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logical differences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4초

지질답사 전후 예비 초등 교사의 지질 영역에 대한 지식과 지질답사에 대한 자신감의 변화 (Changes in Geol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fore and after Geological Field Trips)

  • 이면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484-49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geol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before and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s. Fifty seven undergraduate students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serve the purpos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before and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of geological content knowledge (p<.05). However, participants' self-confidence about the geological field trip changed significantly (p<.01).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both variables in terms of gender (p<.05). An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two: science track that selected science areas and non-science track with social study selected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geol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in terms of science or non-science track (p<.05). Third, in terms of the geological content knowledge, 24 pre-service teachers showed an increase, 12 students unchanged, and the 21 participants decreased. In contrast, per participants' self-confidence about the geological field trip, fifty three students indicated an increase with only one participant unchanged, and three preservice teachers decreased on the score. Finally,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 participants' comments indicated that they could feel the mystery of nature with the mind of a great experience. As a result, data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became interested in geology, and motivated more in learning geological area than ever.

  • PDF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토양지질도 분포와 실내라돈 상관성 연구 : 화천 및 장수의 사례를 근거로 (The Research for Relationships between Concentration of Indoor Radon and Distribution of Soil Geological Map using GIS : Based on the Hwacheon and Jangsu Areas)

  • 권명희;이재원;김성미;이정섭;정준식;유주희;이규선;송석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3-351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oor radon concentrations and distribution from soil geological mapping in the Hwacheon and Jangsu areas. Methods: GIS and a pivot table were used for inquiries about indoor radon contents, soil characteristics, and geological differences. Results: The Hwacheon area wa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normal and reverse faults as a passage of runoff for radon, sufficient occurrences of minerals containing uranium within granite as a radon source, a high concentration of radon within the granite area and clear differences of radon concentrations between granitic and metamorphic areas. The Jangsu area wa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normal faults, wide distributions of alluvium, and ambiguities on radon concentrations indoors among areas of geological differences. Considering the granite area and alluvium surrounded with granite areas, the characteristics of radon concentrations within soils and indoors in the Jangsu area are similar to those of the Hwacheon area. High concentrations are found with entisol and inceptisol in the Hawcheon area, but with entisol, inceptisol, and ultisol in the Jangsu area. High radon concentrations are found in sandy loam and/or loam. High concentrations are found in recently constructed or brick buildings, but low concentrations in traditional or prefabricated houses showing a high possibility of outward flow. Conclusions: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radon concentrations in the Hwacheon and Jangsu area are dominantly influenced by ge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additional artificial influences.

남북한 지질학 용어의 비교 분석 (Comparison of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 김정률;최근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691-703
    • /
    • 2003
  • 북한에서 발행된 '조선의 지질'과 남한에서 발행된 '한국의 지질'을 중심으로 남북한에서 발행된 지질학 관련문헌을 조사하여 남북한의 지질학 용어를 비교 ${\cdot}$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북한의 자료에 의하면 북한에서 현재사용하고 있는 지질학 용어의 총 수는 1272개이다. 이들 지질학 용어는 지질연대학 용어가 49개, 광물학 용어가 201개, 암석학 용어가 199개, 구조지질학 용어가 257개, 고생물학 용어가 93개, 일반지질학 용어가 473개이다. 지질학 용어의 남북한 이질화 정도를 살펴보면, 전체 지질학 용어 중에서 남북한간에 표현과 의미가 같은 동음 동의어는 657개로 약 51.7%이고, 표현하는 방법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쉽게 그 뜻이 이해되는 동의 유사어는 370개로 약 29.1%이며, 남북한간에 표현하는 방법이 달라서 쉽게 뜻이 통하지 않는 이음 동의어는 245개로 약 19.2%이다. 남북한간에 지질학 용어가 이질화된 원인은 한글 전용 원칙의 차이, 외래어 표기법의 차이, 두음법칙 적용의 차이, 붙여쓰기 표현의 차이, 서로 다른 문화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

땅밀림 우려지의 토양 및 지질환경 특성에 관한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Soil and Geolog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Slow-moving Landslide Prone Areas in the Republic of Korea)

  • 양대성;임상준;서정일;봉태호;김동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3호
    • /
    • pp.382-392
    • /
    • 2024
  • 이 연구는 국내에서 발견된 땅밀림 우려지와 일반산지 간의 토양 및 지질환경 특성값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19~2021년 3년간의 땅밀림 실태조사 결과에서 최종적으로 땅밀림 우려지로 판정된 107개소와 일반산지로 판정된 193개소 등 총 300개소에 대하여, 11개의 토양 및 지질환경 특성 인자를 각각 측정하였다. 땅밀림 우려지와 일반산지 등 두 집단 간의 특성 요인별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표본집단의 분포 특성을 고려하여 비모수검정인 χ2-검정 및 밀도그림 작성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토양 내부마찰각, 풍화암 층후, 기반암 층후, 주요 지질 이상대 개수 요인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특성값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내 땅밀림 우려지는 일반산지와 비교하여 지층 층후 및 이상대 존재 유무 등 지질환경 특성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이 연구에서 규명된 지질환경 특성과 땅밀림 발생의 인과관계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지속적인 현장 자료 확보 및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지층처분 암종 평가를 위한 경상분지 진주층 예비연구: 암상 및 광물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Preliminary Study on the Jinju Formation in the Gyeongsang Basin to Evaluate Host Rock for High-level Radioactive Waste Geological Disposal: Focusing on Lith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 홍성경;진광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4호
    • /
    • pp.387-396
    • /
    • 2024
  • 고준위방사성폐기물(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지층처분은 지하 심부의 안정한 지층에 폐기물을 영구 격리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지층처분 암종으로 결정질암과 더불어 낮은 투수성을 가지며 이온을 흡착하여 핵종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점토광물을 다량 포함하는 이암(실트암과 점토암)이 고려되거나 선정 되고 있다. 국내의 다수 육상퇴적분지에 이암이 분포되어 있으나 지층처분 암종 평가를 위한 암상 및 광물학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지층처분 암종 평가를 위하여 시추한 진주층 시추공(JBH-1, 7-754 m)의 이암의 분포 양상과 광물 조성을 연구 하였다. 더불어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으로 선정되어 다학제적 연구가 진행 중인 스위스 Opalinus Clay와 비교 분석하였다. 40% 이상의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점토암은 진주층 시추공의 상부(7-350 m)에 두꺼운 두께로 다수 협재하는 특징을 보인다. 진주층 점토암의 점토광물 특성은 심도에 따른 변화를 보이지 않으나 장석 및 탄산염 광물의 함량과 조성은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광물 특성 변동은 핵종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공극수의 조성과 암석역학적 특성 등에 심도별 차이를 야기할 수 있다. 진주층 점토암의 점토광물 함량은 Opalinus Clay와 유사하나 점토광물 조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Opalinus Clay는 스멕타이트/일라이트 혼합층 광물을 포함하는 반면에 진주층 점토광물은 높은 매몰 온도에서 변질되어 형성된 일라이트가 우세하게 관찰된다. 본 연구 결과들은 국내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지층처분 암종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spatial variability of earthquake ground motion in cable-stayed bridges

  • Ferreira, Miguel P.;Negrao, Joao H.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23권3호
    • /
    • pp.233-247
    • /
    • 2006
  • Most codes of practice state that for large in-plane structures it is necessary to account for the spatial variability of earthquake ground motion. There are essentially three effects that contribute for this variation: (i) wave passage effect, due to finite propagation velocity; (ii) incoherence effect, due to differences in superposition of waves; and (iii) the local site amplification due to spatial variation in geological conditions. This paper discusses the procedures to be undertaken in the time domain analysis of a cable-stayed bridge under spatial variability of earthquake ground motion. The artificial synthesis of correlated displacements series that simulate the earthquake load is discussed first. Next, it is described the 3D model of the International Guadiana Bridge used for running tests with seismic analysis. A comparison of the effects produced by seismic waves with different apparent propagation velocities and different geological conditions is undertaken.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nalysis with and without spatial variability of earthquake ground motion can be important for some displacements and internal forces, especially those influenced by symmetric modes.

Comparison of the Paleontological Heritages of South Korea with Those of North Korea: Implications for Potential International Heritages

  • Kim, Jeong Yul;Park, Won Mi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7-88
    • /
    • 2018
  • The important PH (paleontological heritages) with scientific, educational and esthetic valu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and protected by legislations of South and North Koreas are herein compared for the first time. On the basis of data (Jan. 2017) provid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South) Korea, a total of 457 natural monuments was designated. Of these, geological heritages are 80 in number, which includes 24 (30%) PH. Data (Dec. 2005) of North Korea show that a total of 474 natural monuments was designated. Among these, geological and geographical ones are 154 in number, which includes 22 (14%) PH. Differences between PH of South and North Koreas are regarded to be directly related with geological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the fossil-bearing strata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PH of Silurian corals, Devonian plants, Jurassic fishes, Cretaceous dinosaur tracks, birds (so called Korean Archaeopteryx) and pterosaurs, and Pleistocene paleoanthropological fossils appear to be scientifically significant. Together with these North Korean PH, scientific, esthetic, conservational, educational, and economical values of important PH including KCDC (Korean Cretaceous Dinosaur Coast), Jigunsan Shale, and Geumgwangdong Shale of South Korea should be evaluated as potential future candidates for international heritages.

Effect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on Work-Related Accident Rate and Differences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Awareness between Managers in South Korea's Construction Industry

  • Yoon, Seok J.;Lin, Hsing K.;Chen, Gang;Yi, Shinjea;Choi, Jeawook;Rui, Zhenhu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4권4호
    • /
    • pp.201-209
    • /
    • 2013
  • Backgrou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OHS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effect of OHSMS on accident rates. Differences of awareness levels on safety issues among site general managers an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OHS) managers are identified through surveys. Methods: The accident rates for the OHSMS-certified construction companies from 2006 to 2011, when the construction OHSMS became widely available,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OHSMS on the work-related injury rat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18001 is the certification to these companies performing OHSMS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was crea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OHSMS awareness between site general managers and OHS managers of construction companies. Results: The implementation of OHSMS among the top 100 construction companies in South Korea shows that the accident rate decreased by 67% and the fatal accident rate decreased by 10.3% during the period from 2006 to 2011. The survey in this study shows different OHSMS awareness levels between site general managers and OHS managers. The differences were motivation for developing OHSMS, external support needed for implementing OHSMS, problems and effectiveness of implementing OHSMS. Conclusion: Both work-related accident and fatal accident rat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duced by implementing OHSM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of OHSMS awareness between site general managers and OHS managers were identified through a survey. The effect of these differences on safety and other benefits warrants further research with proper data collection.

한반도 남부의 지역규모식 검토 (Review on $M_L$ Scales in Southern Korea)

  • 신진수;지헌철;조창수
    • 지구물리
    • /
    • 제8권4호
    • /
    • pp.207-209
    • /
    • 2005
  • 한반도 남부의 지진으로부터 Richter의 원래 정의에 따라 유도된 지역규모식들을 검토하였다. 이들 지역규모식들의 비교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04년 사이에 발생한 126개 지진의 광대역 속도기록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규모식의 거리수정항을 다음과 같이 새롭게 결정하였다. - log A 0 = 1.017 log ( r/17) + 0.00028 ( r - 17)2 +2 .0 이 결과는 한반도 남부의 변위 감쇠율이 미국 서부 지역보다는 낮고 동부지역보다는 높은 값이다. 이 결과는 김성균, 박민아(2002)가 제안한 지역규모식과 거의 일치한다. 이전에 연구된 지역규모식들의 차이는 주로 사용된 자료의 제한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최근 경주지역 미소지진 진원 위치 (Location of Recent Micro-earthquakes in the Gyeongju Area)

  • 한민희;김광희;손문;강수영;박정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9권2호
    • /
    • pp.97-104
    • /
    • 2016
  • 우리나라 남동부에 위치한 경주와 그 주변지역에서는 과거부터 최근까지 크고 작은 지진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계기지진자료를 검토하여 경주 주변 약 $20km{\times}30km$ 지역 내에서 지진이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지역에서 2010년 1월부터 2014년 12월 사이에 발생했지만, 그 규모가 너무 작아 미처 보고되지 않은 300개 이상의 미소지진을 식별하고 그 발생위치를 결정하였다. 연구지역 지하의 속도구조와 진원요소 결정에 사용하는 속도모델의 차이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JHD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지역에서는 활성으로 의심되는 제4기 단층들이 여러 장소에서 보고되고 있으므로, 이 단층들과 미소지진발생과의 관련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로이 발생사실이 보고되는 미소 지진들은 연일구조선의 남측분절, 석읍단층 그리고 와읍분지 경계단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