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field soil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4초

논 인삼 우량묘 생산을 위한 활성이온칼슘 처리효과 (The Effect of Activated Ion Calcium for Production of Panax ginseng Seedlings in Paddy Field)

  • 김동원;김종엽;유동현;김창수;김희준;박종숙;김정만;이강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4-128
    • /
    • 2012
  • When ginseng seedlings are cultured in paddy fields, quality degradation and yield reduction are induced by severe plant loss with chlorosis on leaves occurred physiological disorder by excessive salt and poor drainage, rusty-root occurrence, and root rot etc.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method, concentrations and time of activated ion calcium as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Activated ion calcium is an enriched and purified water-soluble mineral calcium component for absorbing quickly into plant as a highly functional calcium and it is an alkaline calcium of 37% (370 $m{\ell}$/1 ${\ell}$) concentration with pH 13. Treatment method was that ginseng seeds were sown after removing water in the shade after seed immersion for 1 minute with active ion calcium of 20-fold diluted solution, and then irrigated $4{\ell}$ per 3.3 $m^2$ with 200-fold, 400-fold, and 600-fold diluted solution before emergence on late March, and supplied 1 time on leaves with 500-fold diluted solution in June and July respectively. The disease rate by treatment of activated ion calcium was that on the treatment of soil irrigated with 200-fold diluted solution compared to non-treated soil, damping-off was 33%, anthracnose was 100% reduced and the occurrence rate of rusty-root was 30% reduced. In addition, when active ion calcium of 200-fold diluted solution were soil irrigated, first and second grade ginseng were respectively 26% and 22% produced more, compared with control.

토양수분 함량별 인삼의 근 및 지상부 생육 (Root and Top Growth of Panax ginseng at Various Soil Moisture Regime)

  • 목성균;손석용;박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5-120
    • /
    • 1981
  • 토양수분이 인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경Pot(1/2000cm)에 묘삼을 이식하여 토양수분함량별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장황, 근수량과 지상부 형질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삼생육에 대한 토양의 적정수분 함량은 포장용수량의 65. 5%(절대수분 22.1%였고 생육이 정지되는 토양수분 함량은 포장용수량의 31.5%(절대수분 10.7%)였다. 2. 토양수분 함중이 적은 곳에서는 출아 및 전엽율이 상당히 지연되었으며 엽면적외 감소와 지상부 결주가 많아져 근수량이 현저히 감소되였다. 3. 근수량은 엽면적(r=0.91**) 경직경(r=0.76**) 경장(r=0.71**) 지상부생중(r=0.96**)간에 각각 정의 상기관계가 있었고 지상부 결주율(r=-0.77**) 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생근중과 수분함량(r=- 0.80**)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어 수분이 충분한 곳에서 자란 인삼은 조직이 치밀함을 나타내었다.

  • PDF

키틴분해미생물을 이용한 인삼 잘록병 방제 (Control of Ginseng Damping-Off Disease Using Chitinolytic Bacterial Mixtures)

  • 김영철;정현채;배영석;박서기
    • 식물병연구
    • /
    • 제24권4호
    • /
    • pp.353-358
    • /
    • 2018
  •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키틴분해미생물 대량배양 bioformulated product는 다양한 작물의 병과 선충의 생물적 방제에 성공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개발된 키틴분해미생물 대량배양 기술을 활용하여 인삼 모잘록병의 생물적 방제법을 확립하고자 수행하였다. 인삼 잘록병 오염 토양을 이용한 포트에서 키틴최소배지에서 배양한 키틴분해미생물 Chrobacterium sp.와 L. enzymogenes 혼합배양액 처리구에는 인삼의 출아율과 인삼 잘록병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개발된 키틴분해미생물 배양액의 생물적 방제 능력은 희석여부와 처리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인삼 포장에서 혼합배양액을 파종 전 종자침지하고 출아기에는 토양관주하였을 때, 본포의 2년생 인삼에서 배양원액은 2회 토양관주, 10배 희석액은 3회 토양관주에서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토직 본포의 경우 배양 원액의 종자 침지에 의한 방제효과는 낮았지만, 종자침지 후 1회 또는 2회 토양관주는 살균제인 톨클로로포스메틸수화제의 종자분의소독과 비슷한 수준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Chromobacterium sp. C-61와 L. enzymogenes C-3의 혼합배양액을 이용하여 인삼 잘록병 방제에 화학적 살균제를 대신할 수 있을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감자썩이선충 (Ditylenchus destructor)에 의한 인삼의 새로운 근부병 (New root rot disease of Panax ginseng due to Ditylenchus destructor Thorne)

  • 오승환;이순구;이장호;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1-185
    • /
    • 1983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일대의 인삼근부병을 조사한 결과 감자썩이선충(Ditylenchus destructor)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 선충이 인삼근부병의 한 원인임이 확인되었다. 이지역 인삼재식지 조사면적의 약 $36\%$$28,050m^2$가 이 선충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었다. 이 선충에 걸린 인삼은 주로 주근(Tap root)의 피층이 갈변하고 Sponge 화되며 피층내부에 Cork 조직이 발달하여 부리가 잘부러진다. 이런 뿌리는 표피가 잘 벗겨지고 심한경우에는 뿌리에 내공이 생기거나 뿌리전체가 썩어 없어지며 줄기와 잎은 급격히 푸른채로 시들어 죽는다. 잎이시드는 병징이 있는 포장에서는 감자썩이선충이 $8.5\~222$마리/30g 이었고 병징이 나타나지 않은 포장에서는 $0\~7.0$ 마리였다.

  • PDF

금산의 인삼 재배 토양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의 다양성 (Diversi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Cultivated Field Soils of Korean Ginseng)

  • 길리종;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삼(Panax ginseng C. A. Mey.) 재배 토양에서 수지상균근균(AMF)의 포자를 분리하여 동정하고 재배기간 별 AMF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충남 금산지역의 재배 기간 1~5년의 인삼 재배지에서 토양을 채집하였다. 인삼 재배지에 분포하는 AMF의 포자를 분리하여 형태 및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한 결과, Acaulospora longula, Archaeospora trappei, Glomus caledonium, Glomus etunicatum, Glomus intraradices, Glomus mosseae, Glomus sp., Paraglomus occultum, Paraglomus brasilianum Scutellospora heterogama 등 총 5속 10종이 동정되었다. 연구 결과 재배기간이 오래 될수록 토양 내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의 종 다양성지수와 균등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 그러나 A. trappei 는 재배 기간이 오래될수록 상대수도가 증가하였다.

황색종 담배의 시비량 및 토양조건에 따른 비휘발성 유기산 및 지방산 함량변화 (Effect of Fertilizer Rate and Soil condition on Nonvolatile Organic and Higher Fatty Acids of Flue-cured Tobacco.)

  • 정기철;최정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1-158
    • /
    • 1992
  •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alk position, compound fertilizer application rate (N-P2O5-K2O : 10-10-20 : 75, 100, 125kg/03), paddy and upland soil and varieties, NC82 &KF103, on nonvolatile organic and higher fatty acids of flue-cured tobacco. Followed by stalk position, malic, citric, malonic and succinic ac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stalk position, but oleic and linoleic acid contents were decreased with higher stalk position. The higher application rate of compound fertilizer results in increasing citric, malic, malonic and succinic acid contents, but the contents of higher fatty acids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ertilizer application rate. The cured leaf cultivated in paddy soil was higher citric and malic acid contents than in upland soil, but the contents of higher fatty acids have no difference between paddy and upland soil. The variety of KF103 was higher citric and linoleic acid contents than that of NC82, but the contents of higher fatty acids have no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 PDF

개체별인삼근권(個體別人蔘根圈)의 화학(化學) 및 미생물특성(微生物特性)과 근생육(根生育)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root zone and root growth of gineng)

  • 박훈;이명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1-137
    • /
    • 1989
  • 고수량(高收量) 삼포(蔘圃)에서 인접(隣接)한 대소편삼(大小片蔘)의 근권(根圈)의 화학성(化學性)과 미생물(微生物)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여 근생육(根生育)과의 관계(關係)를 살폈다. $NO_3-N$, $NH_4-N$ 인산이 대편삼(大片蔘)에서 적었고 Ca은 대편삼(大片蔘)에서 높았다. 미량성분(微量成分)은 Cu와 Zn은 지근수(支根數)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였으나 Fe는 부상관(負相關)이었다. $NH_4-N$, $NO_3-N$는 세근발달(細根發達)과 유의부상관(有意負相關)을 보였다. 유기물특성(有機物特性)에서는 휴민산의 침전비율(PQ)이 유의성은 없으나 대편삼(大片蔘)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근권미생물(根圈微生物)은 세균밀도(細菌密度)가 근중(根重)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곰팡이와 방선균(放線菌)은 저해하는 방향이며 세균중(細菌中) 우점세균밀도(優占細菌密度)는 대편삼(大片蔘)에 유의성(有意性)있게 많았다. 세균(細菌)과 곰팡이 또는 방선균(放線菌)의 비율(比率)이 세균발달(細菌發達)과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였다.

  • PDF

Chitinophaga soli sp. nov. and Chitinophaga terrae sp. nov., Isolated from Soil of a Ginseng Field in Pocheon Province, Korea

  • An, Dong-Shan;Im, Wan-Taek;Lee, Sung-Taik;Choi, Woo-Young;Yoon, Min-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705-711
    • /
    • 2007
  • Two novel strains of the Cytophaga-Flexibacter-Bacteroides(CFB) group, designated Gsoil $219^T$ and Gsoil $238^T$, were isolated from soil of a ginseng field of Pocheon Province in Korea. Both strains were Gram-negative, aerobic, nonmotile, nonspore-forming, and rod-shaped.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indicated that both isolates belong to the genus Chitinophaga but were clearly separated from established species of this genus. The sequence similarities between strain Gsoil $219^T$ and type strains of the established species and between strain Gsoil $238^T$ and type strains of the established species ranged from 91.4 to 94.7% and 91.6 to 94.2%, respectively. Phenotypic and chemotaxonomic data(major menaquinone, MK-7; major fatty acids, $iso-C_{15:0}\;and\;C_{16:1}\omega5c$; major hydroxy fatty acid, $iso-C_{17:0}3-OH$; major polyamine, homospermidine) supported the affiliation of both strains Gsoil $219^T$ and Gsoil $238^T$ to the genus Chitinophaga. Furthermore, the results of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allowed genotypic and phenotypic differentiation of both strains from the other validated Chitinophaga species. Therefore, the two isolates represent two novel species, for which the name Chitinophaga soli sp. nov.(type strain, Gsoil $219^T=KCTC\;12650^T=DSM\;18093^T$) and Chitinophaga terrae sp. nov.(type strain, Gsoil $238^T=KCTC\;12651^T=DSM\;18078^T$) are proposed.

경남지역의 토양 및 농작물중 게르마늄 함량 (Germanium Contents of Soil and Crops in Gyeongnam Province)

  • 이성태;이영한;이홍재;조주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4-39
    • /
    • 2005
  • 양질의 기능성 농산물 생산을 위하여 게르마늄의 농업적 이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지역의 토양을 중심으로 지역, 지형, 토양유형 및 토성별 게르마늄 함량과 자연상태에서 재배한 농작물별 게르마늄 함량을 조사하여 그 분포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중 게르마늄 함량을 분석한 결과 경남지역 논 토양 평균 함량은 0.24 mg/kg 이었고, 마산시, 진주시 및 하동군 지역이 0.30 mg/kg 이상으로 높았다. 지형별로는 홍적대지가 0.26 mg/kg으로 약간 높았으나 지형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토양유형별 게르마늄 함량은 보통답이 0.27 mg/kg으로 사질답과 습답에 비하여 높았으며, 토성별로는 미사질양토가 0.27 mg/kg으로 비교적 높았다. 일반농작물중 게르마늄 함량은 곡류>채소류>과일류 순으로 높았고, 쌀과 보리는 각각 약 68 및 $48{\mu}g/kg$의 게르마늄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단감과 배는 각각 약 11 및 $23{\mu}g/kg$으로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채소류중 게르마늄 함량은 엽채류>근채류>과채류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상추와 열무중 게르마늄 함량이 각각 약 62 및 $65{\mu}g/kg$으로서 높았다. 약용작물중 게르마늄 함량은 신선초(Angelica keiskei), 토천궁(Ligusticum chuanxiong), 인삼(Panax ginseng), 삽주(Atractylodes macrocephala), 백지(Angelica dahurica),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및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에서 $100{\mu}g/kg$ 이상으로 게르마늄 함량이 높았으며, 선학초(Agrimonia pilosa) 및 일당귀(Angelica acutiloba)의 함량은 각각 37 및 $30{\mu}g/kg$으로 낮았다.

인삼${\cdot}$탄저병에 관한 연구 전염원, 병원균의 생태, 발병요인 및 방제 (Ginseng anthracnose in Korea Factors affecting primary inoculum, growth of the pathogen, disease development and control)

  • 정후섭;배효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5-41
    • /
    • 1979
  • 인삼탄저병에 감염된 포기의 종자에는 $42\%$, 겉으로 건전한 포기의 종자에도 $4\~17\%$의 탄저병균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Fusarium, Alternaria, Phoma, Trichoderma 등도 많이 분리되었다. 탄저병균은 실내에 있는 잎의 조직에서 18개월간 생존하였으며, 옥외의 노지, 지하 10, 30cm에서도 월동할 수 있었다. 인삼잎에 탄저병균의 분생자를 접종하였을 때에 $25-35^{\circ}C$ 발병하였고, $17^{\circ}C$이하에서는 전혀 병반이 형성되지 않았다. 암흑구, 400룩스구에서 탄저병반은 미소하였고, 1200룩스구에서 중정도, 직사광선에서는 극심하였다. 그리고 연령이 어린 잎일수록, 분생자수가 많을수록 병반면적율은 높았다. 병원균의 균사생장 및 분생자형성의 최적온도는 $25^{\circ}C$였고, 균사생장의 최적 pH는 2.8-4.2였으며 분생사형성은 5.2-5.8이었다. 포장에서 살균제와 인삼${\cdot}$탄저병균의 분생자를 함께 3년생식물에 처리했을 때 방제효과가 큰 것은 difolatan 그리고 maneb, zineb, captan, phaltan의 순위였으며 ferbam과 보르도액은 약간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