naked barley, 1000-grain weight> the number of spike per $m^2$, grain number per spike and in spring barely, the number of spike per $m^2$> grain number per spike > 1000-grain weight. In autumn covered barley, grain number per spike>the number of spike per $m^2$ and in spring coverd barley, the number of spike per $m^2$> grain number per spike, 1000-grain weight. In autumn malt barley, the number of spike per $m^2$>1000-grain weight and in spring malt barley, the direct effects of three yield components were similar. According to the path analysis of yield components for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it was suggested that adequate number of spike per $m^2$ was most important factor for yield increase.

  • PDF

Effects of Nitrogen Level and Seedling Number on Panicle Structure in Japonica Rice

  • Kim, Bo-Kyeong;Kim, Ki-Young;Oh, Myung-Kyu;Shin, Mun-Sik;Ko, Jae-Kwon;Lee, Jae-Kil;Kang, Hee-Kyo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0-126
    • /
    • 2003
  • Four different rice varieties, Sindongjinbyeo, Dongjin #1, Saegyehwabyeo, and Iksan 467, were transplanted under three different nitrogen levels and two different seedling numbers per hill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panicle traits under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and to propose the ideal panicle structure in Japonica rice. Sindongjinbyeo and Iksan 467 were characterized by more primary rachis branches (PRBs) per panicle and more grains on PRB than other cultivars. The two varieties also had fewer secondary rachis branches (SRBs) per PRB and fewer grains on SRB per PRB. These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resulted in higher ripened grain rate, contrary to that of Dongjin #1 and Saegyehwabyeo.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PRB number per panicle and grain number on PRB per panicl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ipened grain rate, while SRB number per panicle,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anicle, SRB number per PRB,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RB and grain number per panicl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ripened grain rate. Therefore, the number of grains on PRB per panicle, SRB number per PRB and the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RB were the appropriate criteria for determining and achieving higher ripened grain rate in rice. High ripened grain rate over 90% was obtainable with over 12.5 PRBs per panicle and 63 grains on PRB per panicle, and with under 1.7 SRBs per PRB, 5 grains on SRB per PRB, 130 grains per panicle, and 14 panicles per hill. The study recommended that for over 90% high ripened grain rate, the critical limiting factors should be under 2 SRBs per PRB, 6 grains per PRB, and 130 grains per panicle, irrespective of the PRB number per panicle and the number of grains on PRB.

벼담수 직파 재배에서 파종 입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mber of Sowing Grain on the Rice Growth and Yield in Direct Sowing Culture on Irrigated Paddy Field)

  • 이종철;문창식;서해영;최범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41-45
    • /
    • 1973
  • 본 시험은 중부지방에서 담수직파재배에 알맞은 파종립수를 구명함과 파종립수에 EK른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의 변이를 알고져 1972년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고분얼수는 밀파할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280립 파종구에서 최고수치를 보였고 그 이후는 점차 감소되었으며 분얼에 대한 경합은 $m_2$당 280립이상 파종구에서 뚜렸했다. 2. 유효경비율은 $m_2$당 120립부터 280립 파종구까지는 파종밀도가 증가될수록 감소되다가 그 이후는 점차 증가되었다. 3. 최고분얼수가 $m_2$당 1,000개 이하에서는 얼자간 경합이 적었다. 4. 수수와 파종립수는 현저한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수수와 일수영화수, 수수와 동숙비율은 (-)의 상관 경향이었다. 5. 수량과 $m_2$당 영화수는 r=0.929이며 수량과 수수는 r=0.695, 수수와 $m_2$당 영화수는 r=0.796이었다. 또한 수량과 수량구성요소간의 순위상관을 보면 수량과 수수가 가장 상관이 높았으며 (r=0.954_ 담수직파에서 수량을 지배하는 요인은 수수이었다. 6. 수량은 $m_2$당 280립 파종구에서 최고를 나타냈다.

  • PDF

Detection of QTLs Influencing Panicle Length, Panicle Grain Number and Panicle Grain Sterility in Rice(Oryza sativa L.)

  • Ahamadi, Jafar;Fotokian, M.H.;Fabriki-Orang, S.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163-170
    • /
    • 2008
  • The detection, characterization and use of quantitative traits loci, QTL, have significant potential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lective breeding of species. Therefore, a population with 59 advanced backcross lines($BC_2F_5$),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IR64 and Tarome molaei, were studied in Tonekabon Rice Research Station of Iran in order to map QTLs for panicle length, number of grain per panicle, and panicle grain sterility in rice. The parental screening wtih 235 SSR markers in agarose and polyacrylamide gels revealed 114 markers with clear polymorphic bands. To search for QTLs associated with panicle length, number of grain per panicle, and panicle grain sterility, we constructed a genetic linkage map using 114 microsatellite markers. Positive and negative transgressive segregations were observed in $BC_2F_5$ lines for all traits. Using multiple interval mapping(MIM), a total of 20 putative QTLs were detected, of which eight were for panicle length, three for number of grains, and nine for panicle grain sterility. The maximum number of QTLs were mapped on chromosomes 1 and 2 with eight QTLs. These QTL markers could possible be utilized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 PDF

이면교잡에 의한 대맥형질의 유전분석 (Diallel Cross Analysis of Characters in Barley)

  • 정원복;정대수;무전화의;좌등화광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9-65
    • /
    • 1997
  • In this experiment, gene actions were analysized for seven barley parents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ir genetic improvement by diallel crosse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analysis of variance, additive, dominant, maternal and reciprocal effects were observed significantly for culm length, tiller number, number of spiked per plant, culm diameter, awn length, leaf width,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Over-dominance was shown by Vr-Wr graphic analysis in five characters such as tiller number, number of spikes per plant, length of flag leaf,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and partial dominance in four characters such as culm length, culm diameter, awn length, and leaf width. Component of genetic varience analyzed for four characters such as culm diameter, awn length, length of flag leaf, and leaf width showed that additive effects were higher than dominant effects. Culm length, tiller number, number of spikes per plant,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showed dominant effects higher than additive effects. The narrow-sense heritability for awn length, leaf width, and number of grains per spike showed high values as more than 0.62, while broad-sense heritability for culm length, number of spikes per plant, culm diameter, awn length, leaf width,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showed high values as more than 0.65.

  • PDF

단백자원으로서의 대두증산에 관한 연구 - 품종 파종기 및 석회시용량의 차이가 대두의 수량형질과 단백질 및 유분생육량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Yield Increase of Soybean as a Protein Source -Varietal response of yield components, protein and oil yield to different sowing dates and calcium levels in soybean-)

  • 현신규;이은웅;이춘영;권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
    • /
    • 1970
  • 단백자원으로서 가장 중요한 작물인 대두의 자실수량, 단백 및 유분수량이 품종별로 파종기 및 석회시용량의 차이에 따라서 어떻게 영양을 받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주요대두품종 충북백, 육우 003 및 장단백목을 공시하여 파종기를 5월 22일(대두단작재배) 및 6월 11일(맥후작재배) 및 7월 1일 (만파재배)로 달리하고 석회시용량을 10a당, 0.5kg, 100kg으로 다르게 처리하여 본 시험을 1969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부속농장에서 실시하였다. 본 시험성적에서 나타난 대두의 수량형질, 단백 및 유분수량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품종중 육우003의 자실수량이 가장높았다는데 이는 육우003에 주당협수가 다른 품종보다 현저히 많다는 데에서 기인되었다. 단백함량은 충북백>육우003>장단백목의 순위였고 지유함량은 장단백목>충북백>육우003의 순위였으나 단위면적당 단백수량 및 지유수량은 자실수량이 많았던 륙우003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이와같은 품종간 수량차이는 파종기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설계재배에 있어서는 품종과 파종기간의 관계를 크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2. 제1파종기와 제2파종기간에 자실수량차이는 없었으며 만파재배인 제3파종기에서는 자실수량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와같은 현상은 제3파종기에서 1주당협수의 감소가 현저했기 때문으로 고찰된다. 단백질함량과 지유함량은 파종기에 따라 별로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단백수량 및 지유수량은 제3파종기에서 자실수량의 감소와 함께 현저히 감소하였다. 3. 석회시용량의 증가에 따라서 분지수 협수가 증가하였으며 자실수량도 증가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자실수량이 석회 100kg/10a 시요구에서 가장 높았다. 단백함량도 석회시용량을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지유함량은 석회무시용구가 가장 높았다. 단백수량은 석회시용량의 증가에 따라 자실수량 및 단백함량이 같이 증가되었기 때문에 현저히 증수되었으며 지유함량은 자실수량의 증가에 의해서만 증수되었다. 4. 수량형질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경장과 주당경중, 100립중 및 자실수량간에 주당경중과 주당맥수 및 자실수량간에, 주당분지수와 100립중간에, 주당협수와 자실수량간에, 100립중과 단백함량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인정할수 있었으며, 주당협수와 100립중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재식밀도변화에 따른 주요 벼 품종의 수량구성요소 변화분석 (Change in Yield Characteristics by Transplanting Density in Major Cultivated Rice)

  • 황운하;이현석;양서영;이충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1호
    • /
    • pp.1-7
    • /
    • 2023
  • 벼 품종별 재식밀도 변경 시 생육특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식밀도 변경 시 간장, 수장의 변화는 없으며 각 포기 사이의 재식거리가 10 cm 넓어질수록 포기당 분얼수는 평균 4.4개, 이삭당 립수는 평균 7.5개 증가하였다. 2. 기존 80주 이앙 시 분얼수 및 립수가 많은 품종이 재식밀도가 감소되어도 분얼수 및 립수가 많은 경향이었다. 3. 재식밀도 감소 시 분얼수 및 립수 증가비율은 기존 80주 재배 시 품종의 분얼수 및 립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재식밀도 감소 시 이삭지경의 개수 및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이 때문에 이삭당 립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소맥육종에 있어서 수량 및 수량구성형질의 선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 (Studies on the Selection for Grain Yield and Components of Yield in Wheat Breeding)

  • 이동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33-59
    • /
    • 1974
  • 소맥육종에 있어서 수량에 관한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적정보를 얻고저 1968년부터 1971년까지 4개년에 걸쳐 작물시험장포장에서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수량 및 수량관계형질의 유전력과 형질간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고정품종군과 F$_2$개체군 그리고 F$_3$계통군을 공시하였고 고정품종군으로서 시비량과 년차를 달리하여 수량 및 수량관계형질상호관계의 변동상황을 추구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들을 한국, 미국, 일본품종군으로 또 조생, 만생품종군으로 분류하여 조사한바 출수기, 간장, 수장의 유전력은 어느품종군에 있어서나 높았고 1수입수, 1,000입중의 유전력은 중정도, 그리고 1주수수와 수량의 유전력은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미국품종군에 있어서만은 1수입수와 수량의 유전력이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2. 1,000입중과 수량간에는 만생품종군을 제외한 모든 품종군에 있서어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으며 1수입수와 수량간에도 미국품종군을 제외한 모든 품종군에 있어서 높은 유전상관이 인정되었다. 3. 경로계수분절결과,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는 만생품종군을 제외한 모든 품종군에 있어서 1,000입중이 가장 컸다. 4. F$_2$에 있어서는 1,000입중과 수량간에 2조합에서 모두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으며 1수입수와 수량간에도 조합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였다. 5. F$_2$에 있어서 경로계수분절결과 수량구성요소들의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는 별로 차이가 없었다. 6. F$_3$에 있어 수량과 높은 유전상관을 보인 것은 1,000입중과 1수입수였으며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도 1수입수가 가장 컸고 1,000입중의 직접효과도 큰편이었다. 7. 유전력이 높은 출수기, 간장, 수장등의 유전력은 비료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나 비반응형 품종군에 있어서 시비량증가에 따른 변동이 거의 없었다. 8. 비료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는 1,000입중의 유전력이 그리고 비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는 수량의 유전력이 시비량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9. 비료비반응형품종군의 1수입수의 유전력과 1,000입중의 유전력은 비료반응형품종군의 그것보다 높았다. 10. 비료반응형품종군과 비반응형품종군에서 공히 수량과 높은 유전상관을 보인 것은 1,000입중이었으나 비료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 그 상관의 정도는 비료증시에 따라 낮아졌는데 비료비반응형품종군에서는 이와 반대였다. 11. 비료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는 수량과 1주수수간에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으나 비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는 상관정도가 매우 낮았다. 12. 경로계수분석결과 수량구성요소들의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는 비료반응형품종군에서나 비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나 시비량차에 관계없이 1,000입중이 가장 컸으며 비료반응형품종군의 다비구에서만 1주수수가 컸다. 13. 년차에 의한 유전력의 변동은 유전력이 높은 출수기, 간장, 수장과 1수입수, 1,000 입중등에서는 변동이 적었으며 유전력이 낮은 1주수수에 있어서 변동이 큰 편이었다. 14. 양년차에서 공히 수량과 유전상관이 높았던 형질은 1,000입중이었으며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도 가장 큰 편이었다. 1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우리나라의 소맥육종에 있어서는 다수성의 선발은 1,000입중에 주목하여 선발하는 것이 선발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될것으로 추론하였다.

  • PDF

대맥 주요형질 간의 표현 및 유전상관과 경노계수 (Genotypic and Phenotypic Correlation and Path Coefficient Analysis in Barley)

  • 김흥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4-179
    • /
    • 1985
  • 보리의 간장, 경수, 수장, 100입중, 개체당수수 수당입수, 수량등 7개 형질에 대한 광의의 유전역을 조사하고 형질들 간의 표현형상관, 유전상관, 환경상관을 조사하고 또 유전상관에 의해 형질들의 수량에 대한 직접 및 간접효과를 알기 위해 경노계수 분석을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전역은 간장이 0.923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수장이 0.907로 역시 높았으며 수당입수, 수량, 100입중등도 상당히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그러나 경수는 0.179, 개체당수수는 0.147로서 상당히 낮은 유전력을 나타냈다. 2. 간장은 100입중과 고도의 유의성있는 표현형 상관이 있었으며 또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다. 경수도 수수와의 사이에서 높은 표현형 상관과 유전상관을 보였고 수장은 입수와의 사이에서 높은 표현형 및 유전상관을 보였다. 수량은 수장, 100입중, 입수등과의 사이에서 고도의 유의성 있는 표현형상관을 보였고 또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다. 3 . 경노계수 분석결과 간장은 수량에 대해서 직접효과가 없었으며 다른 형질을 통한 간접효과도 없었다. 경수는 직접효과가 다른 형질보다 가장 컸으며 수장과 100입중도 수량에의 영향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는 수량에 대해서 가장 큰 부의 직접효과를 보였다. 수수는 경수를 통해서 그리고 입수는 수수를 통해서 강한 간접효과를 보였으며 경수는 수수를 통해서 가장 큰 부의 간접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