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volatile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인삼과 중국인삼의 주요 헤드스페이스성분 조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Composition of the Major Headspace Volatiles Between the Korean Ginseng and the Chinese Ginseng)

  • 손현주;허정남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196-200
    • /
    • 1997
  • The headspace volatiles of the Korean ginseng and the Chinese ginseng were extracted using the SepPak Cl8 cartridge (Wasters Co.) and were analyzed using GC/MSD. The overall GC pattern of the headspace volatiles of the Chinese ginseng was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ginseng, but the composition ratios of the two major components, $\beta$-panasinsene to $\beta$-muurolene, were quite different between them. The composition ratios of $\beta$-panasinsene to $\beta$-muurolene of the Korean red and white ginseng were 1.02$\pm$0.28 (n=19) and 1.49$\pm$0.55 (n=14) , respectively. However the com- position ratios of the Chinese red and dried ginseng were 0.58$\pm$0.19 (n=41) and 0.57$\pm$0.17 (n=28), repeti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Korean ginseng at I% level.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two major headspace volatile components, $\beta$-panasinsene to ${\gamma}$-muurolene, is thought to be as a useful indicator for differentiating the Chinese ginseng with the Korean ginseng.

  • PDF

SPME-GC를 이용한 인삼의 향분석과 관능강도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PME-GC Analysis and the Aroma Intensity for Ginseng Volatiles)

  • 류성권;노진철;밝훈;박승국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206-212
    • /
    • 2002
  • 인삼 본래의 향기 강도를 기기분석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서, SPME-GC를 이용한 휘발성 향성분 분석값과 코로써 느끼는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여러 장소에서 재배된 인삼시료(수삼, 백삼, 홍삼)에 대한 향기성분석결과와 코로써 느끼는 측정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백삼과 홍삼의 경우에 관능평가에 의한 향의 강도가 높으면 GC의 peak area값도 크다는 상호관계를 얻음으로써 인삼 본래 향의 강도를 객관적으로 표기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인삼 Sesquiterpene의 새로운 분리방법 (New Methods for Isolation of Sesquiterpene from Panax ginseng)

  • 위재준;신지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14-218
    • /
    • 1997
  • New simple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sesquiterpenes from Panax ginseng were developed. First, volatile compounds were isola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with 30% methanol and $\alpha$-hexane instead of water and ethyl ether/pentane (1:1). Secondly, head space volatiles in U-shaped tube at 7$0^{\circ}C$ were passed through C18 Sep-Pak by nitrogen gas streaming and the adsorbed volatiles were fluted by $\alpha$-hexane. TLC analysis showed that the volatile concentrates consisted mainly of terpenes when colored by vanillin-sulfuric and. GC/MS data revealed that approximately 30 sesquiterpenes of molecular weight 204 occupied 81.1% or more of the volatile concentrates isolated by those two newly developed methods. Among these, alloaromadendrene, germacrene B, isocaryophyllene, $\alpha$-neoclovene, ${\gamma}$-muurolene, $\beta$-panaslnsene, and $\alpha$-humulene were identified as being major sesqulterpenes by authentic samples or literatme search Key words : Panax ginseng, volatile compound, sesquiterpene, isolation, new method, GC/MS.

  • PDF

파슬리의 잎과 씨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Parsley Leaf and Seed (Petroselinum crispum))

  • 김영희;김근수;홍종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62-67
    • /
    • 1990
  • 파슬리의 잎과 씨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성분을 확인하였다. 잎과 씨에서 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각각 0.06 %와 3.11 %이었다. 잎에서는 mass spectrum에 의해 잠정적으로 확인된 15종의 성분을 포함하여 58종 그리고 씨에서는 23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 중 43종의 terpene화합물이 잎에서 분리한 휘발성 성분의 약 46.4 %를 차지하였고 씨에서는 49.3 %를 차지하였다 잎에서 양적으로 많이 함유된 terpene 화합물은 myrcene(3.01 %), 4-isopropenyl-1-methyl benzene(4.52 %), ${\rho}-1$, 3, 8-menthatriene(10.49 %)인 반면 씨에서는 ${\alpha}-pinene$(22.28 %)와 ${\beta}-pinene$(16.20%)이었다. 한편 두 oil에서 가장 풍부하게 함유된 성분은 myristicin으로서 잎과 씨에서 각각 전체 향기성분의 21.80 % 및 47.54 %를 차지하였다.

  • PDF

살구의 휘발성 성분 조성에 대한 분리방법의 영향 (Influence of Isolation Method on the Composition of Apricot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Flavor)

  • 김영회;곽재진;권영주;양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3-548
    • /
    • 1990
  • 살구의 휘발성 향기성분 조성에 대한 분리 방법의 영향을 조사코저 살구 과육(pH 3.1)을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SDE)법, headspace trapping법 또는 이를 pH 7.0으로 중화시킨 후 SDE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의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확인된 80종의 성분들 중 pH3.1에서 SDE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중에는 다른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에서는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미량으로 검출된 n-hexanal, trans-2-hexenal, cis-3-hexen-1-ol, linalool oxide, linalool, ${\alpha}-terpineol$, nerol, geraniol, benzyl alcohol, ${\beta}-phenylethyl alcohol$ 및 naphthalene 유도체들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살구에서 비휘발성인 glycoside 형태로 존재하는 위와 같은 성분들이 산성조건하에서 수증기 증류시 glycoside 결합이 가수분해되어 휘발성 성분으로 유리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살구에서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하는 휘발성 성분 (Glycosidically Bound Volatile Components in Apricot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 김영회;김근수;박준영;김용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9-554
    • /
    • 1990
  • 비이온성 수지인 Amberlite XAD-2 흡착 및 메탄올 용출법에 의해 살구로부터 배당체분획을 얻은 다음 almond ${\beta}-glucosidase$ 및 산가수분해(pH3.0) 또는 pH 3.0에서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SDE)에 의해 얻어진 가수분해물로부터 GC 및 GC-MS에 의해 40종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3종의 가수분해물로부터 이미 배당체로서 살구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linalool oxide, linalool, ${\alpha}-terpineol$, nerol, geraniol, benzyl alcohol 및 2-phenylethyl 이외에도 2,6-dimethyl-3,7-octadiene-2,6-diol, 3,7-dimethyl-1,5-octadiene-3,7-diol,(E)-및 (Z)-2,6-dimethyl-2,7-octadiene-1,6-diol, $3-4-dihydro-{\beta}-ionol$ $3-oxo-{\alpha}-ionol$, $3-hydroxy-7,8-dihydro{\beta}-ionol$, $3-oxo-7,8-dihydro-{\alpha}-ionol$, $3-hydroxy-{\beta}-ionone$, eugenol, 3-hydroxyethylphenyl acetate 및 2,3-dihydrobenzofuran이 살구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 PDF

한국홍삼의 향 특성 (Flav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Ginseng)

  • 손현주;이성계;위재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48-152
    • /
    • 2000
  • 한국홍삼과 중국홍삼의 향 유형 및 강도를 관능적으로 비교한 결과 한국홍삼은 단 냄새와 구수한 냄새가 강한 반면에 중국홍삼은 흙 냄새, 나무냄새 및 건초냄새가 강한 경향이었다. 한국홍삼의 구수한 냄새와 단 냄새는 헤드스페이스추출물의 에테르분획, 그 중에서도 중성부에서 강하게 감지되었다.

  • PDF

홍삼과 청국장 혼합 분말의 색도,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 기호도 (Color, Volatiles and Organoleptic Acceptability of Mixed Powders of Red Ginseng and Cheonggukjang)

  • 권중호;신진기;문광덕;정헌식;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83-489
    • /
    • 2006
  • 홍삼과 청국장의 단일 및 혼합 분말의 향미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원료와 제조회사가 다른 홍삼(J사 6년근, P인삼조합 5, 6년근)과 청국장($A{\sim}E$사 제품) 단일분말 및 혼합분말의 색도,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기호도를 조사하였다.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색상은 시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홍삼의 경우 L값은 $75.56\sim85.50$, a값은 $1.90\sim6.30$, b값은 $23.29\sim35.08$이었고 청국장의 경우 L값은 $64.96\sim71.69$, a값은 $4.64\sim8.30$, b값은 $30.45\sim36.50$을 각각 나타내었다.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휘발성 성분은 시료별 차이를 보였으나 홍삼분말에서 주요성분으로는 hexanal, $\beta-pinene$, methyl benzene, 3,5-methyl propyl nonane, 2-propanone, decane, 2,8-dimethyl undecane 등이, 청국장분말에서는 2,3-butanedione, decane, 2,2,7,7-tetramethyl octane, 3-methyl butanal 등이 확인되었다. 홍삼과 청국장 혼합분말의 휘발성 성분의 양은 홍삼의 혼합양이 적어지고 청국장의 혼합양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혼합분말의 관능적기호도는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동량 혼합일 경우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으며, 이 경우 주요 휘발성 성분은 2-propanone, 2-butanone, pentane, hexanal, 3-methyl butanal 등이었다. 이로써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향미특성은 제조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두 분말의 적정 혼합을 통하여 새로운 가공소재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결건조시 감압증류되는 인삼의 휘발성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Volatiles from Panax ginseng Root by Vacuum-Distillation with Freeze-Drying)

  • Park, Hoon;Sohn, Hyun-Joo;Cho, Byung-Go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353-356
    • /
    • 1990
  • The isolation of volatile compounds by vacuum-distillation with freeze-drying was tested 1 with fresh ginseng roots. The roots were frozen at-8$0^{\circ}C$; they were dried at-4$0^{\circ}C$ tinder vacuum(40 tory), for 24 hours; and the ice condensed at the silrface of condenser in the freeze-dryer was thauved at room temperature. The ether extract of the resulting aqueous solution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equipped with a flame ionization detector (FID) or a nitrogen-phosphorils detecto(NPD) and by gas :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More than forty peaks were observed in the CG(FID) profile. and more than ten peaks were observed in the GC(NPD) profile. Among them, thirteen components 1including one aldehyde, four hydrocarbons, two esters, folly alcohols, and two vyrazines were identified: six components the molesuiar ions of which were m/z, 204 were estimated to be a series of azulene compounds; and the other components unidentified were estimated to have molecular weights of lower than 254. Therefore, the freeze-drying technicue is thought to be usefu1 for the isolation of volatile compounds of such low molecufilar weights from vegetables, fruits and biological fluids as well as fresh ginseng roots under the tested conditions.

  • PDF

두충껍질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Du-Chung barks)

  • 장희진;나도영;김옥찬;박준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16-119
    • /
    • 1990
  • 두충껍질의 휘발성 성분을 SDE장치로 추출한 후 GC 및 GC-MS에 의해서 비교분석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49개 성분이며, acid류 4종, alcohol류 11종, aldehyde류 9종, ester류 4종, ketone류 3종, hydrocarbon류 16종, lactone 1종이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caproic acid이며, 전체 휘발성 성분의 18.1%를 차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