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tathione S-transferase M3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2초

Preliminary X-ray Studies of a New Crystal form of 28 kDa Clonorchis sinensis Glutathione S-Transferase

  • Cho, Youn-Hye;Kim, Young-Kwan;Kim, Seung-Joon;Hong, Seong-Jong;Chung, Yong-Je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8-140
    • /
    • 2005
  • A new crystal of helminth glutathione S-transferase, 28 kDa isozyme from Clonorchis sinensis has been grown from a 20% PEG MME 550 solution containing 50 mM $CaCl_{2}$ in 0.1 M bis-Tris buffer (pH 6.5) in $2{\sim}3$ days. The crystals diffract to $3.0{\AA}$ resolution and belong to the orthorhombic space group $P2_{1}2_{1}2_{1}$ with cell parameters $a=62.58{\AA},\;b=69.92{\AA},\;and\;c=339.67{\AA}$.

MCF-7 세포주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과발현에 의한 방사선 내성의 유도 (Inductoin of Radioresistance by Overexpress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in MCF-7 Cells)

  • 김재철;신세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81-388
    • /
    • 2001
  • 목적 : 사람의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주를 대상으로 gul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유전자의 발현 정도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한 hGSTK1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고 hGSTK1 유전자를 과발현시킴으로써 hGSTK1이 방사선 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관찰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사람의 모유두 세포 pBluescript phagemid cDNA library로부터 선별한 hGSTK1 cDNA를 pcDNA3.1/Myc-His (+) vector에 결합시킨 후, 사람의 유방암 세포인 MCF극 세포에 이입시켰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극 세포와 hGSTK1을 이입시킨 MCF-7 세포에 $2\~12\;Gy$의 엑스선을 조사하여 생존 분획을 비교하였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7 세포와 hGSTK1을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방사선량, 분할조사 여부,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hGSTK1 mRNA 발현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RT-PCR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기 전의 MCF-7 세포보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생존 분획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7 세포에서 2 Gy 생존 분획은 $0.3250{\pm}0.0319$였고,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2 Gy 생존 분획은 $0.4125{\pm}0.0325$였다 (p<0.05). 그러나 RT-PCR에 의한 hGSTK1 mRNA 분석에서는 방사선량, 분할조사 여부,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발현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 : MCF-7 세포주에서 hGSTK1의 과발현은 방사선 감수성에 영향을 미쳐서 MCF-7 세포의 생존 분획을 증가 시켰다고 볼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정확한 기전을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초기배아 발생과 glutathione S-transferase (GST)의 발현에 대한 bisphenol A의 영향 (Effect of Bisphenol A on Early Embryonic Development and the Express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in the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 황운기;김대한;류향미;이주욱;박승윤;강한승
    • 환경생물
    • /
    • 제32권3호
    • /
    • pp.234-242
    • /
    • 2014
  • 본 연구는 시험생물로서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를 이용하여 내분비계장애물질인 bisphenol A(BPA)의 독성 및 시험생물로서의 적합성 등을 조사하였다. 말똥성게(H. pulcherrimus)의 수정 및 정상 배아발생에 미치는 BPA의 독성을 보기 위하여 농도(0, 300, 500, 800, 1000, 1500 ppb)에서 조사하였다. BPA 노출 시 수정률은 시험구간 내의 BPA 처리농도와 관계없이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정상 배아발생률은 BPA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 800 ppb 농도부터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정상배아발생에 대한 독성값은 반수영향농도 ($EC_{50}$) 1056.1 ppb, 95% Cl 981.8~1163.9 ppb로 나타났다. 또한 무영향농도 (NOEC)와 최소영향농도(LOEC)는 500 ppb 및 800 ppb로 나타났다. BPA에 노출된 배아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이 정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BPA에 노출된 pluteus 유생을 이용한 glutathione-S-transferase (GST)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해본 결과 GST 유전자의 발현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말똥성게 (H. pulcherrimus)의 초기 배아 발생 과정 중 800 ppb 이상에서 독성을 나타냈으며 GST 유전자는 BPA 노출에 따른 위해성 평가에 생체지표유전자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Lack of Associa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M3 Gene Polymorphism with the Susceptibility of Lung Cancer

  • Feng, Xu;Dong, Chun-Qiang;Shi, Jun-Jie;Zhou, Hua-Fu;He, Wei;Zheng, Bao-S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465-4468
    • /
    • 2012
  • Objective: The conclusions of published re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M3 (GSTM3) A/B gene polymorphism and the risk of lung cancer are still debated. This meta-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GSTM3 and the risk of lung cancer. Methods: Association investigations were identified from PubMed, Embase, and Cochrane Library, and eligible studies were included and synthesized using a meta-analysis method. Results: Eight reports were included into this meta-analysis for the association of GSTM3 A/B gene polymorphism and lung cancer susceptibility, covering 1,854 patients with lung cancer and 1,926 controls. No association between the GSTM3 A/B gene polymorphism and lung cancer was found in this meta-analysis (B allele: OR = 1.25, 95% CI: 0.89-1.76, P = 0.20; BB genotype: OR = 1.53, 95% CI: 0.71-3.32, P = 0.28; AA genotype: OR = 0.85, 95% CI: 0.59-1.23, P = 0.39). Conclusions: The GSTM3 A/B gene polymorphism is not associated with lung cancer susceptibility. However, mor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STM3 A/B gene polymorphism and the risk of lung cancer should be performed in the future.

Quizalofop-Ethyl이 콩과 옥수수의 Glutathione-S-Transferases와 Carboxylester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izalofop-Ethyl on Glutathione-S-Transferases and Carboxylesterase Activity of Soybean and Corn Plants)

  • 김희권;김명석;박인진;서용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5-372
    • /
    • 1997
  • 콩과 옥수수에서 glutatione-S-transferases와 carboxylesterase의 생화학적 특성과 quizalofopethyl 처리에 따른 식물체내 효소의 활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GSTS의 최적 pH는 8.2이고, Km값은 콩 $6.7{\times}10^{-3}M$, 옥수수 $2.5{\times}10^{-3}M$이었으며, Vmax는 콩 50nmole/mg/min, 옥수수 20nmole/mg/min이었다. Carboxylesterase의 최적 pH는 6.2${\sim}$7.0 범위이고, Km값은 콩 $4.2{\times}10^{-4}M$, 옥수수 $2.5{\times}10^{-4}M$이었으며, Vmax는 콩 33 nmole/mg/min, 옥수수 10nmole/mg/min이었다. 콩과 옥수수에 살포된 quizalofop-ethyl은 콩과 옥수수의 GSTs와 carboxy-lesterase의 활성을 감소시켰고, quizalofop-ethyl 80ppm을 처리했을때 콩은 10일이 경과후 회복되었지만, 옥수수는 3일이 경과후 고사하였다.

  • PDF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에서 분리한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적 고찰 및 발현분석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a Glutathione S-Transferase cDNA from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문지영;박은희;공희정;김동균;김영옥;김우진;안철민;남보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9-4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대용량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GST유전자의 전장 cDNA를 동정하였다. 북방전복 GST 유전자의 총 길이는 1669 bp로 672 bp의 ORF는 총 223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고 있으며 등전점은 5.69, 분자량은 25.8 kDa으로 예측되었다. 북방전복 GST아미노산 서열은 둥근전복과 지중해 담치와 같은 패류의 GSTA와 가장 유사성이 높았으며 계통수 분석을 통해 GSTA와 하나의 그룹을 이루었다. 북방전복 GST에는 GSTA의 특징을 갖는 두 site (N-말단의 G-site, C-말단의 H-site)가 보존되어 있었고 효소활성과 구조 유지에 중요한 잔기가 종간에 매우 보존되어 있었다. 북방전복 GST 유전자의 mRNA는 관찰된 모든 조직에서 발현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투막, 아가미, 간췌장, 소화관에서 높은 발현이 확인되었다. 북방전복의 GST는 비브리오균을 인위감염 시킨 전복의 간췌장에서 감염 후 1시간 뒤 발현이 급격히 증가했다가 3시간까지 증가한 뒤 감소하였고, 혈구세포에서는 감염 3시간 경과 후 발현 정도가 최고로 증가했다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북방전복 GST는 alpha class GST의 특징을 가지며 병원체 감염에 따른 면역반응 조절에 관여할 것이라 생각되며 병원균 감염에 따른 바이오마커로 활용가능 할 것이라 예상된다.

염분과 저온에 대한 내성증진을 위한 GST 유전자의 과발현 (Increase of Salt and Low Temperature Tolerance by Overexpressing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Gene)

  • Jun Chol Kim;Il Seop Kim;Won Hee Kang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9-143
    • /
    • 2002
  • 목화의 Glutathione S-Transferase(GST) cDNA를 cloning한 뒤 담배식물체에서 과발현시킨 뒤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Northern blot 분석으로 목화의 GST 유전자가 성공적으로 담배식물체의 염색체에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Type I Type II의 전사체들이 인지되었고 이 보고에서는 Type II 전사체들의 역할을 기술하였다. Type II 전사체들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들은 야생형 또는 비형질전환체와 비교하였을 때 약 1.5배 이상의 GST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GST 효소의 활성은 1-chloro-2,4-dinitrobenzene (CDNB)와 글루타치온을 기질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담배식물체에서 목화 GST CDNA의 과발현은 이 유전자가 기능을 갖는 단백질로 번역이 될 수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형질전환된 담배 유묘를 저온($15^{\circ}C$)과 광이 있는 상태에서 키워 GST유전자의 역할에 대한 기능을 시험하였다. GST 유전자의 형질 전환체들은 대조구의 유묘들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성장이 좋았다. 소금에 대한 내성 시험에서도 효과를 보였다. 0, 50, 100, 150, and 200 mM NaCl농도에서 생장시험을 하였다. 50, 100 mM NaCl농도에서 GST 형질전환 유묘들은 성장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성을 보였으나 0, 150, 그리고 200mM의 소금농도에서는 성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ite-directed Mutagenesis of Cysteine Residues in Phi-class Glutathione S-transferase F3 from Oryza sativa

  • Jo, Hyun-Joo;Lee, Ju-Won;Noh, Jin-Seok;Kong, Kwang-H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4169-4172
    • /
    • 2012
  • To elucidate the roles of cysteine residues in rice Phi-class GST F3, in this study, all three cysteine residues were replaced with alanine by site-directed mutagenesis in order to obtain mutants C22A, C73A and C77A. Three mutant enzymes wer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purified to electrophoretic homogeneity by affinity chromatography on immobilized GSH. The substitutions of Cys73 and Cys77 residues in OsGSTF3 with alanine did not affect the glutathione conjugation activities, showing non-essentiality of these residues. On the other hand, the substitution of Cys22 residue with alanine resulted in approximately a 60% loss of specific activity toward ethacrynic acid. Moreover, the ${K_m}^{CDNB}$ value of the mutant C22A was approximately 2.2 fold larger than that of the wild type. From these results, the evolutionally conserved cysteine 22 residue seems to participate rather i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active site in OsGSTF3 by stabilizing the electrophilic substrates-binding site's conformation than in the substrate binding directly.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유전자 다형성과 항정신병약물로 유발된 하지불안증후군의 연관 연구 (Association between Antipsychotic-Induced Restless Legs Syndrom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M1, Gst-T1 and Gst-P1 Gene Polymorphisms)

  • 강승걸;박영민;김린;이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22권1호
    • /
    • pp.25-29
    • /
    • 2015
  • 목 적 :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 RLS)의 병인은 아직 불명확하지만, 유전적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산화스트레스는 RLS, 지연성운동장애, 파킨슨병, 뚜렛장애 등의 운동장애에서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에 의해 유발된 RLS 증상이 산화손상의 해독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유전자의 다형성과 연관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의 진단기준으로 190명의 한국인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RLS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유전자형분석은 중합효소연쇄반응기법을 사용하여 GST-M1, GST-T1, GST-P1의 세 가지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에 대해서 시행되었다. 결 과 : RLS 증상군 96명과 무증상군 94명으로 피험자들을 분류하였다. GST-M1 (${\chi}^2=3.56$, p = 0.059), GST-T1 (${\chi}^2=0.51$, p = 0.476), GST-P1 (${\chi}^2=0.57$, p = 0.821)의 유전자형 빈도에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형에 따른 RLS 척도의 점수도 GST-M1 (t = -1.54, p = 0.125), GST-T1 (t = -0.02, p = 0.985), GST-P1 (F = 0.58, p = 0.560)의 세 가지 SN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GST 유전자 다형성이 항정신병약물로 유발된 RLS 증상 발생의 민감성을 증가시킨다는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산화손상과 관련된 다른 후보 유전자들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Glutathione S-transferase M1 Null Genotype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Susceptibility in China and India: Evidence from an Updated Meta-analysis

  • Liu, Hong-Zhou;Peng, Jie;Peng, Chun-Yan;Yan, Ming;Zheng, F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4851-4856
    • /
    • 2014
  • Background: Glutathione S-transferase M1 (GSTM1) have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owever, the effect of the GSTMl null genotype was divergent in the literature and we therefore performed the present meta-analys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in detail. Materials and Metbods: Reported studies were searched from 1990 to March 1, 2014 in PubMed and Wanfang Med Online. The total odds oatio (OR) and 95% CI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by Review Manager 5.1 and STATE 12. Results: Total OR was calculated from 26 articles with 3,769 cases and 5,517 controls and the association proved significant (OR [95%CI]=1.50 [1.25, 1.80], P<0.05) in the Chinese popul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epatocellular carcinoma risk among subjects carrying the GSTM1 null genotype (OR [95%CI]=1.20 [0.88-1.64], P=0.24) in subgroups of publication in English and in Indian populations (OR [95%CI]=1.80 [0.80-4.20], P=0.15). Conclusions: The GSTM1 deletion polymorphism might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sceptibilit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over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