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vernment support system

검색결과 1,411건 처리시간 0.028초

토지관리정보체계 시스템구축방안 -시스템개발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LMIS))

  • 서창완;문은호;최병남;김대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73-89
    • /
    • 2001
  • 최근 급변하는 기술환경에서 향상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자체 또는 중앙 정부차원에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GIS를 활용한 행정업무의 전산화를 추진하고 있거나 추진할 예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예산의 중복투자 방지, 기 투자재원의 재활용을 극대화한다는 측면에서 지자체의 GIS 시스템 개발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전산환경에서 자료를 공유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토지관련정보체계의 개발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토지관리정보체계가 관련응용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갖는 개방형시스템(Open System)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개방형 토지관리정보체계의 틀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어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최근의 기술 동향에 맞추어 토지관리정보체계의 전국 확산을 앞두고, 유지관리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개방형 시스템으로서 개발을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교부 주관사업인 「토지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에서 시스템 개발부문으로 그 개발방법으로는 RUP(Rational Unified Process), 시스템 설계는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GIS시스템의 개발은 OpenGIS의 CORBA기반으로 만들어지며, 토지관리업무는 크게 시·군·구의 토지행정업무와 시·도의 공간계획지원업무 그리고 건교부의 토지정책수립업무로 세 가지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 PDF

전자업종 기업의 기술혁신역량과 기술사업화역량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R&D지원 유용성의 조절역할 (Eff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New Product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in Electronics Industry an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Usefulness of Government R&D Support)

  • 전종일;임헌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7-6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new product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in electronics industry an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usefulness of government R&D support. For this stud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the sample of 346 employees in 17 electronics companies of metropolitan area. The 305 sample was selected and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And also found out perceived usefulness of government R&D support had the moderate roles between only technical innovation system our of thre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factors and new product performance, and also between only manufacturing capability our of three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factors and new product performance. With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electronics company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시니어 창업의 정책 제안과 마케팅전략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icy Proposal for Senior Start-up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Entrepreneurs)

  • 윤정근
    • 유통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55-63
    • /
    • 2013
  • Purpose - As the member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have retired in earnest, the start-up market has received more attention than ever before.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al data, an increasing number of entrepreneurs are in their fifties. There has been a continuous increase in promotional materials on small business issues published by start-ups. This means that senior start-ups have increased in number. A number of support systems have been established for youth start-ups, but there are few government support policies in place for the senior start-up market. Thus, this study suggests a number of constructive altern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ment policy and marketing strategy for entrepreneurs, in order to generate competitiveness in the start-up process, through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the senior start-up and by diagnosing extant problem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gives a number of options regarding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and the securing of competitiveness in order to vitalize senior business start-ups. As for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funding support policy, publicizing business start-up policies, and operating systematic mentoring policies before retirement have all been covered. In particular, in order for senior business start-ups to become competitive, development through mutual relations with diverse policies is urgently needed. The aging population is becoming an issue in Korea, so businesses for the aged, and the creation of jobs for these people, will become a social issue. Senior business start-up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enterprise productivity, in addition to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Expanding senior business start-ups is important, because they also serve to expand the national infrastructure. Productivity increase through continuous expansion is thus recommended. Results - In order to expand the competitiveness of business start-ups, marketing-related observations and learning in regard to customers are necessary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and competitiveness for seniors is urgently needed. Conclusions - Studies on the business start-up policies for the domestic baby boomer generation are almost non-existent, and systematic studies on small businesses are necessary. Only the government is providing statistical studies for small businesses, and such research remains at a general level for entrepreneurs. Therefore, a support system that can actually assist entrepreneurs is essential. Continuous business start-up studies with respect to the baby boomers should be vitalized, to invigorate studies on competition. In order to supplement and strengthen foundational support, senior business start-ups must develop various competitive capabilities with a focus on the customer. The government and the various stakeholder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volved with start-up businesses must find ways to offer support to founders. Such support should include access to knowledge and legal and consultancy services in order to incubate the rapid increase in start-ups founded by seniors. Government support projects should be expanded to meet this end.

  • PDF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on Maternity Protection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Policy

  • Seon-Hui Kwak;Bo-Mi Shin;Soo-Myoung Ba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6-407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maternity protection and work-family balance support policies among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Methods: We surveyed 200 dental hygienists. Twenty-two who did not me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xcluded, leaving 178 participants for analysis. The self-administered 48-item questionnaire gathered information on demographics, workplace details, policy awareness, government knowledge,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Results: Awareness of maternity and family support programs significantly differed with age,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and clinical experience. Dental hygienists in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reported greater ease of utilizing these policies compared to those in dental clinics. Among the participants, 27.7% took pre- and post-maternity leave, 26.6% took parental leave, 16.9% had reduced working hours during pregnancy, 15.8% had reduced working hours during childhood,and 8.5% during family leave. To promote program uptake, participants suggested mandatory implementation across workplaces (68.4%), expanded support for substitute workers (48.6%), and increased education and promotion of government support (42.4%). Conclusion: While most dental hygienists were aware of the Maternity Protection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Policy, utilizing it proved challenging due to several factors. Organizational policies or practices may not fully implement this policy, while workplace culture could discourage its use. Unfair treatment and the lack of available substitutes further hindered access. To prevent career interruptions for dental hygienists due to pregnancy, childbirth, childcare, and family care, and to maintain career continuity, the dental community and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multifaceted social support system. This system should prioritize several key areas: strengthening policy promotion, fostering a family-friendly atmosphere, improving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developing a robust support system for substitute personnel.

재해의연금 지원의 신속성과 공평성 -이재민과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Promptness and Fairness of the Disaster Relief Donations Support -Focused on Perception of Disaster Victims and Civil Servants of Local Government-)

  • 이은애;양기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28-334
    • /
    • 2011
  • 재난은 거의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규모에 따라 각종 재난지원금과 의연금품이 지급된다. 그러나 재난지원금과 의연금품을 지급받는 이재민과 지급하는 담당공무원의 의연금 제원의 신속성과 공평성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재민은 의연금 배분의 실질적 수혜자이고, 시군구 공무원은 의연금 배분에 필요한 자료조사 및 대상자의 적법성 등을 판단하는 주체라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대상 그룹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의연금 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의 도출에 있어서 이들의 인식은 중요한 분석의 근간이 되므로 재해이재민과 담당 공무원의 인식조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재해의연금 지원의 신속성과 공평성에 대해 의연금의 직접적인 수혜자인 이재민과 피해조사를 담당하는 재난관리 담당 공무원, 그리고 전달자 역할을 하는 의연금 담당 공무원들의 의연금 지원의 신속성과 공평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의연금 지원제도 개선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공공부문의 서비스 혁신 수용에 관한 실증연구 :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회계담당자의 복식부기${\cdot}$발생주의 회계시스템 도입에 관한 사례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Adoption of Innovative Service System in Public Sectors : A Case Study on Implementing Double Entry Bookkeeping With Accrual Basis in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 편호범;한광현;김태웅
    • 경영과학
    • /
    • 제22권1호
    • /
    • pp.103-125
    • /
    • 2005
  •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adopt double entry bookkeeping with accrual basis in the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influencing attitudes of information producers toward the acceptance of the new service system. Several models are introduced, including Luder's Contingency Model, Cheng's Politico-Economic Model of Accounting Policy Choice,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 and Davis's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 set of constructs are developed as fellows : information producers' knowledges, experiences, altitudes toward the reform, characteristics of cash based accounting system and new accrual based system, a chief executive officer's willingness to support, availability of supporting systems, and social Influences from external environment. This study also incudes hey factors used in TAM,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Survey responses are gathered from accounting officers in government ministries and agencies as well as from local governments.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for information producers, bot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the new system are the best explanatory variable for the dependent variable. It has also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is explained best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knowledge and experiences, quality of current cash based s1n91e entry bookkeeping system, chief executive's support, Positive supporting systems and social influences. The useful guidelines for implementing double-entry bookkeeping system with accrual basis are also provided.

정부의 혁신 촉진 정책이 서비스 산업의 기술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s Innovation Promotion Policy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the Service Industry)

  • 우지환;김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69-482
    • /
    • 2019
  • 본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서비스 산업의 기술 혁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정부의 지원 제도, 규제, 혁신 촉진 정책이 서비스 산업에 속한 기업들의 기술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4,000개의 대한민국 서비스 산업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중 회귀 분석과 위계적 회기분석을 적용하여 개별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해서, 정부의 지원과 규제와 서비스 산업의 기술 혁신의 두 축인 공정 혁신 및 제품 혁신에 대한 영향력을 검정하였다. 또한, 정부의 혁신 정책이 정부의 지원 및 규제와 서비스 기업의 기술 혁신 성과를 조절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부의 지원 제도는 서비스 산업의 공정 혁신 및 제품 혁신 성과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만, 규제의 경우에는 공정 혁신 성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혁신 정책은 정부의 지원 제도 및 규제와 서비스 산업의 혁신 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업의 경영층에게 정부의 지원 제도와 혁신 정책을 정확히 파악해서 이를 활용하도록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정부가 서비스 산업의 기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혁신 정책의 기술 혁신 성과에 대한 조절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시대에 맞지 않는 규제들을 다시 정비하고, 기업의 규모나, 서비스 내용의 특성 등에 맞는 세분화된 정책을 만들어야 하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일본, 홍콩, 한국의 사회적기업 지원체계 및 지원방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upporting Systems and Methods of Social Enterprises of Hong Kong, Japan, and Korea)

  • 조상미;김진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2호
    • /
    • pp.287-317
    • /
    • 2014
  • 본 연구는 일본, 홍콩, 한국의 사회적기업의 지원체계와 지원방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장기적인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분석틀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사회적기업 지원체계는 한국이 제도적으로 잘 확립되어 있으나 중간지원조직과 관련 조직 네트워크의 연계와 협력이 다른 국가에 비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비해 일본은 중간지원조직과 관련 조직 네트워크가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협력하고 있어 사회적기업 활동들을 주로 하고 있는 NPO들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홍콩의 경우는 민간부문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되고 발전한 사회적기업 지원을 위한 중간지원조직과 관련 조직 네트워크가 매우 활발하고, 최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기업이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지원방법에 있어서 한국은 직접적 재정지원에 주력하고 있는데 비해 일본과 홍콩은 간접적 재정지원에 주력하고 있고, 3개국 모두 사업(경영)지원을 활발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하여, 협력 및 네트워크 활성화, 간접지원 강화, 중간지원조직 활성화를 통한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의 방향으로 정부정책을 선회할 것을 제언하였다.

  • PDF

Government R&D Support for SMEs: Policy Effects and Improvement Measures

  • LEE, SUNGHO;JO, JING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0권4호
    • /
    • pp.47-63
    • /
    • 2018
  • Government R&D grants for SMEs have risen to three trillion Korean won a year, placing Korea second among OECD nations. Indeed, analysis results have revealed that government support has not only expanded corporate R&D investment and the registr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ut has also increased investment in tangible and human assets and marketing. However, value added, sales and operating profit have lacked improvement owing to an ineffective recipient selection system that relies solely on qualitative assessments by technology experts. Nevertheless, if a predictive model is properly applied to the system, the causal effect on value added could increase by more than two fold.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focus on economic performance rather than technical achievements to develop such a model.

공공도서관의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재정지원 방안 (A Study on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System to Bridge the Regional Gap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차미경;송경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9-160
    • /
    • 2010
  • 본 연구는 보편적 권리로서의 지역주민의 정보접근권의 보장을 위해 공공도서관 기반시설의 지역 간 격차 해소가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중앙정부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효과적인 재정지원 방안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 2008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입력된 공공도서관 연면적, 사서 수, 장서수, 예산, 자료구입비 등을 16개 광역지자체 별 인구 1인당 및 1관 당 평균을 비교 분석하여 지역 간 격차 현황을 제시 하였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재원구조와 2010년 광역 지역발전특별회계 도입에 따른 재정지원내용의 변화와 문제점을 조사하여 국가가 편성하는 국고보조금제도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 재정지원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