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ft efficiency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6초

Carbon Black 표면에의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 중합에 관한 연구 (Study on Graft Polymerization of Acrylate and Methacrylate Monomers onto the Carbon Black Surface)

  • 구형서;장병권;김용무;최규석
    • 공업화학
    • /
    • 제5권3호
    • /
    • pp.395-405
    • /
    • 1994
  • Carbon black(이하 CB로 약함) 표면에 존재하는 각종 작용기(-OH, OC,<-COOH)를 n-butyl lithium을 반응활성화제로 활성화시킨 후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르 단량체들을 음이온 그라프트 중합하여 CB-그라프트 생성물을 얻었다. 이 CB-그라프트 생성물을 비용매를 이용한 침전법과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호모폴리머를 분리시켜 반응시간과 온도에 따른 그라프트 효율 등을 구한 결과, CB-polyacrylates의 경우 그라프트율이 20~30% 정도로 낮았지만 CB-polymethacrylate의 경우 150~200% 정도의 매우 높은 그라프트율의 CB- grafted polymer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각 반응온도에서 CB와 단량체들의 음이온 중합은 대체로 1~2시간 정도에서 평형상태를 이루었으며,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환율과 그라프트율은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콜로이드 분산성 시험을 한 결과 열건조 전에는 각 호모폴리머의 양용매 중에서 매우 안정한 분산성을 나타냈으며, 열건조 후에도 CB-polymethacrylate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polymethacrylate 양용매에 대해 매우 양호한 안정성을 보였다. CB 표면에서의 그라프트 중합체의 확인은 적외선 스펙트럼에 의해 행하였다. Four-probe 방법에 의한 CB-grafted polymer의 저항값 측정에서는 그라프트율이 높을수록 저항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윌슨병 환아에서 이형 접합 보인자 공여간을 이용한 혈연간 생체 부분 간이식 (Living-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with Heterozygote Carrier Graft in Children with Wilson Disease)

  • 김진택;장수희;최보화;김경모;유한욱;이영주;이승규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6권2호
    • /
    • pp.161-166
    • /
    • 2003
  • 목 적: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인 윌슨병에서 이형 접합 보인자인 부모를 공여자로 생체 부분 간이식을 시행 받은 윌슨병 환아의 치료 경험을 통해 이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1994년 12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간이식을 시행받은 75명의 소아 중 윌슨병으로 간이식을 시행 받은 7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의 간 기능과 Kayser-Fleischer ring 소실 여부 및 구리 대사에 관련된 검사 소견 등을 중점으로 의무 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7명의 환자 가운데 5명은 전격성 간염, 2명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간경변으로 간이식을 받았으며, 공여자는 모두 혈연간 즉 이형 접합 보인자인 부모들이었다. 이식 후 추적 관찰 동안 환자의 생존율은 100%이었으며,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소아 간이식 전체 환자와 대사성 간 질환으로 간이식을 받은 환아의 각각의 5년 생존율 87%, 84%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간이식을 받은 모든 환자는 penicillamine과 구리 제한 식이를 시행하지 않고 이들의 AST치, 총 빌리루빈치 및 프로트롬빈 시간이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윌슨병 재발의 소견은 없었다. 그리고 혈중 ceruloplasmin치와 혈중 구리 농도는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24시간 소변 구리 배설양도수술 후 모든 환아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Kayser-Fleischer ring은 추적 관찰된 5명 중 4명에서 사라졌고, 추적 관찰이 3개월로 짧았던 한 명에서는 감소되었으나 남아 있었다. 결 론: 윌슨병이 내과적인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간경변으로 진행하거나 전격성 간염으로 발현하여 간이식이 필요한 경우 윌슨병의 이형 접합 보인자인 부모를 이용한 혈연간 생체 부분 간이식은 효과적인 치료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삽접법을 이용한 기계접목 메카니즘 연구 (Mechanism of a grafting machine using the insertion method)

  • 박규식;이기명;김주엽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5권
    • /
    • pp.115-122
    • /
    • 1997
  • 과채류의 재배에 있어서 접목은 작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품질 향상을 위해 없어서는 안되는 기술이다. 그러나 지속적인 숙련 노동력의 감소와 농촌 인구 노령화 등으로 나타나는 노동력 부족 현상은 집목묘의 대량생산 공급에 어려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접목에 있어서 접목법이 간단하며 접합부자재가 불필요한 삽접법을 이용하는 기계접목 메카니즘 개발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트레이상의 육묘상태에서 자동으로 접목하기 위한 기계접목의 기초연구로써 1본씩 수동 공급하는 반자동 기계삽접의 메카니즘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접합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 과채류에 적용가능한 삽접 기계접목장치의 메카니즘을 구성하였다. 2. 오이를 접수로 하고 신토좌와 흑종을 대목으로 하는 기계접목시험에서 모두 98%의 접목성공율을 나타냈다. 3. 1본 수동 공급에 의한 기계접목 시스템은 10초 정도로 접목 성능은 저조하지만 기계접목 메카니즘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Vein Wrapping Technique for Nerve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Invading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 Yoo, Young-Moon;Lee, Il-Jae;Lim, Hyo-Seob;Kim, Joo-Hyoung;Park, Myong-Chul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71-75
    • /
    • 2012
  • Recurrent laryngeal nerve paralysis is the most common and serious complication after thyroid cancer surge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advantages of the vein wrapping technique for nerve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invading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and its effects on postoperative phonatory function. The subjects were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resection of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during surgical extirpation of papillary thyroid cancer. Free ansa cervicalis nerve graft or direct neurorrhaphy with a vein wrapping technique was used to facilitate nerve regeneration, protect the anastomosed nerve site mechanically, and prevent neuroma formation. One-year postoperative laryngoscopic examination revealed good vocal cord mobility. Maximum phonation time ($19.5{\pm}0.3$ sec) was longer than a previously-reported value in conventional reconstruction patients ($18.8{\pm}6.6$ sec). The present phonation efficiency index ($7.88{\pm}0.78$) was higher than that previously calculated in conventional reconstruction ($7.59{\pm}2.82$). The mean value of the Voice Handicap Index-10 was 6, which was within the normal range. This study demonstrates improvement in phonation indices measured 1 year after recurrent laryngeal nerve reconstruction. Our results confirm that the vein wrapping technique has theoretical advantages and could be favored over conventional reconstruction techniques for invenerate nerve injuries.

유전자 전달체로서 히스티딘이 결합된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Histidine-graft-Low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 as a Gene Carrier)

  • 박준규;김동곤;최창용;장미경;나재운
    • 공업화학
    • /
    • 제18권6호
    • /
    • pp.607-611
    • /
    • 2007
  • 양이온성 천연고분자 물질로서 유전자와 효과적으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LMWSC)에 유전자 발현 효율을 높이기 위해 histidine을 컨쥬게이션 시킨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였다. 히스티딘-LMWSC의 제조는 무수프탈산으로 LMWSC의 아민기를 보호한 후 히스티딘과 결합한 다음 무수프탈산을 제거하는 반응으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유전자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FT-IR과 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전기영동 결과로부터 본 실험에서 제조된 유전자 전달체와 DNA가 복합체를 형성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전자 전달체의 입자크기는 DLS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히스티딘-LMWSC-DNA 복합체입자의 크기는 100~200 nm임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히스티딘을 함유하는 LMWSC가 유전자 전달체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Useful Corrosion - Potential of Magnesium Alloys as Implants

  • Kaya, A. Arslan;Kaya, R. Alper;Witte, Frank;Duygulu, Ozgur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162-167
    • /
    • 2008
  • Degradable implants have been in use for bone surgery for decades. However, degradable metal implants are one of the new research areas of biomaterials science. Magnesium has good biocompatibility due to its low toxicity, and it is a corroding, i.e. dissolvable, metal. Furthermore, magnesium is needed in human body, and naturally found in bone tissue. There have been some published reports also asserting the potential bone cell activation or bone healing effect of high magnesium ion concentrations. The classic method for achieving intertransverse process fusion involves autogenous iliac crest bone graft. Several investigations have been performed to enhance this type of autograft fusion.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which has been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pure magnesium particles in posterolateral spinal fusion. In this study, corrosion behavior of magnesium metal at the bone interface, the possibility of new bone cell formation and the degree of effectiveness in producing intertransverse process lumbar fusion in a sheep model have been investigated. Cortical bone screws were machined from magnesium alloy AZ31 extruded rod and implanted to hip-bones of sheep via surgery. Three months after surgery, the bone segments carrying these screws were removed from the sacrificed animals. Samples were sectioned to reveal Mg/bone interfaces and investigated using optical microscope, SEM-EDS and radiography. Optical and SEM image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amount of corrosion on the magnesium screw. The elemental mapping results indicate, due to the presence of calcium and phosphorus elements, that there exists new bone formation at the interface. Furthermore, sixteen sheep were subjected to intertransverse process spinal fusions with pedicle screw fixation at various locations along their spines. Each animal was treated with 5cc autograft bone at one fusion level and 1cc magnesium+5cc autograft bone at the other. Six months after surgery, bone formation was evaluated by gross inspection and palpation, and radiological, histologic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and x-ray diffraction analyses. It may be stated that the potential for using useful corrosion of magnesium alloys in medical applications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

The effect of fixation plate use on bone healing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defects

  • Hong, Khang Do Gia;Kim, Seong-Gon;Park, Yo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5권5호
    • /
    • pp.276-284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compare efficiency results between the use of a customized implant (CI) and a reconstruction plate (RP) in mandibular defect reconstruction in an animal model.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rabbits underwent surgery to create a defect in the right side of the mandible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For reconstruction of the mandibular defect, the RP group (n=5) received five-hole mini-plates without bone grafting and the CI group (n=10) received fabricated CIs based on the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data taken preoperatively. The CI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two subgroups depending on the time of CBCT performance preoperatively, as follows: a six-week CI (6WCI) group (n=5) and a one-week CI (1WCI) group (n=5). Daily food intake amount (DFIA) was measured to assess the recovery rate. Radiographic images were acquired to evaluate screw quantity. CBCT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were performed in the CI subgroup after sacrifice. Results: The 1WCI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 in peak average recovery rate and the fastest average recovery rate. In terms of reaching a 50% recovery rate, the 1WCI group required the least number of days a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2.6{\pm}1.3days$), while the RP group required the least number of days to reach an 80% recovery rate ($7.8{\pm}2.2days$). The 1WCI group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intact screws (94.3%). New bone formation was observed in the CI group during histological examination. Conclusion: Rabbits with mandibular defects treated with CI showed higher and faster recovery rates and more favorable screw status as compared with those treated with a five-hole mini-plate without bone graft.

탄산아파타이트로 된 인공골과 소뼈에서 유래한 무기질 골의 초기 골전도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EARLY OSTEOCONDUCTIVITY OF POROUS ALLOPLASTIC CARBONAPATITE AND ANORGANIC BOVINE XENOGRAFT IN CANINE MAIXLLIARY AUGMENTATION MODEL)

  • 김도균;조태형;송윤미;판휘;이수연;진임건;김인숙;홍국선;황순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485-493
    • /
    • 2007
  • Introduction: Although several types of calcium-phosphate coumpound have been frequently applied to osseous defects at maxillofacial area for many years,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its efficiency on bone conductivity comprared to xenograft bone substitute. Alloplastic carbonapatite has been introduced to improve disadvantages of hydroxyapatite and to mimic natural bone containing carbon elements. However, a preclinical study about its efficiency of osteoconductivity has not been report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arly osteoconductive potential of synthetic carbonapatite with multiple pores relative to anorganic bovine xenograft. Materials and methods: Total 5 beagle dogs were used for maxillary augmentation model. The control (anorganic bovine xenograft) and experimental groups (synthetic carbonapatite)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the mouth split design. After bone graft, all animals were sacrificed 4 weeks after surgery. Histological specimens with Masson Trichrome staining were made and histomorphometrically analysed with image analyser.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In both groups, all animals had no complication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relatively much new bone formation around and along the bone substitutes, whereas it was clearly reduced in the control group. The ratios of new bone area to total area, to material area and to the residual area excluding materials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0.13{\pm}0.03,\;0.40{\pm}0.13,\;0.20{\pm}0.06$ respectively) than in the control group ($0.01{\pm}0.01,\;0.03{\pm}0.02,\;0.03{\pm}0.03$,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0.01, <0.01, respectively), while the ratio of material area to total area i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Carbonapatite showed a high osteoconductivity in the early stage of bone healing compared to bovine derived anorganic bone substitute. This study suggests that this bone materials can be applied as a reliable bone substitute in the clinical treatment.

양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결손에서 시행한 Hydroxyapatite의 조기 결과 (Early Result of Hydroxyapatite in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 정소학;권영호;박영균;김재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32
    • /
    • 2008
  • 목적: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Hydroxyapatite ($Bongros^{(R)}$-HA)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09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Hydroxyapatite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총 17례의 양성 골종양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남자 10명, 여자 7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8.5세였다. 양성 골종양의 종류별로 보면 섬유성 이형성증이 8례, 고립성 골 낭종이 5례, 거대 세포종이 4례였다. 부위별로는 근위 대퇴골 6례, 원위 대퇴골 3 례, 근위 경골 3례, 근위 상완골 4례, 골반골 1례였다. 자가골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4례, Hydroxyapatite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가 13례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3 개월에서 최장 15개월로 평균 7.5개월이었다. 주기적인 추시에서 관찰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Hydroxyapatite의 이식물의 흡수 정도와 골 생성 정도를 술 후 사진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술 후 평균 4.5 개월에 98% 이상의 흡수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술 후 평균 6.2 개월에는 98% 이상의 골 생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결손의 양이 적은 겨우 골 형성이 빠른 결과를 보였다(p=0.012). 하지만 그 외 환자의 성별, 나이 그리고 자가골의 첨가 여부에 따른 비교에서 이식물의 흡수율이나 골 생성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모든 경우에서 최종 추시 시 특이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양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의 치료제로서 Hydroxyapatite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양성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서 탈무기화 골 기질(DBM, Genesis$^{(R)}$)의 단기 결과 (Early Result of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Genesis$^{(R)}$) in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 서현제;정소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6-63
    • /
    • 2013
  • 목적: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탈무기화 골 기질(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2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탈무기화 골 기질(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총 25예의 양성 골 종양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남자 15명, 여자 10명이었고, 평균연령은 30.3세였다. 양성 골 종양의 종류별로 보면 고립성 골낭종이 9예, 비경화 섬유종 5예, 섬유성 이형성증 5예, 동맥류상골낭종 3예, 내연골종 3예였다. 부위별로 원위 대퇴골 5예, 근위 경골 4예, 근위 대퇴골 3예, 근위 상완골 3예, 수지골 3예, 원위 요골 2예, 골반골 2예, 종골 2예, 견갑골 1예였다. 자가골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6예, DBM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가 19예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6개월에서 최장 14개월로 평균 8.7개월이었다. 주기적인 추시에서 관찰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DBM의 이식물의 흡수 정도와 골 생성 정도를 술 후 사진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여 관찰하였다. 흡수 정도는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관찰할 수 있는 DBM의 부피의 변화로 측정하였고, 골 생성 정도는 결손부의 골 소주의 생성 정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총 25예 중 23예에서 골 유합(Bone union)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유합을 보인 23예는 술 후 평균 4.3개월에 98% 이상의 DBM 흡수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술 후 평균 6.9개월에는 98% 이상의 골 생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결손의 양이 적은 경우 골 형성이 빨랐다(p=0.036). 하지만 그 외 환자의 성별, 나이, 자가골의 첨가 여부 등은 이식물의 흡수율이나 골 생성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모든 경우에서 최종 추시 상 특이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양성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의 치료제로서 탈무기화 골 기질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나, 장기간의 추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