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ten free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18초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of protein sources associated with exogenous enzymes for broilers

  • Fortes, Bruno Duarte Alves;Mello, Heloisa Helena de Carvalho;Cafe, Marcos Barcellos;Arnhold, Emmanuel;Stringhini, Jose Henrique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7호
    • /
    • pp.1030-1038
    • /
    • 2022
  • Objectiv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nzyme complex (EC) on the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mino acids (AA) in corn gluten meal (60%) (CGM), soy protein concentrate (SPC), dried bovine plasma (DBP), and poultry offal meal (POM). Experiments I and II were conducted with broilers in the pre-starter (1 to 7 days of age) and starter (1 to 21 days of age) phases, respectively. Methods: The treatments consisted of a protein-free diet (PFD) containing feedstuffs either supplemented with EC (xylanase, amylase, and protease) or not. In Experiment I, a total of 360 one-day-old male Cobb-500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housed in 45 pens, resulting in five replicates with eight birds each, totalizing eight treatments and one PFD group. In Experiment II a total of 270 one-day-old male Cobb-500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housed in 45 pens, resulting in five replicates with six birds each, totalizing eight treatments and one PFD group. The PFD groups were used to assess the endogenous AA losses. The birds were slaughtered to collect the ileal content. Results: In the pre-starter phase, the SID of arginine, branched chain-aminoacids, glycine, serine, aspartate, and glutamic acid increased with EC addition. The EC improved the SID of arginine and glutamic acid of CGM; the SID of valine and cystine of SPC; the SID of leucine, glycine, and aspartate of POM and the SID of isoleucine of DBP. In the starter phase, the SID of isoleucine, phenylalanine and glycine increased in EC-supplemented diets. The EC improved the SID of isoleucine of DBP; the SID of phenylalanine of CGM and POM. The SID of AA of SPC was not influenced by the EC. Conclusion: The addition of an EC to broiler pre-starter and starter diets is efficient in increasing the SID of AA on SPC, POM, and DBP.

Effects of Level and Degradability of Dietary Protein on Ruminal Fermentation and Concentrations of Soluble Non-ammonia Nitrogen in Ruminal and Omasal Digesta of Hanwoo Steers

  • Oh, Young-Kyoon;Kim, Jeong-Hoon;Kim, Kyoung-Hoon;Choi, Chang-Won;Kang, Su-Won;Nam, In-Sik;Kim, Do-Hyung;Song, Man-Kang;Kim, Chang-Won;Park, Keun-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3호
    • /
    • pp.392-403
    • /
    • 2008
  • Four ruminally fistulated Hanwoo steer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evel and degradability of dietary protein on ruminal fermentation, blood metabolites and concentration of soluble non-ammonia nitrogen (SNAN) in ruminal (RD) and omasal digesta (O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with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Factors were protein supplements with two ruminal crude protein (CP) degradabilities, corn gluten meal (CGM) that was low in degradability (rumen-degraded protein (RDP), 23.4% CP) or soybean meal (SBM) that was high in degradability (RDP, 62.1% CP), and two feeding levels of CP (12.2 or 15.9% dry matter). Ruminal fermentation rates and plasma metabolite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from the RD collected at 2-h intervals and from the blood taken by jugular puncture, respectively. The SNAN fractions (free amino acid, peptide and soluble protein) in RD and OD collected at 2-h intervals were assessed by ninhydrin assay. Mean ruminal ammonia concentrations were 40.5, 74.8, 103.4 and 127.0 mg/L for low CGM, high CGM, low SBM and high SBM, respectivel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for CP level and p<0.001 for CP degradability). Blood urea nitrogen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by high CP level (p<0.001) but unaffected by CP degrad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p<0.05) interaction between level and degradability of CP on blood albumin concentrations. Albumin was decreased to a greater extent by increasing degradability of low CP diets (0.26 g/dl) compared with high CP diets (0.02 g/dl). Concentrations of each SNAN fraction in RD (p<0.01) and OD (p<0.05) for high CP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for low CP diets, except for peptides but concentrations of the sum of peptide and free amino acid in RD and OD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high CP diets than for low CP diets. Soybean meal diets increased free amino acid and peptide concentrations in both RD (p<0.01) and OD (p<0.05) compared to CGM diets. High level and greater degradability of CP increased (p<0.001)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SNAN in RD and 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DP contents, increased by higher level and degradability of dietary protein, may increase release of free amino acids, peptides and soluble proteins in the rumen and omasum from ruminal degradation and solubilization of dietary proteins. Because SNAN in OD indicates the terminal product of ruminal metabolism, increasing CP level and degradability appears to increase the amount of intestine-available nitrogen in the liquid phase.

쌀가루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different types of rice flour)

  • 추지혜;최진희;고은성;최해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30-641
    • /
    • 2023
  • 본 연구는 쌀소비량 증가의 일환인 가공용 쌀가루를 비교하고자,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박력쌀가루(SRF), 바로미 2(FRF), 가루멥쌀(RF)을 이용하여 머핀을 제조하여보고 박력분(CON)을 대조군으로 하여 품질 및 기호도 특성을 확인하였다. 품질 특성은 입도 분석, 수분함량, pH, 색도, 비용적, 굽기손실률, 조직감, Image J를 실시하였고,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호도 및 특성 강도 검사를 진행하였다. 머핀에 사용된 쌀가루의 입자 체적의 평균 직경은 CON, SRF, FRF, RF가 각각 44.79, 53.49, 84.94, 249.20 ㎛로 나타났다. 쌀가루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머핀의 수분함량은 CON, SRF, RF, FRF순으로 나타났다. pH는 쌀가루의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머핀의 L값과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a값은 RF군만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내었다. 비용적 및 굽기손실률은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은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경도, 검성, 씹힘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면 및 기공 관찰 결과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기공 수는 적어지고 기공의 크기는 커져 조직감 및 비용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호도 평가 시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SRF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쌀가루 머핀 제조 시 박력쌀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은 품질 및 기호도 특성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쌀 소비 촉진을 위한 다양한 쌀 가공식품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초다수성 쌀가루를 이용한 쿠키용 냉동반죽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cookie dough using rice flour of super yield Korean rice varieties)

  • 이나영;하기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69
    • /
    • 2015
  • 초다수성 쌀품종인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용 쌀냉동 반죽의 품질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초다수성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은 수분 함량, 회분 함량, 단백질 함량, 아밀로오즈 함량, 손상전분, 수분 결합력, 입도 및 색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 대조구의 수분함량 및 회분 함량은 각각 7.70, 7.28, 13.14% 및 0.39, 0.35, 0.39%로 나타났다. 또한 단백질 함량의 경우 대조구가 8.68%로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6.62 및 6.05%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아밀로오즈 함량은 각각 19.05 및 23.04%를 나타냈다. 손상전분의 경우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는 각각 13.73 및 14.09%의 전분 손상도를 나타냈으며 대조구의 경우 4.45%의 전분 손상도를 나타내어 쌀가루의 전분 손상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수분 결합력의 경우 대조구의 경우 177.69%의 수분 결합력을 보인 반면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의 수분 결합력은 270.50 및 281.17%로 높은 수분 결합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한아름 및 다산2호 쌀가루의 평균 입도는 각각 50.05 및 $49.50{\mu}m$를 나타냈으며 대조구의 경우 $48.54{\mu}m$의 평균 입도를 나타냈다. 시료의 색도 분석의 경우 대조구 명도는 92.63을 나타낸 반면 한아름 및 다산 2호 쌀가루는 93.72 및 93.51을 나타내어 대조구보다 높은 명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초다수성 쌀가루를 이용한 쿠키용 쌀냉동반죽의 해동시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쌀냉동반죽 이용 쿠키의 명도는 해동 시간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쿠키용 쌀냉동반죽을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의 직경은 해동 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쿠키 두께의 경우 다산 2호 쌀가루 이용한 냉동반죽을 30분간 해동 후 구운 쿠키의 두께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쌀냉동반죽을 이용하여 제조한 쿠키의 경도를 분석한 결과 초다수성 쌀가루 중 다산 2호 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한 냉동반죽을 해동 후 바로 구운 쿠키의 경도가 980.78 g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압출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및 밀가루 대체 쿠키 특성 (Physico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Flours and a Wheat Flour Substitute for Cookie Application)

  • 위경진;이인애;강태영;민주홍;강위수;고상훈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404-412
    • /
    • 2011
  • 쌀가루를 온도와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압출 한 쌀가루의 특성과 밀가루와 7:3의 비율로 혼합된 쿠키의 품질을 경도,색도,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쿠키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압출 쌀가루는 호화가 이루어져 $\alpha$ 화 되었으며 압출온도가 100$^{\circ}C$에서 130$^{\circ}C$로 증가할수록 점도가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수분함량이 25%에서 27%로 증가할수록 점도 가 다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압출쌀가루의 수분흡수력, 수분용해도, 팽윤력은 대체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30$^{\circ}C$와 80$^{\circ}C$에서 수분용해도와 팽윤력은 생쌀가루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으나 80$^{\circ}C$에서는 130$^{\circ}C$ 압출쌀가루는 생쌀가루와 비슷하였다. 압출 공정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분용해도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밀가루와 각 압출쌀가루가 혼합된 쿠키는 밀가루 쿠키와 비교하여 경도가 높았으며 퍼짐성지수는 낮았다. 100$^{\circ}C$ 압출쌀가루가 첨가된 쿠키는 색이 짙었으며 130$^{\circ}C$ 압출쌀가루가 첨가된 쿠키는 밀가루와 비슷하였다. 압출쌀가루가 첨가된 쿠키는 관능 평가에서는 향기, 맛,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며, 부드러운 정도는 비슷한 평가를 받았다. 압출쌀가루를 사용하여 밀가루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압출쌀가루는 밀가루 함량을 줄여 사용할 때 가공적성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분야로 압출쌀가루 연구를 통해 쌀의 활용을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