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ination rates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5초

Impact of Heat Stress on Pollen Fertility Rate at the Flowering Stage in Korean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 Thuy, Tran Loc;Lee, Chung-Kuen;Jeong, Jae-Hyeok;Lee, Hyeon-Suk;Yang, Seo-Young;Im, Yeon-Hwa;Hwang, Woon-H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22-29
    • /
    • 2020
  • Rice is very sensitive to high temperatures during the reproductive stage, particularly during the flowering and anthesis periods. To determine how high temperatures result in sterility during the flowering period in Korean rice cultivars, groups of 11 cultivars were subjected to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24, 28, 30, and 33℃) during the flowering stage using sunlit phytotrons. At an average of 33℃, all 11 rice cultivars reached anthesis earlier than at the other temperatures. Microscopy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viability in cultivars grown at 33℃ compared to those cultured at lower temperatures. At 33℃, the cultivars had significantly lower fertility rates (47% reduction) than cultivars grown at 24℃. These findings are important as rice pollination and fertility depend on the pollen viability and germination.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rice fertility is negatively affected by excessively high temperatures.

Effect of Nisin against Clostridium botulinum During Spore-to-Cell Transformation

  • Chung, Yoon-Kyung;Yousef, Ahmed 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4호
    • /
    • pp.259-266
    • /
    • 2007
  •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mode of action of nisin against vegetative cells and spores of Clostridium botulinum is different. However, clear explanation is not available. Therefore, nisin action against vegetative cells and spores of C. botulinum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Nisin was added at various stages of spore-to-vegetative cell transition and changes to sensitivity to the bacteriocin were observed. Different nisin preparation (Nisaplin or pure nisin) was compared for their activity against different stages of spore transformation of C. botulinum ATCC 25763. Germination was measured by determining loss of heat resistance and observing phase darkening of spores under phase-contrast microscope. Nisin acted bactericidally against vegetative cells, but acted sporostatically against spores of C. botulinum under the same concentration. This bactericidal and sporostatic action of nisin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nisin used. Presence of nisin during spore activation by heat increased subsequent phase darkening and germination rates. However, nisin inhibited the germination and the outgrowth, when it was added after heat activation stag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ime of addition of nisin is very important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spores during the heating process of foods.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apply nisin at the stage of processing that coincides with the most sensitive stage of spore transformation.

고농도 유류와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토양에서 식물성장에 미치는 부식산의 영향 (Effects of Humic Acids on Growth of Herbaceous Plants in Soil Contaminated with High Concentr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and Heavy Metals)

  • 김기섭;성기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1호
    • /
    • pp.51-61
    • /
    • 2011
  • Germination 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actical concentration levels at which plants can reproduce naturally during the 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and heavy metals. The effects of humic acids on plant growth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phytoremediation can be applied in soils contaminated by multiple contaminants at the former soil contamination potential level of Korean soil quality standards considering successful natural reproduction. It was observed that germination rates of Helianthus annuus and Festuca arundinacea were high after all treatments, and transplantation was more appropriate for Phragmites communis in phytoremediation. Humic aci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both aboveground and belowground biomass of herbaceous plants. Growth inhibition by multiple contaminants is more severe in the case of aboveground biomass. Germination and growth tests suggest that Helianthus annuus is a suitable phytoremediation plant for soils contaminat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and heavy metals. The addition of humic acids also caused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ntaminated soils. An increase in the carbon and nitrogen content due to the addition of humic acids and a correlation between cation exchange capacity(CEC) and the organic matter content were observed.

Total petroleum hydrocarbon에 의한 작물의 발아 및 유근생장 저해 (Germination Rate and Radicle Growth Inhibition in Crops by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

  • 임성진;김진효;최근형;권유빈;김두호;박병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3-278
    • /
    • 2013
  • BACKGROUND: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 which are main materials of soil contamination by oil, are a term used for any mixture of hydrocarbons.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established the maximum permissible level of TPH in farmland by 500 mg/kg, and reported that the TPH level of soil in 266 installation such as gas station, transport company, and military unit ranged from 1,356 to 55,117 mg/kg and were much higher than the maximum permissible level in 2011. METHODS AND RESULT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PH on crop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asoline, kerosene, and diesel on the germination and radicle growth of mainly consumed crops. The germination rates of control in investigated all crops ranged from 80.0-100%. The germination and radicle growth in majority of investigated crops were not inhibited even at 2,500 mg/L. However, germination in onion, leek, and green perilla and radicle growth in leek, rape, tomato, and green perilla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gasoline, kerosene and diesel treatment. Germination and radicle growth inhibition of green perilla by kerosene and diesel were the highest, the percent inhibition at the 500 mg/L were 100 and 98.6%, 100 and 88.2%, respectively. 50% inhibition of germination in green perilla by kerosene and diesel were 39.96 and 29.87 mg/L, and 50% inhibition of radicle growth were 52.76 and 177.96 mg/L,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maximum permissible level of TPH might to be established general level with exception by crops.

소나무의 체세포배 유도 및 발아에 미치는 ABA, 삼투압제 및 배발생조직 라인 효과 (Effects of ABA, osmoticum and embryogenic tissue lines for somatic embryo induction and germination in Pinus densiflora)

  • 김용욱;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2호
    • /
    • pp.93-98
    • /
    • 2012
  • 본 연구는 소나무의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gelrite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 및 abscisic acid (ABA) 농도, 배발생 조직 라인에 따른 체세포배 발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비교에서 최대의 체세포배 유도 수는 0.1 M maltose+3.75% polyethylen glycol (PEG) 4000 처리구에서 45개 (/90 mg FW)로 나타났으며, 0.2 M maltose 처리구 또한 41개로 효과가 있었다. Gelrite 농도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비교에서 0.4 및 0.6%의 농도에서는 전혀 체세포배가 유도되지 않았으며, 0.8% 이상의 농도부터 체세포배가 발생되는 경향을 보였다. 최대 체세포배 유도 수는 1.0% gelrite에서 41개로 가장 높은 유도 수를 보였으며, 0.8 혹은 1.2%에서의 농도에서 또한 각각 37.3 및 39.7개로 높은 유도수를 보여 0.8% gelrite 이상에서 체세포배 유도 효과가 있었다. ABA농도, 배발생조직 라인 및 활성탄 첨가에 따른 체세포배 발아율 비교에서 06-6조직라인의 경우 150 혹은 $200{\mu}M$ ABA 처리구 유래 체세포배를 0.2% 활성탄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45%의 최대 발아율을 보였다. 활성탄 무첨가 배지의 경우 최대 발아율은 06-6라인, $250{\mu}M$ ABA 처리구 유래 체세포배에서 28.9%로 나타났다.

벼 철분코팅종자의 발아 특성 및 담수깊이에 따른 초기입모 영향 (Seed Germination and Effect of Water Depths on Seedling Establishment of Iron-coated Rice Seeds)

  • 김상열;박성태;서종호;황정동;배현경;오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9-15
    • /
    • 2017
  • 본 연구는 벼 무논 및 담수직파 시 입모향상을 위해 철분코팅종자와 일반종자에 대한 발아특성 및 담수깊이에 따른 초기 입모영향을 구명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철분코팅종자는 일반종자보다 발아초기에는 발아율이 높았으나 후기에는 일반종자의 발아율과 비슷하였다. 그 결과 철분코팅종자가 일반종자에 비해 발아속도가 빠르고 평균 발아일수가 짧았다. 철분코팅종자를 상온종자창고에 보관시 1년이 지난 후 발아율은 보관당시보다 15.3~21.6% 감소되어 가능한 철분코팅 종자는 1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또한 담수직파조건에서 철분코팅 종자는 일반종자에 비해 깊은 수심에도 출아율이 높고, 뜬묘비율도 낮을 뿐만 아니라 모 충실도가 높아 담수직파 시 철분코팅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초기입모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벼 종자의 Polymer 피복처리가 종자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mer Coating on Seed Vigour in Rice)

  • 이성춘;정춘화;김진희;송동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74-285
    • /
    • 1996
  • Po1ymer를 피복한 벼 종자의 종자세 향상과 환경 적응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0종의 Polymer를 피복하여 수분흡수력, 호흡량, 발아력 및 포장 출아율 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olymer피복 종자의 수분흡수율은 포화습도에서 klucel이 가장 높았고 PVP가 가장 낮았으며, 물에 침청할 때는 klucel이 가장 높았고 maltrin이 가장 낮았다. 2. Polymer 피복 종자의 호흡량은 화영벼 와 일품벼 에서 polymer 피복 종자가 낮았으나, 대청벼와 진미벼는 오히려 높았는데 그 정도는 sepiret 피복 종자가 PVP 피복 종자보다 높았다. 3. Polymer피복 과정 중 기계에 의한 종자피해 정도는 발아율이 1% 내외로 저하되어 극히 미미 하였다. 4. 종자세가 양호한 종자에서는 polymer 피복에의한 발아율의 향상은 없었으나 대부분이 95%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고 waterlock, surelease 45 및 sepiret등이 특정 품종에서 발아율이 극히 저조하였다. 5. 발아세는 sepiret 피복으로 향상되었고, PVP 피복으로는 약간 저하하였다. 6. Polymer피복 후 노후화 처리 종자의 발아율은 대부분의 polymer에서 피복 종자가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나 sepiret과klucel피복한 종자의 발아율은 현저하게 저하하였다. 7. 저온 발아성은 daran 8600, maltrin, sacrust 및 opadry 등에서는 향상되었고 나머지 polymer는 저해하였는데, 특히 PVP의 발아율이 가장 낮았다. 8. 초장은 대부분의 polymer 피복 종자에서 컸으나 watelock, PVP, maltrin등의 Polymer에서는 작았다. 저온 발아시 초장은 polymer피복으로 오히려 단축되었다. 9. 포장 출아율은 피복 종자가 훨씬 높았으며 출아 소요시간도 훨씬 단축되었다. 포장수분함량 90 %에서 출아율이 가장 양호하였고 출아 소시간도 단축되었으며, 95년 종자가 94년 종자보다도 출아률이 높았고 출아시간도 단축되었다. PVP가 sepiret보다 더 양호한 출아율을 나타냈다.

  • PDF

동아시아 특산식물 애기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ex Siebold & Zucc (Moreaceae) 종자의 발아특성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Seeds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ex Siebold & Zucc (Moraceae) Native to East Asia)

  • 김건모;정재민;정지영;최혁재;이승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6-43
    • /
    • 2022
  • 본 연구는 동아시아 특산식물 애기닥나무의 자원식물로서 활용을 위한 대량증식법 개발을 위해 실시하였다. 종자의 발아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광·온도조건, GA3 처리, 저온층적처리를 실시하였다. 온도조건 실험에서 4, 15/6, 20/10, 25/15℃에서 발아율은 각각 0, 42.5, 44.4, 91.7%였다. 따라서 애기닥나무 종자의 발아 최적온도는 25/15℃였다. 온도조건에 따라 발아가 제한되었지만, GA3 처리를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조건에서도 발아율을 높일 수 있었다. 저온층적처리를 통해 발아소요일수를 단축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애기닥나무 종자를 conditional dormancy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적정 발아 온도조건은 25/15℃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조건에서도 GA3처리로 종자기반 대량증식이 가능하며, 향후 산업적인 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벼 등숙기의 생장조절제처리가 종실 및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on Seed and Viviparous Germination in Rice)

  • 사종구;김기식;한세기;허범량;김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62-269
    • /
    • 1988
  • 벼의 등숙기간중에 발생하는 수발아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품종간 수발아성 비교, 출수후 종자발달에 따른 발아율 비교, 등숙기의 생장조절제 처리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 및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보비 재배한 포장에서의 수발아성은 일반형중 조생종들이 높았고 중만생종과 통일형 품종들은 수발아가 되지 않았다. 2. 일반형 품종인 대성벼는 출수후 30일, 통일형인 태백벼는 35일이 경과되면 발아력이 높아져 종자로서의 발아조건은 충분히 갖추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3. 공시한 두 품종 및 3처리시기에서 모두 수발아 억제에는 NAA 및 CMH는 100ppm 그리고 Reglone은 0.4∼0.6%의 농도에서 효과가 가장컸다. 4. 생장조절제가 처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공시된 두 품종 모두 NAA와 CMH는 무처리와 차이없이 양호 하였으나 Reglone 이 처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낮았다. 5. 생장조절제가 처리된 두 품종의 등숙율은 NAA와 CMH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Reglone처리 구는 낮았고 종자 색갈은 NAA만이 무처리와 비슷하였으며 CMH와 Reglone 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갈색을 띄는 미립이 많았다. 도정특성을 보면 NAA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고 CMH 및 Reglone을 출수후 20∼30일에 처리한 구는 완전현미비율이 낮았다.

  • PDF

한국, 일본에서 수집한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들의 종자발아 변이 (Variation of Seed Germination Among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Perilla Crop in Korea and Japan)

  • 정지나;유창연;김종화;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70-278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재배 및 이용하고 있는 들깨, 차조기 그리고 이들 잡초형 69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 특성 및 종자발아 변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177 g에서부터 0.40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대부분의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는 부드러운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일부 계통들은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잡초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45 g에서부터 0.17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2. 재배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4 g에서부터 0.101 g까지의 범위였고, 잡초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9 g에서부터 0.135 g까지의 범위였으며, 그리고 이들의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3. 실온 및 $28^{\circ}C$ 항온조건의 발아율 조사에서 수확 후 1개월째에서는 들깨의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대부분이 50% 이하의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재배형 들깨의 일부 계통들이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2개월 및 3개월이 경과한 상태에서 들깨의 재배형 및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는 계통들이 많이 나타났다. 4.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서의 평균발아율 및 평균발아세는 수확 후 1개월째에서 가장 낮고 수확 후 3개월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실온 및 $28^{\circ}C$ 항온조건에서의 발아율과 발아세는 $28^{\circ}C$ 항온조건 보다는 실온조건에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