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vernment records

검색결과 586건 처리시간 0.026초

중국 고대 수산업의 변화와 발전에 관한 연구

  • 조원일;김종규
    • 중국학논총
    • /
    • 제71호
    • /
    • pp.237-254
    • /
    • 2021
  • It can be said that the fishery industry in ancient China did not originally occupy a very special economic area even when it was started. At that time, the fishery industry was only treated as a means for the livelihood of ordinary people. Over time, the value and economic benefit of aquatic products began to be valued. Its origin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Yugong(禹貢), which was established by King Yu. These records made it clear that the ancient kings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economic value of seafood and the importance of the fishery industry in the government. Thus, the fishery industry was established as a part of the socio-economic system. In ancient China, the fishery industry was one of the industrial systems that supported traditional Chinese society along with agriculture. It will be possible to analyze the way of thinking of modern Chinese people on the fishery industry through the study of the fishery industry in the traditional era of China. And based on this analysis, I think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a certain extent in establish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ountermeasures against the reckless overfishing of fishery resources by Chinese fishermen in the West Sea, which is currently a problem.

데이터처리전문기관의 역할 및 보안 강화방안 연구: 버몬트주 데이터브로커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 and Security Enhancement of the Expert Data Processing Agency: Focusing on a Comparison of Data Brokers in Vermont)

  • 김수한;권헌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47
    • /
    • 2023
  • With the recent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cloud computing, and 5G, data is being produced and digitized in unprecedented amounts. As a result, data has emerged as a critical resource for the future economy, and overseas countries have been revising laws for data protection and utilization. In Korea, the 'Data 3 Act' was revised in 2020 to introduce institutional measures that classify personal information,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anonymous information for research, statistics, and preservation of public records. Among them,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added value of data by combining pseudonymized personal information, and to this end, "the Expert Data Combination Agency" and "the Expert Data Agenc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xpert Data Processing Agency) system were introduced. In comparison to these domestic systems, we would like to analyze similar overseas systems, and it was recently confirmed that the Vermont government in the United States enacted the first "Data Broker Act" in the United States as a measure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held by data brokers. In this study, we aim to compare and analyz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Expert Data Processing Agency" and "Data Broker,"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designated standards, security measures, etc., in order to present ways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data economy and enhance information protection.

소애 맹화섭 선생의 생애에 대한 연구 (A Study of Maeng Hwa-seop's Life)

  • 박영환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1-118
    • /
    • 2022
  • Maeng Hwa-seop (1915-2002) was born in 1915 in the Pundang neighborhood of Tolma township in Kwangju prefecture. After graduating from Pangyo primary school, he got a job at House of Gold and Jade (Kŭmhodong) in Dangjutong at the age of 17 and started learning Korean medicine. In 1939, he worked as a rural government official in Kwangju prefecture and became famous as a good doctor. In 1957, he got a license in Korean medicine and in 1958, he opened the Maeng Hwa-seop Korean medicine clinic in Anam-dong 5-ga. He started a clinical lecture, which began in 1970 for Professor Maeng Woong-jae, continued until 2001 and trained many students. Maeng died in May 2002 at the age of 88. He left clinical records as an outstanding clinician. He was not only famous among Korean medical doctors, but also a great scholar who was widely respected for his noble personality. His book, Guide to Medical Prescriptions (Pangyak chich'im 1976), is a clinical textbook and history book representing Korean medicine in the 20th century, and is still widely used in medical contexts.

Unleashing the Power of Digitization: National Mission for Manuscript's Analysis and Special Efforts in Enhancing Manuscript Usability and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in Uttar Pradesh

  • Priyanka Jaiswal;Abhay Chaurasia;Ajay Pratap Singh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 7-18
    • /
    • 2024
  •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activities and efforts of the National Mission for Manuscripts (NMM) in the Uttar Pradesh region, which is known for its vast area, population, and rich cultural heritage. The aim is to examine the digitization work carried out by the NMM in this area, as digitiz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preserving our country's rich ancient heritage. The importance of safeguarding cultural heritage is universally acknowledged, and digitization serves as a vital tool in this endeavour. Through digitization, we can protect and preserve our heritage for future generations.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several commendable initiatives for manuscript digitization, and the NMM stands as a prominent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NMM possesses a diverse range of cultural heritage resources, including photographic slides, photographs, digital images, photo-negatives, motion pictures, audio spools, microfiche, LP records, endangered manuscripts, audio and videotapes, digital images, microfilms, digital audio and video files, and more. The mission has undertaken extensive digitization efforts to conserve and provide access to a significant portion of its collection. This study is unique as it explores the digital conservation and digitization practices of a premier institute working in the field of art and cultural heritage in Uttar Pradesh. With its extensive network of institutions, the mission aims to cover all manuscripts, digitize them, and consolidate them on a common platform for easy access and utilization.

1926년부터 1936년까지의 일제(日帝)의 한국(韓國) 국유림정책(國有林政策)에 관한 연구(硏究) - 조선임정계획서(朝鮮林政計劃書)(1926)중 요존국유림(要存國有林) 관련계획(關聯計劃)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National Forest Policy from 1926 to 1936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Indispensable National Forest in [Choson Forestry Policy Plan] -)

  • 배재수;윤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381-395
    • /
    • 1996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임정에 큰 영향을 끼친 "조선임정계획(朝鮮林政計劃)"의 요존국유림 관련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1926년부터 1936년까지의 일제의 한국 국유림정책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시기 국유림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던 조선임정계획(朝鮮林政計劃)의 계획과 실적을 비교하여 그 성격을 도출하였다. 조선임정계획은 1)제1차 세계대전 이후 목재수요의 급증에 대비하기 위해 2)분산된 국유림관리조직의 통합을 위해 3)일본에서의 영림국서제도(營林局署制度)의 설치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1)수입의 보속만을 추구한 사업안 2)10년만에 두배로 늘어난 벌채량 3)벌채적지의 13%만의 인공조림 4)산림축적의 감소가 대부분 국유림에서 이루어졌다는 점 5)영림서의 계속적인 축소 통폐합 6)국유림에서의 막대한 이득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러한 임정계획 및 실적을 통해, 1926년부터 1936년까지의 기간은 '보속적인 산림경영'을 추구했다기보다는 증벌을 통한 제국주의의 초과이윤을 실현한 '국유림 수탈정책'의 실현에 그 목적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조선시대 관상감의 직제 및 시험 제도에 관한 연구: 천문학 부서를 중심으로 (On the Study of the Organization and the Examination System of Gwansanggam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Astronomy Division)

  • 이기원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8-115
    • /
    • 2008
  • 조선(朝鮮)시대 관상감(觀象監)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수(曆數), 점산(占算), 측후(測候)등의 업무를 관장했던 왕립기관이었다. 그 왕립기관은 학문에 따라 천문학(天文學), 지리학(地理學), 그리고 명과학(命課學) 세 개의 부서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그 중 천문학 부서는 오늘날 지구과학의 학문 분야들과도 일맥상통하는 업무들을 수행했었다. 본 논문에서는 천문학 부서를 중심으로 관상감의 직제와 시험제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상감은 조선시대 왕립기관들 중의 하나였기 때문에 직제, 기능, 그리고 과거시험(科擧試驗)에 관한 규정들은 그 시대에 발간된 법전들에 법으로 명시되어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법전들, 관서지들, 그리고 실록(實錄)의 기록들에 대한 연구로부터, 먼저 우리는 관상감은 인원수의 규모면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것 보다 더 큰 규모임을 알았다. 왜냐하면 관상감 인원의 추정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 있어서는 서리(胥吏), 관노비, 장인(匠人)등과 같은 하급계층들은 무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는 관상감 관원이 되기 위한 과거시험에 사용된 천문학 교재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내용에 있어서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도는 과거시험에 사용된 천문학 교재들에 대한 체계적인 첫 번째 연구이다. 마지막으로, 관상감을 포함한 당시 예전(禮典)에 속했던 기관들의 과거시험에 적용되었던 몇 가지 시험 규정들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에 대한 소고 -히틀러 참나무의 진실- (A Study on 'Pin Oak at Son keechung Memorial Park' -Truth of Hitler Oaks-)

  • 이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8-57
    • /
    • 2020
  • 본 논문은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5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는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의 내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1936년 손기정 선수의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제패는 일제강점기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던 우리 민족에게 커다란 자부심과 민족정기를 북돋아 주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손기정 선수가 부상으로 받은 묘목은 현재 서울역 서쪽 만리동 언덕의 손기정 체육공원에 자라고 있으며, 미국산 대왕참나무(Quercus palustris)이다. 1936년 개최된 제11회 베를린 올림픽은 히틀러가 독일 게르만족의 역사와 문화의 우수성을 과시하기 위한 절호의 기회인데, 독일산 참나무 대신 미국산 대왕참나무를 수여한다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 서울시와 각종 매체에는 이를 히틀러의 단순 착오에 의한 결과라거나 다소 억지스러운 추측으로 그 내력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당시 우리나라의 신문 기사와 독일 일간지 기사 및 최근 소개된 독일 주간 유력지 슈피겔(Der Spiegel) 기사 등을 근거로 손기정 선수가 받은 월계수가 로부르참나무(Quercus robur)였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여러 정황을 근거로, 원래 수여 받은 로부르참나무를 손기정 기념공원 내에 식재하고, 새롭게 밝혀진 내력을 서울시 홈페이지와 각종 기록에 고지하기를 제언하고자 한다.

해외기업의 중국 수처리 BOT시장 참여 저해 위험요인 분석 : 국내 EPC 건설기업의 관점 (Risk Assessment on the Water BOT Business Participation in China : Domestic EPC Contractor's View)

  • 최재호;;이승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D호
    • /
    • pp.695-703
    • /
    • 2008
  • 중국 수처리 시장의 지속적 성장세 가운데 국내 환경기업은 BOT 방식을 통한 환경산업의 중국진출이라는 측면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 시장은 2000년 이후 중국기업들의 급성장과 동시에 많은 해외기업이 후퇴한 결과 소수 해외기업의 시장 독점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해외기업의 시장탈피 현상과 관련하여 해외기업의 중국 수처리 BOT시장 참여의사결정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주요 시장참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국내건설기업의 관점에서 개별 요인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정수익 금지조항 발효 및 낮은 물 사용료와 같은 수익 불확실성과 관련된 요인들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BOT사업에서 EPC업체 선정시 경쟁입찰의 의무화와 건설법인의 설립 의무화 등도 주요 영향변수로 조사되었다. 후자가 문제시 되는 원인은 현지의 대표적 다국적 전문 수처리 기업은 BOT사업 모델을 투자를 수반한 운영사업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국내기업은 대다수 시장후퇴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해외 BOT 진출시 EPC사업 수주를 통한 조기 투자회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 정부는 본 연구결과물을 근거로 중국내 중장기 수처리시설 수요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장경쟁률 향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국내기업은 중국내 수처리 BOT시장 진입시 주요 의사결정 판단기준과 사업 참여의사결정 시스템 개정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국가기록원의 기록물 정리기술의 현황과 개선방안 (The Present State and Solutions for Archival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 of Korea)

  • 윤주범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8-162
    • /
    • 2004
  • 기록물 보존기관에서의 정리와 기술은 기록물 관리와 열람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가기록원(NRAS; National Records & Archinves Service)에서도 역시 정리와 기술에 대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기록보존 선진국과 비교하면 이론 및 실제 처리과정에서 많은 차이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론에 있어서 큰 차이는, 기록물의 기능분류와 원질서의 유지나 다계층기술이 정리 기술의 실제 업무처리에 반영되고 있지 않다. 즉, 기록물이 도서의 정리방식과 같이 낱권 단위로 등록순서에 따라 정리된 후 서가에 배열되고 있다. 이 외에도, 기록물 생산기관의 변천내력이나 색인어의 관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기록물의 이용이 매우 불편하다. 이들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정리와 기술의 의의와 중요성, 국가기록원의 정리와 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외국의 국립기록보존소 기술지침을 소개하였다. 다음은 ISAD(G)를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논문은 총 8장으로 구성하였는데, 제1장 서론, 제2장 정리 기술의 의의와 중요성 및 제8장 결론을 제외한 제3장부터 제7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3장에서는 국가기록원의 정리 기술 현황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록물관리 시스템(Govt) 운영현황과 사용하는 기술항목을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미국, 영국 및 호주의 국립기록보존소 기술지침 소개로 첫째, 미국의 국립기록관리청(NARA)의 기록물 생명주기 데이터 준수사항 지침(Lifecycle Data Requirements Guide)을 소개하였으며, 기술 항목중 타이틀요소 1개에 대한 기술요령을 소개하였다. 둘째, 영국국립기록보존소(Public Records Office)의 기술지침을 소개하였다. 기술지침의 명칭은 영국국립기록보존소 편목지침(National Archives Cataloguing Guidelines Introduction)이다.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PROCAT"라는 전산목록시스템을 소개하였다. 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7단계 기술에 대해 설명하였다. 셋째, 호주 국립기록보존소(NAA;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의 기록물 시스템은 CRS(Commonwealth Record Series)이다. 이 시스템을 위한 기록물 등록과 기술절차(Registration &description procedures for CRS system)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5장에서는 ISAD(G)를 적용한 사례로, 국가기록원이 과거 총무처 소청심사위원회에서 생산한 기록물의 기술서를 소개하였다. 제6장, 7장에서는, ISAD(G)의 사용결과 문제점, 각 기관 처리과에서 문서제목 부여, 기술항목 부족, 기록물 종류나 유형분류, 관리번호, 상세한 기술규칙의 부재, 기능분류나 계층기술, 입력포맷, 서가배열, 전거통제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개선 방안으로는 계층분류 체계의 마련, 관리번호 및 배열순서의 개선, 전거제어시스템 개발, 기술 입력항목의 증가, 기술규칙 제정 및 입력포맷개선 마련 등이다. 현재 국가기록원의 정리 기술 개선의 가장 좋은 방법은 기록물관리 선진국 국립기록보존소의 표준, 지침, 매뉴얼의 상세한 검토이다. 따라서 학계에서 이 분야의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증언자료의 비판적 활용 - 6.25전쟁 시기 유격대의 경우" ("Critical Application of Witness Commentaries: The Case of Guerrilla Warfare in the Korean War")

  • 조성훈
    • 기록학연구
    • /
    • 제12호
    • /
    • pp.137-178
    • /
    • 2005
  • The anticommunist guerrillas' activities that aretheconcern of this article took place largely in North Korea or behind the enemy-held lines. Verifying their history is accordingly difficult and requires careful attention, but despite their active operations the military as well as the scholarly community have been lax in studying them. The Korean War came to be perceived as a traditional, limited war with regular battles, so that the studies addressed mostly the regular operations, and guerrilla warfare is remembered as an almost 'exclusive property' of the communist invaders; a small wonder that the anticommunist guerrillas have not been studied much and the collection of materials neglected. Therefore, in contrast with the witness accounts concerning regular battles, witness resources were of a small volume about these "patriots without the service numbers." For the above reasons the guerrilla participants and their later-organized fellowships took to the task of leaving records and compiling the histories of their units. They became active preservers of history in order to inform later generations of their works and also to secure deserved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in a world where none recognized their achievements. For instance, 4th Donkey Unit published witness accounts in addition to a unit history, and left video-recordings of guerrilla witnesses before any institute systematized the oral history of the guerrillas. In the case of Kyulsa ("Resolved to Die") Guerrilla Unit, the unit history was 10 times revised and expanded upon for publication, contributing substantially to the recovery of anticommunist guerrilla history which had almost totally lacked documented resources. Now because the guerrilla-related witness accounts were produced through fellowship societies and not individually, it often took the form of 'collective memory.' As a result, though thousands of former guerrillas remain surviving, the scarcity of numerous versions of, or perspectives upon, an event renders difficult an objective approach to the historical truth. Even requests to verify the service of a guerrilla member or to apply for decoration or government benefits for those killed in action, the process is taken care of not at the hands of the first party but the veteran society, so that a variety of opinions are not available for consideration. Moreover, some accounts were taken by American military personnel, and since some historians, unaware of official documents or evaluation of achievements, tended to center the records around their own units and especially to exaggerate the units' performances, they often featured factual errors. Thefollowing is the means to utilize positively the aforementioned type of witness accounts in military history research. It involves the active use of military historical detachments (MHD). As in the examples of those dispatched by the American forces during the Korean War, experts should be dispatched during, and not just after, wartimes. By considering and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among various perspectives on the same historical event, even without extra documented resources it is possibleto arrive at theerrors or questionable points of the oral accounts, supplementing the additional accounts. Therefore any time lapses between witness accounts must be kept in consideration. Moreover when the oral accounts come from a group such as participants in the same guerrilla unit or operation, a standardized list of items ought to be put to use. Education in oral history is necessary not just for the training of experts. In America wherethefield sees much activity, it is used not only in college or graduate programs but also in elementary and lifetime educational processes. In comparison in our nation, and especially in historical disciplines, methodological insistence upon documented evidences prevails in the main, and in the fields of nationalist movement or modern history, oral accounts do not receive adequate attention. Like ancient documents and monuments, oral history also needs to be made a regular part of diverse resource materials at our academic institutes for history. Courses in memory and history, such as those in American colleges, are available possi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