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de-schooler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초기 청소년의 학년에 따른 개인적 변인,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간의 인과적 관련성 (The Causal Relationship of Early Adolescents' Personal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ccording to Grade)

  • 김경연;김나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5호
    • /
    • pp.483-49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of early adolescents' personal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on their self-esteem by grade. Information on 226 6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and 226 1st year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in Busan was collected. Early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were assessed using their self-reports. For the data analysis, Cronbach's ${\alpha}$, t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ver. 21.0 program for Window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Second, peers' social support was the most powerful determinant of self-esteem in both the 6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and the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prosocial behavior had the greatest total effect on self-esteem in the case of both groups of students. The middle schoolers' academic achievement had no causal effect on their self-esteem.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early adolescents' personal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elements that affect their self-esteem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grade. Fur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develop a teaching plan and provide counseling for early adolescents in order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초등학교 보건교과서 분석 (Contents Analysis of Health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 한지영;서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26
    • /
    • 2014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ontent of health-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offer the basic data required for development or revision of health-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Methods: This study was methodological study of the content of health-textbook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 health-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which were edited in 2009~2010. The components of contents divides into holistic analysis and specific areas. Results: One textbook was no introductory remarks and 2 textbooks were no preface. The health-textbooks consisted of 7 areas and were comprehensive for school education. The proportion of each was different in 10 textbooks. Sexuality and health wa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seven areas in both the fifth and sixth grade. However, given that the mortality rate for the child's safety accidents is higher than in developed countries, the proportion of accident prevention and first aid can be relatively weak area. Conclusion: It is essential that health-textbooks empower schoolers to make healthy decisions through the promotion of useful life skills that provide a more integrated concept of health.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pproaches to health textbook to integrate more values of health.

우수시설학교 외부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이용과 만족도 - 대전광역시 중고생을 중심으로 - (Adolescents' Use and Stisfaction toward Outdoor Space of Schools with Excellent Facilities in Daejeon Metropolitan Area)

  • 박경옥;한주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75-79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adolescents' use and satisfaction toward outdoor space of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excellent facilities in Daejeon area. Six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jon area and 423 students, who were attending 'Excellent Facilities Schools', were select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Main results were as following: 1) The playground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visiting space, and bench and piloti were found to be the second most popular spaces among adolescents. The visiting frequency of outdoor space was higher for the ㅁ-shaped by type of inner court, for the $2^{nd}$ by floor of classroom, for high-schoolers by grade. 2) Respondents were satisfied more when the inner court is ㅁ-shaped than the others, when it is easy to access resulting from low floor classroom, when respondents visited the space frequently and stay longer, and when the outdoor facilities were in good conditions.

진로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 성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er's Career Maturity and Self-Concept)

  • 서현정
    • 초등상담연구
    • /
    • 제4권1호
    • /
    • pp.99-12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during a discretional activity class in elementary school. It established the following questions to achieve the objectives. First, does a career education program In a discretional activity class have an effect on elementary schooler's career maturity? Second, does a career education program in a discretional activity class make an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er's self-concept? To settle these subjects, it assigned two classes in 5th grade of A elementary school, city of Anyang, Gyeonggi-do,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t was applied the experiment group a career education program. As for measurement, it was used career maturity level test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ers' and 'the self-concept diagnostic test'. It was examined career maturity and self-concept of the groups through the pre-test post-test, applying cross-tabulation analysis to career choices pattern and t-test to career maturity level and self-concep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of experiment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career choice pattern, career choice attitude, and career choosing skills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at presented a career education program made a positive impact on elementary schooler's career maturity. Second, i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cept, showing students of experiment group took better place. it is believed that a career education program had a potent influence on the self-concept of elementary students.

  • PDF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 총괄 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Biology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김윤희;윤기순;권덕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1호
    • /
    • pp.164-174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생물영역의 총괄 평가 문항의 평가 목표를 블룸의 신 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 목표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대구지역 중학교 25개교로부터 총 1,711개의 총괄 평가 문항을 수집하여 블룸의 신 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라 각 문항의 평가 목표를 분석하였다. 총괄 평가 문항을 지식과정 차원의 목표분류틀로 분석한 결과, 사실적 지식에 대한 평가를 목표로 하는 문항이 대부분(67.6%)을 차지하였다. 인지과정 차원에서 표본 문항의 평가 목표는 기억하는가를 평가하는 것이 가장 우세하였다(76.1%). 문항의 주된 평가 목표들이 블룸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 중 특정 영역에 치우쳐 있었고, 동일한 분류체계로 수업 목표를 분류했던 이전의 연구 결과와 비교했을 때, 수업목표와 평가 목표의 분포에 차이가 있었다. 학년별 문항의 평가 목표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변하는 인지 수준을 고려하여, 평가 목표를 선정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문항의 평가 목표에서 학년별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일부지역 고등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High Schoolers in a Part)

  • 황지민;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7-20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하여 구강건강사업의 정책개방과 아울러 향후 성인이 된 후 구강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으로 인천 경기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 704명을 대상으로 2007년 10부터 11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11.5를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강건강증진행위 중 구강영양행위가 $3.20{\pm}.6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건강책임행위는 $2.35{\pm}.64$, 구강스트레스관리행위 $2.28{\pm}.70$, 구강사회적지지행위 $1.87{\pm}.70$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 구강건강증진행위의 세부항목 중 구강영양행위에서는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을 많이 먹는다.'가 $3.61{\pm}.92$, 구강사회적지지행위에서는 '구취가 난다고 느낀다.'가 $2.24{\pm}.97$, 구강건강책임행위에서는 '식사 후에는 반드시 잇솟질을 한다.'가 $3.71{\pm}1.0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건강스트레스관리행위에서는 '양쪽으로 저작하려고 노력한다.'가 $3.15{\pm}1.14$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3. 연구대상자의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증진행위의 결과는 1학년 학생이 구강영양행위가 가장 낮은 것($3.34{\pm}.66$)으로 조사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4. 월평균 가계수입에 따른 구강건강증진행위의 결과는 200만원 미만에서($2.13{\pm}.78$) 구강사회적지지행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수입이 많을수록 자신의 구강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높은 것으로 조사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5.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관련 변인간 상관관계 결과는 각 변수들 간에는 대체적으로 서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구강건강책잉행위가 높을수록 구강스트레스관리행위가 높게 나타나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 < 0.001), 일반적 특성에서 구강건증진행위의 영향인자로는 구강영양은 학년과 아비지의 교육수준, 구강사회적지지는 수입 정도로 나타났다.

  • PDF

주생활 영역 학습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Middle Schooler's Perception of the Unit "Housing Education" of the 9th Grad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최현숙;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6
    • /
    • 2008
  •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주생활 영역 학습에 대한 인식 및 수업 만족도 관련 변인을 파악하여 주생활 영역의 수업개선 및 교과서 집필 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거공간의 활용'은 교과내용이 '주택의 유지와 보수' 다음으로 흥미롭고 쉬우며, 실생활에 유용하고 교과서의 설명 및 시각자료가 흥미 있다고 보았다. 다양한 수업방법, 흥미로운 실험 실습을 하는 정도는 가장 낮았으나, 가장 이해하기 쉽게 가르쳤고 수업 만족도는 중단원 중에서 가장 높았다. 둘째, '실내환경과 설비'는 교과내용이 가장 흥미롭지 못하고 어려우며, 실생활 유용도와 교과서의 설명 및 시각자료 흥미도, 교사가 이해하기 쉽게 가르친 정도, 다양한 수업방법 사용 정도, 흥미로운 실험?실습 수행 정도는 세 중단원 중 중간이며 수업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셋째, '주택의 유지와 보수'는 교과내용이 가장 흥미롭고 쉬우며 다양한 수업방법과 흥미로운 실험 실습이 가장 이루어졌으나, 실생활에는 유용하지 않고 교과서의 설명 및 시각자료도 흥미롭지 못하며, 교사는 이해가 잘 되도록 가르치지 못했다고 인식하였고 수업만족도는 중간이었다. 넷째, 성별, 기술 가정교과 성적에 따라 주생활영역 학습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은 주거공간의 활용 단원의 교과내용을 쉽다고 보았으나 남학생은 대체로 교과서 설명 및 시각자료가 흥미있고, 다양한 수업방법, 흥미로운 실험 실습이 이루어졌다고 인식하였으며. '주택의 유지와 보수' 단원에 더 만족하였다. 기술 가정교과 성적이 낮을수록 교과내용을 어려워하였고 다양한 수업방법이 사용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주생활 영역 수업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정도로 '주거공간의 활용'에 가장 만족하였는데 수업 만족도는 교사가 이해하기 쉽게 가르칠수록, 교과내용이 쉬울수록, 교과서의 설명 및 시각자료가 흥미 있을수록 더 높아 주생활 영역의 수업 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사, 학습자, 교과서 측면에서의 노력과 자료 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PDF

문제중심학습에 참여한 중학생의 과학적 자기효능감 형성 과정 분석 (An Analysis of Middle Schoolers' Science Self-Efficacy Development in Problem Based Learning)

  • 이솔희;정영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5-16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적 자기효능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중심학습의 학습 특성을 추출하고 이들 특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자기효능감이 형성되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개의 모듈로 이루어진 문제중심학습 과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17명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이 프로그램을 처치하였다. 프로그램을 마친 후 2차에 걸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하였고 면담자료는 Corbin과 Strauss(2007)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과학적 자기효능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중심학습의 학습 특성은 실제적이고 비구조화된 문제의 제공, 소그룹 협동학습, 결과의 공유이었다. 실제적이고 비구조화적인 문제의 특성은 학습자의 과학적 자기효능감 형성에 선행조건으로 작용하였으며, 소그룹 협동학습은 자기효능감의 형성을 실질적으로 신장시키는 촉진조건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결과의 공유는 형성된 자기효능감을 미래 과학 활동 참여 의지나 과학적 진로의 선택 등으로 발전시키는 전이조건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martphone Usage by Elementary Schoolers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67-574
    • /
    • 2014
  •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가 창의적인성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4, 6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과 초등학생용 창의적 인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학년은 스마트폰 보유 여부와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창의적인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스마트폰 이용기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4학년은 스마트폰 사용실태 변인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창의적인성 사이에는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기간의 길이보다는 스마트폰의 보유 여부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21세기 핵심역량인 창의인성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들이 스마트폰 사용방법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 청소년의 성희롱 관련요인에 대한 조사연구 (The Study on the Variable related to the Sexual Harassment among the Korean Adolescents)

  • 김영혜;이화자;정은순;김이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77-85
    • /
    • 2002
  • Recently in Korea, the adolescents' sexual problems including sexual violence have increased, and those phenomena have escalated to be one of the major social iss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exual harassments of the Korean adolescents. The variables to which the subjects belong were gender, school grade, religion, extracurricular activity, amount of pocket money, school performance traffic mean to school, ownership of PC, internet contact frequency and place, contact to pornography, heterosexual friend, drinking, and smoking. The period of survey was from July 2000 to Dec. 2000. The subjects were 475 middle and high-schoolers in Busan and Kyung-Nam. The instrument to measure sexual harassments of the subjects was questionnaire. That was gained by modifying the three patterns(physical, verbal and visual) in the manual provide by the Ministry of Labor(1999). The degree of sexual harassments was measured by 4-point Liker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test and ANOVA by SPSS win(10.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hysical harassment were gender, age, pocket money, perceived school performance, traffic means, contact to pornography, having heterosexual friend, experience of drinking and smoking.2.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visual harassments were gender, age, perceived school performance, traffic mean, internet contact, contact to pornography, having heterosexual friend, experience of drinking & smoking.3.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verbal harassments were gender, age, pocket money, perceived school performance, traffic mean, internet contact, contact to pornography, having heterosexual friend, and experience of drinking & smo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