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bal data

검색결과 6,726건 처리시간 0.039초

Correlates of Digit Bias in Self-reporting of Cigarette per Day (CPD) Frequency: Results from Global Adult Tobacco Survey (GATS), India and its Implications

  • Jena, Pratap Kumar;Kishore, Jugal;Jahnavi, 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865-3869
    • /
    • 2013
  • Background: Cigarette per day (CPD) use is a key smoking behaviour indicator. It reflects smoking intensity which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occurrence of tobacco induced cancers. Self reported CPD assessment in surveys may suffer from digit bias and under reporting. Estimates from such surveys could influence the policy decision for tobacco control effor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underlying factors of digit bias and its implications for Global Adult Tobacco Surveillance. Materials or Methods: Daily manufactured cigarette users CPD frequencies from Global Adult Tobacco Survey (GATS) - India data were analyzed. Adapted Whipple Index was estimated to assess digit bias and data quality of reported CPD frequency. Digit bias was quantified by considering reporting of '0' or '5' as the terminal digits in the CPD frequency. The factors influencing it were identified by bivariat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and mode of CPD frequency was 6.7 and 10 respectively. Around 14.5%, 15.1% and 15.2% of daily smokers had reported their CPD frequency as 2, 5 and 10 respectively. Modified Whipple index was estimated to be 226.3 indicating poor data quality. Digit bias was observed in 38% of the daily smokers. Heavy smoking, urban residence, North, South, North- East region of India, less than primary, secondary or higher educated and fourth asset index quintile group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git bias. Discussion: The present study highlighted poor quality of CPD frequency data in the GATS-India survey and need for its improvement. Modeling of digit preference and smoothing of the CPD frequency data is required to improve quality of data. Marketing of 10 cigarette sticks per pack may influence CPD frequency reporting, but this needs further examination. Exploring alternative methods to reduce digit bias in cross sectional surveys should be given priority.

DOES LACK OF TOPOGRAPHIC MAPS LIMIT GEO-SPATIAL HYDROLOGY ANALYSYS?

  • Gangodagamage, Chandana;Flugel, Wolfgang;Turrel, Dr.Hag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2-84
    • /
    • 2003
  • Watershed boundaries and flow paths within the watershed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quired in watershed analysis. Most often the derivation of watershed boundaries and stream network and flow paths is based on topographical maps but spatial variation of flow direction is not clearly understandable using this method. Water resources projects currently use 1: 50, 000-scale ground survey or aerial photography-based topographical maps to derive watershed boundary and stream network. In basins, where these maps are not available or not accessible it creates a real barrier to watershed geo-spatial analysis. Such situations require the use of global datasets, like GTOPO30. Global data sets like ETOPO5, GTOPO30 are the only data sets, which can be used to derive basin boundaries and stream network and other terrain variations like slope aspects and flow direction and flow accumulation of the watershed in the absence of topographic maps. Approximately 1-km grid-based GTOPO 30 data sets can derive better outputs for larger basins, but they fail in flat areas like the Karkheh basin in Iran and the Amudarya in Uzbekistan. A new window in geo-spatial hydrology has opened after the launching of the space-borne satellite stereo pair of the Terra ASTER sensor. ASTER data sets are available at very low cost for most areas of the world and global coverage is expected within the next four years. The DEM generated from ASTER data has a reasonably good accuracy,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for hydrology application, even in small basins. This paper demonstrates the use of stereo pairs in the generation of ASTER DEMs, the application of ASTER DEM for watershed boundary delineation, sub-watershed delineation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 drainage flow paths in irrigation command areas. All the ASTER derived products were compared with GTOPO and 1:50,000-based topographic map products and this comparison showed that ASTER stereo pairs can derive very good data sets for all the basins with good spatial variation, which are equal in quality to 1:50,000 scale maps-based products.

  • PDF

구간데이터 정규화와 계층적 분석과정에의 활용 (Normalizing interval data and their use in AHP)

  • 김은영;안병석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2호
    • /
    • pp.1-11
    • /
    • 2016
  • Entani and Tanaka(2007)는 불확실한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구간 평가결과를 얻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그들의 방법은 구간 데이터를 정규화하여 redundant 데이터를 제거하는데 특징이 있다. 더 나가 정규화된 구간데이터를 활용하여 계층분석과정(AHP)에서 최종 구간 우선순위벡터를 도출한다. 이 논문에서는 구간 데이터의 정규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간 데이터의 꼭지점을 구하는 쉽고 간편한 휴리스틱 방법을 제시한다. 한편 간단한 검사법을 활용하여 정규화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최종 구간 우선순위벡터를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Entani and Tanaka(2007)가 제시한 대안간 지배관계 규명 방법을 확장한 지배관계 규명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철근 콘크리트 교량의 열화 평가를 위한 지표투과레이더 자료의 완전파형역산 (Full-waveform Inversion of Ground-penetrating Radar Data for Deterioration Assessment of Reinforced Concrete Bridge)

  • 안영돈;최용규;장한누리;이동권;장한길로;신창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5-14
    • /
    • 2024
  • 철근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은 차량 하중과 우수침투 등으로 가장 먼저 손상이 발생하며 제설염화물 등으로 인한 철근 및 기타 금속 부재가 부식되면서 콘크리트 열화가 주로 발생한다. 교량 바닥판의 시공 상태 및 포장 내부 바닥판의 열화는 지표투과레이더(ground-penetrating radar, GPR) 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교량의 콘크리트 열화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철근의 위치 및 열화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GPR 자료 해석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GPR 탐사에서는 지반 매질의 레이더파 전파 속도 차이에 의한 반사 및 회절파 신호를 취득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GPR 탐사 자료를 이용해서 지반 매질의 레이더파 전파 속도를 추정하고 교량 바닥판의 열화를 평가하기 위한 완전파형역산(full-waveform inversion, FWI) 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FWI 기술의 적용성은 콘크리트 박리 및 철근 부식과 같은 교량 바닥판 열화현상을 보여주는 GPR 속도 모델을 만들어서 수치 실험을 수행하여 검증하였다. 합성 GPR 자료로 역산한 결과 교량 바닥판의 철근 위치와 열화 지점을 역산으로 계산된 속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GEase-K: 부가 정보를 활용한 선형 및 비선형 오토인코더 기반의 추천시스템 (GEase-K: Linear and Nonlinear Autoencoder-based Recommender System with Side Information)

  • 이태범;이승학;마민정;조윤호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167-183
    • /
    • 2023
  • 최근 추천시스템 분야에서는 희소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GLocal-K(Global and Local Kernels for Recommender Systems)는 그중 하나의 연구로 전역 커널과 지역 커널을 결합하여 데이터의 전역적인 패턴과 개별 사용자의 특성을 모두 고려해 사용자 맞춤형 추천을 제공하는 모델이다. 하지만 GLocal-K는 커널 트릭을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희소한 데이터에서 성능이 떨어지고 부가 정보를 사용하지 않아 새로운 사용자나 아이템에 대한 추천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GLocal-K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EASE(Embarrassingly Shallow Autoencoders for Sparse Data) 모델과 부가 정보를 활용한 GEase-K(Global and EASE kernels for Recommender Systems) 모델을 제안한다. 우선 GLocal-K의 지역 커널 대신 EASE를 활용하여 매우 희소한 데이터에서 추천 성능을 높이고자 하였다. EASE는 단순한 선형 연산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규제화와 아이템 간 유사도 학습을 통해 매우 희소한 데이터에서 높은 성능을 내는 오토인코더이다. 다음으로 Cold Start 완화를 위해 부가 정보를 활용하였다. 학습 과정에서 부가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조건부 오토인코더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아이템 간의 유사성을 더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GEase-K는 선형 구조와 비선형 구조의 결합, 부가 정보의 활용을 통해 매우 희소한 데이터와 Cold Start 상황에서 강건한 모습을 보인다. 실험 결과, GEase-K는 매우 희소한 GoodReads, ModCloth 데이터 세트에서 RMSE, MAE 평가 지표 기준 GLocal-K 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GoodReads, ModCloth 데이터 세트를 4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한 Cold Start 실험에서도 GLocal-K 대비 Cold Start 상황에서 좋은 성능을 보였다.

전구 해수순환 수치모형에 의한 한반도 주변의 순환 모사 (Modeling of Ocean Circulation in the Neighboring Seas of Korean Peninsula from Global Ocean Circulation Model)

  • 최병호;최영진;김철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6권4
    • /
    • pp.241-257
    • /
    • 2004
  • 전구해양순환모형인 Bryan-Cox-Semtner모형에서 파생된 NCAR의 NCOM모형을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수순환을 가능한 세밀하게 해상시킨 예단적 전구해양순환모형을 수립하였다. 모형영역은 남북방향으로 $80.6{^\circ}S~88.6{^\circ}N$의 범위로서 북극해가 제외되었으며, 한반도 주변이 약 $0.3^\circ$로 해상된 수평 가변격자와 연직방향으로 15층으로 구성하였다. 섬 주변해안의 순환을 적절히 재현하기 위한 구멍완화법(Hole-relaxation method)을 적용하여 22개의 섬처리가 고려되었으며, NCAR에서 CSM(Climate System Model)운용을 위해 300년동안 spin-up 계산된 결과를 초기자료로 하고, Choi et al.(2002)의 접합 대기해양모형의 결과로부터 얻은 바람응력자료가 사용되었다. 모형결과로부터, 전구와 북서태평양 해역의 순환패턴을 살펴보았으며, 한반도 주변의 5개해협에서의 용적수송량을 Choi et al.(2002)의 결과 및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관측 행렬 산출 기법 별 DGNSS-CP 성능 비교 (DGNSS-CP Performance Comparison of Each Observation Matrix Calculation Method)

  • 신동현;임철순;석효정;윤동환;박병운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33-439
    • /
    • 2016
  • 저가형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수신 모듈에 DGNSS (differential GNSS)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거리 영역의 보정정보를 위치 영역으로 투영한 후, stand-alone으로 산출한 위치에 적용하는 DGNSS-CP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DGNSS-CP 를 상용 수신기 또는 휴대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항법 방정식의 관측행렬을 이용하여 위치영역 투영 방정식을 구성하므로, 각 위성의 시선벡터를 산출하여야 한다. GNSS 항법 메시지, 배치 정보 등이 시선벡터 산출을 위하여 사용되는데, 각 방법에 따라 정확도와 연산량 등의 성능에 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두 가지 시선벡터 산출 방식에 따라 DGNSS-CP의 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Septentrio PolaRx4 Pro 수신기에서 stand-alone mode 로 저장된 데이터에 해당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배치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이 궤도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정확도 면에서는 그 성능이 RMS (root mean square) 0.1 m 가량 저하되는 반면, 연산량은 약 1/15수준으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공위성과 재분석모델 자료의 다중 증발산 자료를 활용하여 최적 증발산 산정 연구 (Estimation of the optimal evapotranspiration by using satellite- and reanalysis model-based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s)

  • 백종진;정재환;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3호
    • /
    • pp.273-280
    • /
    • 2018
  • 수문순환에서 증발산의 정확한 산정은 수문분석 및 이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증발산을 산정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각각 방법 마다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 다른 방법으로 산전된 결과를 융합하여 최적의 증발산을 산출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인공위성 기반의 증발산 모델인 revised RS-PM과 MS-PT 방법에서 산출된 증발산과 모델 자료인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와 Global Land Evaporation Amsterdam Model (GLEAM)자료들을 융합함으로써 최적의 증발산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지역인 청미천과 설마천에서의 플럭스 타워에서 융합된 증발산에 대해서 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인 결과(상관계수, 일치도, MAE, RMSE)를 확인하였을 때, 기존의 인공위성과 모델에서 산출되는 증발산 결과에 비해 향상되는 결괄르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결과를 확인하였을 때, 융합된 자료가 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추후에는 더 많은 모델을 사용하여 융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산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urden Assessment of Thyroid cancer in Iran from 1990 to 2010: Lessons Obtained from Global Burden of Disease Report 2010

  • Modirian, Mitra;Cheraghi, Zahra;Rahimzadeh, Shadi;Moghaddam, Sahar Saeedi;Jarrahi, Alireza Mosav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743-7748
    • /
    • 2015
  • Background: Thyroid tumors are generally regarded as rare malignancies. Nowadays, however, their global incidence is growing continuously partially due to western life style and utilization of more sensitive methods of early detection. It is approximately three times more prevalent in females than in males. Most cases of thyroid cancer are asymptomatic nodules or just have local cervical symptoms or adenopathy in early stages. Materials and Methods: The Global Burden of Diseases report 2010 study (released 3/2013) profited from 100 collaborators worldwide and used a vast network of data on health outcomes, vital registries, and population surveys. It shared many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s 1990 principal databases such as all available data on injuries, diseases, risk factors, as well as comparable metrics, and used different scientific approved methods to estimate important health status data like: death rate, life expectancy, healthy adjusted life expectancy,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DALY), years of living lost due to premature death and years of life with disabilities. Results: DALY as thyroid cancer burden per 100,000 Iranian populations had increased by about 14% during 1990 to 2010 in all ages; from 6.1 (95% UI 4.2-9.74) years in 1990 to 6.95 (95% UI 5.06-9.18) years in 2010 in both sex. The 2010 peak age-group was estimated at 45-49 years in males and 40-45 years in females.

정지기상위성 자료를 이용한 정량적 황사지수 개발 연구 (The Study on the Quantitative Dust Index Using Geostationary Satellite)

  • 김미자;김윤재;손은하;김금란;안명환
    • 대기
    • /
    • 제18권4호
    • /
    • pp.267-277
    • /
    • 2008
  • The occurrence and strength of the Asian Dust over the Korea Peninsular have been increased by the expansion of the desert area. For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Asian Dust event, the geostationary satellites provide useful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outbreak of the event as well as the long-range transportation of dust. The Infrared Optical Depth Index (IODI) derived from the MTSAT-1R data, indicating a quantitative index of the dust intensity, has been produced in real-time a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since spring of 2007 for the forecast of Asian dust. The data processing algorithm for IODI consists of mainly two steps. The first step is to detect dust area by using brightness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wo thermal window channels which are influenced with different extinction coefficients by dust. Here we use dynamic threshold values based on the change of surface temperature. In the second step, the IODI is calculated using the ratio between current IR1 brightness temperature and the maximum brightness temperature of the last 10 days which we assume the clear sky. Validation with AOD retrieved from MODIS shows a good agreement over the ocean. Comparison of IODI with the ground based PM10 observation network in Korea shows distinc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altitude of dust layer estimated from the Lidar data. In the case that the altitude of dust layer is relatively high, the intensity of IODI is larger than that of PM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altitude of dust layer is lower, IODI seems to be relatively small comparing with PM10 measur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