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ermination

검색결과 3,268건 처리시간 0.031초

GA3처리와 저온습윤처리에 의한 흑노호(Kadsura coccinea)의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 촉진 (Gibberellic Acid and Cold Stratification Promotes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Kadsura coccinea)

  • 제병일;전중석;강점순;최영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88
    • /
    • 2023
  • Kadsura coccinea (Lem.) A.C. Smith is used as a medicinal plant and cosmetic material in China and Southeast Asia. To mass-produce Kadsura coccinea seedlings, the effects of gibberellic acid (GA3) and cold stratification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were investigated. Seed germination rate with GA3 treatment was most effective at concentrations of 250 or 500 mg/L. With respect to mean germination time (MGT), mean daily germination, and T50 (days to reach 50% seed germination), the germination-promoting effect was improved as the concentration of GA3 increased. Stem growth of seedlings was the highest following GA3 treatments of 250 and 500 mg/L, and the growth promoting effect gradually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GA3 decreased. Root growth was stimulated at GA3 concentrations of 250-1,000 mg/L.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stratification treatment for 15, 30 and 60 days at temperatures of 0, 5 and 10℃ on the germination rate revealed that the most stratification treatment temperature was 10℃, and the results improved with longer treatment periods. Altogether, GA3 and stratification treatments improved the seed germination rate, shortened the MGT, improved germination uniformity, and produced healthy seedlings.

개살구나무(Prunus mandshurica)의 종자휴면과 발아특성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Prunus mandshurica (Maxim.) Koehne)

  • 양승혁;권영현;김예은;고충호;이승연;이용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24-330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ormancy types and optimal germination conditions of Prunus mandshurica seeds. The pericarp of P. mandshurica seeds was presumed to be the reason for their poor water absorption. After the pericarp was removed with a razor blade, germination was observed to be less than 20.0% at all temperatures except at 5℃, suggesting the presence of physiological dormancy. Germination gradually increased at 5℃ after the removal of seed coat, reaching a final germination rate of 86.7% at 14 weeks of incub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 mandshurica seeds have a physiological dormancy. When seeds with removed pericarp were subjected to cold stratification, the germination percentage (rate) in the control group was low even at 16 weeks; however, the germination percentages in the 4, 8, and 12-week cold stratification groups were notably high with 93.3, 73.3, and 100.0%, 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in the GA3 treatment experiment with seed coats removed showed minimal germination, but at 10 weeks, the germination percentage rose to 98.3% when treated with GA3 at 100 mg/L. Thus, it is necessary to scarify or completely remove the pericarp of P. mandshurica seeds to promote germination. After pericarp removal, it is important to subject the seeds to cold stratification at 5℃ for at least 4 weeks or treat them with GA3 at 100 mg/L.

세엽형 훼스큐속 잔디의 발아특성 및 일일 발아패턴 비교 (Comparison of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Daily Seed Germinating Pattern in Fine-textured Fescues)

  • 김경남;박소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67-573
    • /
    • 2010
  • 본 연구는 세엽형 훼스큐 초종 간 초기 발아특성 및 발아 패턴을 파악하고자 시작하였다. 공시재료는 CF, CRF, HF 및 SF 4종류에서 선정한 6품종을 이용하였다. 발아실험은 국제종자검정협회 요구 조건인 ISTA 변온조건에서 수행하였으며 조사는 치상 후 1일 간격으로 일일 발아율 및 누적 발아율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ISTA 변온환경에서 세엽형 훼스큐 종자의 발아력, 발아특성 및 발아패턴은 초종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종자 발아력은 품종에 따라 40.25-82.00%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공시 초종의 발아패턴 경향은 CF, CRF 및 SF는 치상 후 5-6일 사이에 최초 발아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HF는 1일 늦은 치상 후 6-7일 사이에 최초 발아가 시작되어 초종에 따라 1일간 차이가 있었다. 세엽형 훼스큐 초종이 발아율 50%에 도달한 기간은 최초 발아 후 2-4일 경과 후 인 치상 후 8-10일 사이로 초종 간 2일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무적으로 필요한 발아율 60% 도달기간은 초종에 따라 치상 후 최소 9.10일에서 최대 14.80일 사이로 초종 간 발아속도 차이가 5.70일로 나타났다. 공시 초종 중 60% 발아율 도달 기간이 가장 빠른 품종은 CF 'Jamestown II', CF 'Shadow II' 및 HF 'Aurora Gold' 품종이었고, 반대로 가장 느린 종류는 HF 'Rescue 911' 품종이었다. 그리고 ISTA 변온환경에서 세엽형 훼스큐 초종 간 조성 속도는 CRF < SF < HF < CF 순서로 빠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초종 및 품종 간 특성 비교 데이터는 골프장 등 잔디밭 시공 시 실무적인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벼 수발아가 종자 활력, 발아율 및 입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Sprouting on Seed Viability,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Rate of Rice)

  • 손지영;김준환;정한용;김보경;최경진;양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27-434
    • /
    • 2014
  • 1. 생산지에 따라 벼 종자의 수발아립률 차이가 컸던 호품벼의 출아율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수발아율 8%인 시료는 수발아율이 1%인 시료에 비해 발아율과 출아율, 종자활력이 30% 낮았다. 2. 수발아율이 높은 시료는 수발아립의 변색 정도가 심하고 미발아율과 부패율이 높았다. 수발아립은 배가 돌출하고, 변색된 배유와 곰팡이 감염이 관찰되었으며 배유의 1/2이상이 변색된 종자는 발아율이 매우 낮았다. 3. 종자의 발아 진행정도에 따라 현미의 변색이 심해졌는데, 싹이 3 mm이상일 경우 배유의 1/2정도가 변색되었다. 4. 발아 종자는 싹이 3 mm이상일 때부터 재발아율이 크게 떨어졌으며 퇴화촉진처리 후 발아율의 감소가 더 컸다. 특히 퇴화촉진처리한 발아 종자는 싹이 2 mm부터 종자활력이 크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수발아 발생이 심할수록 파종기 발아율과 출아율의 감소가 크고, 수발아가 3 mm이상 발생하면 발아율이 크게 저하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수발아는 동일 품종과 동일 지역에서도 포장 간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재배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발아환경에 따른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품종간 발아력, 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 비교 (Comparison of Seed Germinating Vigor, Early Germination Speed and Germination Peak Time in Perennial Ryegrass Cultivars under Different Germination Conditions)

  • 김경남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74-282
    • /
    • 2013
  • 본 실험은 ISTA 변온 및 자연실온 환경에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신품종의 종자 발아력, 초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 등의 특성을 연구 비교해서 실무적으로 한지형 잔디의 설계, 시공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실험 I은 ISTA 변온(8시간: 광조건, $25^{\circ}C$; 16시간: 암조건, $15^{\circ}C$), 실험 II는 $5-25^{\circ}C$로 유지되고 있는 실내 실온환경에서 수행하였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종자의 발아력, 초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은 발아환경 및 품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자 발아력은 ISTA 변온환경에서 66.00-93.75%, 자연실온 환경에서 66.25-93.50%로 나타났다. 초기발아속도는 ISTA 변온에서 'Pennant II', 'Brightstar II', 'Sonata', 'Accent II' 품종, 자연실온에서는 'Pennant II' 및 'Brightstar II' 품종이 우수하였다. 품종별 발아피크 기간은 ISTA 변온 환경에서 1.48-5.65일, 자연실온에서는 2.17-10.63일로 나타났다. 발아환경에 관계없이 'Sonata', 'Pennant II' 및 'Brightstar II' 품종의 발아피크 기간이 짧았고, 발아피크 기간이 가장 긴 품종은 'Revenge GLX' 이었다. 본 실험 결과 종자 발아력, 초기발아속도 및 발아피크기간을 종합적으로 고려 시 ISTA 변온에서는 'Pennant II', 'Brightstar II', 'Sonata' 및 'Accent II' 품종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자연실온 환경에서는 'Pennant II' 및 'Brightstar II' 품종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EG를 이용한 priming 처리가 고로쇠나무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iming Treatment Using PEG on Seed Germination in Acer mono Max.)

  • 탁우식;조경진;최충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0-487
    • /
    • 2006
  • 본 연구는 발아율이 낮고 발아가 불균일할 뿐만 아니라 발아소요기간이 긴 고로쇠나무 종자의 발아율 및 발아속도를 향상시키고자 PEG를 이용한 priming 처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분퍼텐셜을 0, -0.25, -0.5, -1.0, -2.0MPa로 각각 조절한 PEG 용액에 3일 동안 침지시켜 priming 처리한 고로쇠나무 종자는 무처리구에 비해 priming 처리구에서 발아율,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 및 발아균일지수가 향상되었다. 특히, -2.0MPa 처리구에서는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priming 처리는 무처리구에 비해 휴면율이 낮게 나타나 휴면타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riming 처리가 종자발아 뿐만 아니라 유묘활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priming 처리 후 발아된 종자로부터 생장한 유묘를 대상으로 상대생장율 및 T/R율을 조사한 결과 -2.0MPa 처리구의 유묘에서 상대생장율은 가장 높고 T/R율은 가장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2.0MPa의 수분퍼텐셜에서 3일 동안 priming 처리하는 것이 고로쇠나무 종자에 있어 가장 합리적인 종자처리 방법이라 할 수 있었다.

한국잔디 종자의 발아특성과 발아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전처리 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Various Pre-treatment Methods for Enhancing Germination on Zoysiagrass)

  • 한정지;이광수;박용배;양근모;배은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32-239
    • /
    • 2014
  • 들잔디 종자의 발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정 종자 전처리 방법을 조사하였다. 종자들은 종피 연화 및 4가지 프라이밍 처리, 즉, 종피에 KOH 처리 유무에 따른 Hydro 프라이밍(증류수), Osmotic 프라이밍(폴리에틸렌 글리콜 -0.5MPa, -1.0MPa, -2.0MPa), Halo 프라이밍(질산칼륨 100 mM, 200 mM, 400 mM)과 Solid matrix 프라이밍(종자:microcel-E:증류수 = 4:1:8) 방법을 조합하였다. 종피 연화는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발아소요시간을 단축시켰다. 종피 연화 처리 후 Osmotic 프라이밍(PEG -0.5 MPa)에서 발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MGT, $T_{50}$이 감소하였다. 종자 발아율은 자연상태와 비교하여 60% 이상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종피연화와 프라이밍 처리한 잔디종자는 더 빠르고 균일하게 발아를 하였다. 현 연구를 통해 KOH처리와 PEG 프라이밍 처리는 파종 시 발아율을 향상 시켜 초기 잔디 조성을 빠르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염화물계 제설제의 농도처리에 따른 벼과와 국화과의 종자 발아특성 (Effect of Chloride-containing Deicing Salts Concentration on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ix Species of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 양지;이재만;송희연;박선영;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907-915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st tolerant species under salinity stress from amongst Asteraceae and Poaceae. The seeds of six species were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Cl_2$ (0, 9, 18, 45, 90 mM) and NaCl (0, 17, 34, 85, 170 mM), and germination was measured once every two day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nt germination of the six species of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were affected differently by changes in salinity concentration. Seed germination was reduced as salinity levels increase, and longer mean germination times correlated to lower percent germination and earlier germination cessation. Both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ha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s at 18 mM $CaCl_2$ and 34 mM NaCl, and seed germination and growth were severely reduced at salinities greater than 90 mM $CaCl_2$ and 170 mM NaCl. In the seeds of Poaceae, salt resistance was strong in the order of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and Phragmites communis Trin. In the seeds of Asteraceae, salt resistance was strong in the order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Aster yomena (Kitam.) Honda, and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Overall,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in Asteraceae than in Poacea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is the most tolerant species and that a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salt tolerance of percent germination and the mean germination time in the leaves.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Seed Dormancy of Iris dichotoma Pall., an Endangered Species Native to Korea

  • Park, Hyeong Bin;Lee, Byoung-Doo;Lee, Chang Woo;Hwang, Jung Eun;Park, Hwan Joon;Kim, Seongjun;An, Jiae;Kim, Pyoung Beom;Kim, Nam Young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4호
    • /
    • pp.229-234
    • /
    • 2021
  • Iris dichotoma Pall. found on Daechung Island in Korea has been designated as an endangered species. To aid in conservation efforts of this species, this study investigated its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seed dormancy type. Four sets of seeds were incub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4/1℃, 15/6℃, 20/10℃, and 25/15℃). One set of seeds was cold stratified (4 weeks at 4/1℃). The final germination rate and mean germination time showed that the optimal germination temperature was 25/15℃. Final germination rates were ~70%,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emperature treatments. However, mean germination ti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emperature treatments except for 4/1℃. Mean germination time for seeds with temperature treatments of 15/6℃, 20/10℃, and 25/15℃ were 3.2, 2.1, and 1.5 weeks, respectively. At 25/15℃, the mean germination time was half of that at 15/6℃. Seeds of I. dichotoma had fully developed embryos at the time of dispersal. No additional growth of the embryo was observed. Cold stratification did not affect the final germination rate or the mean germination time. This study shows that seeds of I. dichotoma have no physiological or morphological dormancy, unlike other members of the Iris genus known to have seed dormancy that needs a relatively high incubation temperature (≥25/15℃) for mass propagation to occur.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understanding ecophysiological mechanisms related to the species' habitat. They are also useful for mass propagation of I. dichotoma for the purpose of conserving this endangered species.

In Vitro Germination and Propagation by Embryo Culture of Taxus cuspidata for the Taxol Production

  • Park, Myung-Suk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29-33
    • /
    • 2000
  • To develop an efficient propagation method for yew tree, zygotic embryos were cultured under various conditions. When dissected embryos were cultured on GA$_3$ containing media, the highest germination frequency was observed on WPM medium contaning 1.0 mg/L GA$_3$. For germination of the embryos, two different conditions were compared; culturing embryos with endosperm (Method I), and 2) culturing embryos only (Method II). Maximum germination was achieved in 0.5 mg/L GA$_3$ when embryos with endosperm were cultured on the media. Of the media tested, White and WPM medium were the most suitable on germination of embryos. The abnormality of yew embryos found was observed when it cultured on GA$_3$ or culture media. About 40% of the precociously germinated embryos could be developed into full seedlings. Seedlings contained taxol in high quantity (535 $\mu\textrm{g}$/g dry weight). In vitro techniques will be sewed as a useful tool for the development of transformed root cultures and biosynthesis stu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