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iatric hospitals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2초

신체적 기능장애를 가진 국가유공자의 삶의 질 수준 및 관련 요인 연구 (Study of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in Veterans with Physical Dysfunction)

  • 권춘숙;김선엽;장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90-497
    • /
    • 2015
  • 본 연구는 신체적 기능장애를 지닌 국가유공자의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와 대전에 위치한 보훈병원에서 신체적 기능장애로 치료를 받고 있는 국가유공자 4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삶의 질은 SF-36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일상생활동작은 수정된 바델지수로, 통증수준은 4항목 시각적 상사척도로, 우울증 척도는 노인우울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질은 연령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와병기간이 길수록, 통증수준, 우울증 점수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삶의 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우울증(B=-.969)이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B=-5.098), 일상생활동작 수행(B=.140), 통증수준(B=-.163)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신체적 기능장애를 지닌 국가유공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심리적 접근 뿐 아니라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등 신체적 증상의 완화, 통증감소를 개선시킬 수 있는 의학적 중재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요양병원 외래부 대기공간 균일성 평가 (Uniformity Evaluation of Elderly Hospital Outpatients' Waiting Space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 윤소희;김석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90-499
    • /
    • 2017
  • 현대사회의 복잡다기한 문제파악과 분석을 위해 최근들어 다양한 변수를 바탕으로 하는 복잡계 분석의 도입이 활발해 지고 있다. 외래부의 공간배치에 따른 환자들의 공간인지와 사용성을 미리 예측하는 것은 질 높은 병원서비스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객관적 분석을 위해 노인의 질환별 표준프로그램 절차 및 분석을 위한 지표를 마련하고 히트맵 분석과 정량적 분석을 통해 대기공간의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복잡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진료공간 접수공간 상담공간의 배치변화에 따른 4개 대안의 대기공간 균일성을 분석하기 위해 73개의 셀을 설치하여 시뮬레이션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밀도를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대기공간의 전체 공간밀도는 접수공간의 배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2)검사공간과 진료공간의 확실한 분리배치가 대기공간의 균일성을 높여주는 방안이다. 3)접수공간의 위치가 입구에서 가까울수록 대기공간의 밀도균일이 커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기공간 균일성 평가에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행위자기반모델이 공간분석 방법론으로서의 활용과 평가에 활용도를 가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장기요양시설 거주 치매 노인의 욕구: 대상자와 간호제공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Need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patients and caregivers)

  • 강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60-26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 노인의 욕구를 대상자와 간호제공자의 관점에서 각각 평가함으로써 치매 노인의 실제적인 욕구를 반영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는 3개의 노인전문병원에서 총 145명의 치매 노인과 62명의 간호사들이 참여하였다. 치매 노인의 충족된 욕구 및 미충족된 욕구는 Camberwell Assessment of Need for the Elderly(CANE) 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치매 노인 대상자의 인지기능, 정신행동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ADL),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을 측정하여 총 욕구의 개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고,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욕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치매 노인이 평가한 평균 욕구의 개수는 11.94개였으며, 평균 미충족 욕구의 개수는 2.91개였다. 반면 간호사들이 평가한 치매 노인의 평균 욕구의 개수는 14.71개였으며, 이중 미충족 욕구는 평균 1.94개였다. 가장 많은 수의 치매 노인들이 미충족 욕구로 인식한 영역은 낮 시간 활동 영역이었다(42.2%, n=61). 반면 간호사들의 경우 24.1%(n=14)만이 이 영역에 대한 욕구가 미충족 되었다고 평가하여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치매 노인의 총 욕구의 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IADL과 ADL 수준이었다. 따라서 장기요양시설의 간호제공자들은 치매 노인의 충족 및 미충족 욕구 평가시 대상자의 관점을 반영하여 이를 바탕으로 간호의 우선순위를 설정해야 하며, 대상자들의 일상생활 수행에 충분한 도움을 주어야 하겠다. 향후 지역사회 치매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치매 환자의 욕구 평가 연구가 필요하다.

일상생활수행 제한 노인들의 재활운동행위의 실천에 따른 영향요인 분석(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Influential Factors on Rehabilitation Exercise Practice in Elderly Lmited Activities of Daily-Living: An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김수민;박재용;한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71-281
    • /
    • 2010
  • 이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하여 일상생활수행에 제한이 있는 노인 환자들의 자발적 재활운동 행위의 실천에 영향을 주는 예측인자를 분석하고자 부산 경남지역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노인 중일상생활수행에 제한이 있는 350명을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자 중 316명에 대해 4주간의 재활운동교육을 시행하고 2주후 재활운동 실천 행위를 확인하기 위해 2차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재활운동행위에 대한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태도(.61), 지각된 행위통제(-.56), 주관적 규범 (.27) 순이었으며, 운동행위 실천에 대해 의도는 유의하였으나, 지각된 행위는 유의하지 않아 선행연구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태도가 지각된 행위통제에 비하여 의도를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인일수록 주관이 강하고 자신의 생각을 쉽게 바꾸지 않는 성향에 따라 태도가 의도로 표출되는 것이므로 재활운동행위의 실천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건강신념을 가지게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최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치매 단계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차이 비교 (Comparis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Differences with Dementia Stage)

  • 장종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57-563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사회와 시설에 거주중인 치매환자들의 단계에 따라 기본적 일상생활수행,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을 파악하여 임상현장에 근거를 제시하고 치매환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국에 소재한 요양원, 주간보호센터, 지역사회, 보건소, 요양병원, 요양원, 광역치매지원센터 등 15개의 기관에서 실시하였으며, 2015년 10월 1일 ~ 2015년 11월 20일까지 지역사회거주 치매환자 100명, 시설거주 치매환자 100명을 평가하였다. 모든 자료는 연구자와 평가방법에 대해 충분한 교육을 받은 평가자들이 ADCS-ADL, S-IADL, S-ADL, MMSE-K를 직접 평가하였다. 치매환자의 단계별 일상생활수행수준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후 사후검정과 시각적 그래프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거주형태와 치매단계에 따른 분석은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지역사회거주 치매환자와 시설거주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수준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과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의 모든 항목이 중등도 치매단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p<.01), 사후검정결과 최경도, 경도와 중등도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치매거주 형태별로 일상생활수행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향후 진행되는 치매연구에서는 효과의 지표로써 일상생활수행평가의 적용 시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보다는 수단적 일상생활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가정간호제도화 방안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Instituting Home Health Care in Korea)

  • 윤순녕;황나미;현혜진;최정명;권미경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권
    • /
    • pp.5-18
    • /
    • 1995
  • While the socioeonomic status of Koreas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chronic and geriatric diseases have also been on the rise, bringing about many changes in our health care system. The basic goals of the home health care are to reduce health care costs, to increase the attrition rate in general hospitals, and to care for patients effectively and conveniontly at ho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home health care in Korea throughout the reports, surveys, other informations and education system of home health nurse. We identified the various types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programs, such as hospital-based home health care operated in public sector(demonstration project) and community-based home health care in health centers or in private sector, that is, Korean Nurse Association. Hospital based home heatlh care model was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in-patiet services. Quality assurance and client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measure of care received and establishment of payment and reimbursement for home health care services is important in promotng the home health care. We found out a fee-per-visit system composed of three kinds of fees : a basic service fee(16,000 Won), a travel fee(5,000 Won), and per-service fees (variables). Like fees paid for in-patient care, insureds pay 20% and insurers pay 80% of the basic and per-service fee. The travel fee is borne totally by the insured. Home health care continues to be viewed as not only the most preferred way to provide care to clients, but also the most cost effective. Home health care is that component of a continuum of comprehensive health care whereby health services are provided to individuals and families in their places of residence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maintaining, or restoring health, or of maximizing the level of independence, while minimizing illness. Services appropriate to the needs of the individual patient and family should be planned and provided, nursing is to be a force for positive change and enhanced the nursing professionalism. Whatever type of involvement of home health care, it is essential to remember that home health care is highly service-oriented and highly touch health car deilvery system.

  • PDF

Associations of Elderly Onset Headache With Occurrence of Poor Functional Outcome, Cardiovascular Disease, and Cognitive Dysfunction During Long-term Follow-up

  • Cho, Soo-Jin;Kim, Byung-Kun;Kim, Byung-Su;Kim, Jae-Moon;Kim, Soo-Kyoung;Moon, Heui-Soo;Cha, Myoung-Jin;Park, Kwang-Yeol;Sohn, Jong-Hee;Chu, Min Kyung;Song, Tae-Jin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176-183
    • /
    • 2018
  • Background: Although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daches decrease in older adults, headaches in this population are still an important neurological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headache characteristics in older adults with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cognitive dysfunction. Methods: We prospectively enrolled 125 older (${\geq}65$ years old) patients with headache who were making their first visit to outpatient clinics and who had no prior history of cognitive dysfunction from 11 hospitals in Korea between August 2014 and February 2015. W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newly developed/or recurrent headache, cardiovascular disease, cognitive dysfunction, and poor functional outcomes. Results: The mean age of all included patients was 72.6 years, 68.8% were women, and 43 (34.4%) had newly developed/or recurrent headache during follow-up. During a median follow-up of 31 months (interquartile range, 28-34 months), 21 participants (16.8%) experienced cardiovascular disease, and 26 (20.8%) developed cognitive dysfunction. Upon multivariate analysis and after adjusting for sex, age, and other factors, presence of newly developed/or recurrent headache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hazard ratio [HR], 4.03; 95% confidence interval [CI], 1.28-12.61; p=0.017) and frequency of headache for the recent 3 months was related with cognitive dysfunction (HR, 1.05; 95% CI, 1.00-1.09; p=0.017) and poor functional outcomes (HR, 1.06; 95% CI, 1.01-1.11; p=0.011).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is an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ognitive dysfunction, and poor functional outcomes in older patients with frequent, newly developed, or recurrent headache.

The Clinical Impact of Advanced Age on the Postoperative Outcomes of Patients Undergoing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Analysis Across US Hospitals Between 2011-2017

  • Lee, David Uihwan;Fan, Gregory Hongyuan;Chang, Kevin;Lee, Ki Jung;Han, John;Jung, Daniel;Kwon, Jean;Karagozian, Raffi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2권3호
    • /
    • pp.197-20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evaluated the implications of advanced age on post-surgical outcomes following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using a national database. Materials and Methods: The 2011-2017 National Inpatient Sample was used to isolate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From this, the population was stratified into those belonging to the younger age cohort (18-59 years), sexagenarians, septuagenarians, and octogenarians. The younger cohort and each advanced age category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following endpoints: mortality following surgery, length of hospital stay, charges, and surgical complications. Results: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5,213 patients: 1,366 sexagenarians, 1,490 septuagenarians, 743 octogenarians, and 1,614 under 60 years of age. Between the younger cohort and sexagenaria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tality (2.27 vs. 1.67%; P=0.30; odds ratio [OR], 1.36; 95% confidence interval [CI], 0.81-2.30), length of stay (11.0 vs. 11.1 days; P=0.86), or charges ($123,557 vs. $124,425; P=0.79). Compared to the younger cohort, septuagenarians had higher rates of in-hospital mortality (4.30% vs. 1.67%; P<0.01; OR, 2.64; 95% CI, 1.67-4.16), length of stay (12.1 vs. 11.1 days; P<0.01), and charges ($139,200 vs. $124,425; P<0.01).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septuagenarians had higher mortality (P=0.01; adjusted odds ratio [aOR], 2.01; 95% CI, 1.18-3.43). Similarly, compared to the younger cohort, octogenarians had a higher rate of mortality (7.67% vs. 1.67%; P<0.001; OR, 4.88; 95% CI, 3.06-7.79), length of stay (12.3 vs. 11.1 days; P<0.01), and charges ($131,330 vs. $124,425; P<0.01).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octogenarians had higher mortality (P<0.001; aOR, 4.03; 95% CI, 2.28-7.11). Conclusions: Advanced age (>70 years)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death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undergoing gastrectomy.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Effects of the Comfort Promotion Program for Prevention of Delirium among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in Long-term Care Hospital)

  • 황혜정;신영희;김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03-215
    • /
    • 2017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이 섬망발생, 섬망지속정도, 섬망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검토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7월 3일부터 8월 2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요양병원에 입원중인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로 실험군 34명, 대조군 34명이었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ne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은 Kolcaba이론을 바탕으로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섬망발생률은 실험군 2.9% (1/34명), 대조군 14.7% (5/34명)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x^2=3.98$, p=.047), 섬망심각도는 실험군(0.24)이 대조군(5.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t=2.27, p=.027). 섬망지속시간은 실험군(2일)이 대조군(2~10일)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x^2=3.22$, p=.043). 시간의 변화에 따라 실험군에서 안위는 증가하였으며(F=108.85, p<.001), 불안(F=63.39, p<.001)과 우울(F=89.78, p<.001)은 감소하였다. 수면의 질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고(F=63.63, p<.001), 통증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F=93.64, p<.001). 결론적으로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환자의 섬망예방을 위해서 신체, 심리 영적, 사회 문화적, 환경적 접근을 한 Kolcaba이론에 근거한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중재예방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는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들의 섬망예방을 위해서 신체, 심리 영적, 사회 문화적, 환경적 맥락에서의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중재프로그램을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