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methods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21초

불포화 지반에서의 산사태 3차원 안정해석에 대한 사례연구 (Three-dimensional Stability Analysis of Landslides in Unsaturated Soils: A Case Study)

  • 김성진;오세붕;유영근;신호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3호
    • /
    • pp.359-369
    • /
    • 2022
  • 산사태에 대한 비탈면 안정해석시, 산지 비탈면의 경사와 지형의 변화가 심한 경우에는 엄밀한 해석으로 안정성을 평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층에서 강우로 인한 침투 현상을 해석하여 간극수압의 변동을 고려한 산사태 안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탈면 안정해석 시 실제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을 선정하여 3차원 비탈면 안정해석을 수행하였고 무한비탈면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세밀한 지반정보를 기반하여 3차원 비탈면 안정해석으로 지형에 따라 변동하는 산사태의 발생위치와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비선호 시설의 인구분포 관련 입지기준 평가를 위한 GIS-기반 방법론 연구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 (GIS-Based Methods to Assess the Population Distribution Criteria for Undesirable Facilities: The Case of Nuclear Power Plants)

  • 이상일;조대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755-774
    • /
    • 2012
  • 본 논문의 주된 연구목적은 비선호 시설,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인구분포 관련 입지기준 평가를 위한 GIS-기반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IAEA, 미국의 NRC, 그리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제시하고 있는 입지기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원자력 발전소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인구중심지까지의 거리를 최대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입지 평가 원리임이 확인되었다. 이 원리를 실행하기 위한 GIS-기반 방법론은 서로 연관된 두 가지 하위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하나는 인구분포에 대한 정밀한 재현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인구중심지의 확인이다. 본 연구는 전자에 대해서는 대시메트릭 에어리얼 인터폴레이션 기법을, 후자에 대해서는 셀-기반 임계밀도 기법과 구역-기반 임계밀도 기법을 제시한다. 대시메트릭 에어리얼 인터폴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공간해상도를 갖는 그리드 셀 단위의 인구밀도 분포의 재현이 이루어진다. 이것에 두 가지 인구중심지 확인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특정한 임계밀도와 인구 규모 기준을 만족하는 인구중심지가 확인된다. 이 기법들을 우리나라 고리 원전 1호기의 사례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과 한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적용된 기법과 투입된 파라미터 값에 따라 입지기준 평가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지리공간분석 및 모델링 분야에서 개발된 기법을 입지 결정과 평가에 적용하는 시도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초단주기 지표온도 위성자료와 다변량 공간통계기법을 결합한 산지 지역의 기온 분포 추정 (Estimating Air Temperature over Mountainous Terrain by Combining Hypertemporal Satellite LST Data and Multivariate Geostatistical Methods)

  • 박선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5-121
    • /
    • 2009
  • 지형 굴곡이 심한 하와이 화산섬의 경우, 측후소 분포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공식적인 기온 분포도가 작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온 지도화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위성기반의 지표온도 자료로부터 기온추정치를 추출하여 내삽법에 필요한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추출된 온도값을 표본값으로하여 거리 역비례 가중치법(IDW)과 공동크리깅 (cokriging)을 적용하여 기온추정치를 지도화하였다. 기온과 고도값을 함께 이용한 cokriging이 IDW에 비해 크게 향상된 추정 오차값을 나타내었다. Cokriging은 주 변수와 고도와 같은 추가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내삽법이지만, 내삽 정확도는 계절적인 기상조건에 민감하게 영향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수량이 크게 증가하는 우기에는 건기에 비해 공간적인 기온변화가 크며, 이에 따라 기온 추정 오차값도 우기에 높게 나타났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안습지 지형경관 변화 분석의 효율성 평가 (Efficiency Assessment of Analysing Coastal Geomorphic Landscape Change by Satellite Image Interpretation)

  • 박의준;구자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822-834
    • /
    • 2003
  • 오늘날의 지형경관변화 분석은 그 규모와 시공간적 제한으로 말미암아 과거와 같이 연구자의 직접적인 참여관찰에 의해 취득된 정보만으로는 많은 한계를 가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직접적인 참여관찰이 어려운 해안습지 지역의 대규모 지형경관변화를 분석하는 방법들을 비교, 평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지역은 지난 10년간 국제공항의 건설로 대규모 지형경관변화를 경험한 영종도 북부 해안습지를 사례지역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존의 마스크 기법을 보완한 화소차이 마스크 기법. 화소표준화 마스크 기법, NDVI 마스크 기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해안습지의 지형경관변화를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반영하는 기법은 NDVI 마스크 기법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해군함정의 GPS 수신기 활용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Use and Development Plan of GPS Receiver in Naval Vessels)

  • 임봉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685-69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첨단화되어 가는 GPS 수신기 환경 하에서도 재래항법에 비해 그 활용도가 저조한 해군함정에서의 GPS 수신기 활용 현황을 알아보고, 해군함정에 설치된 GPS 수신기의 정밀도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또한, 해군함정 근무자들에 대한 면담 및 설문 조사를 통하여 사용자가 갖는 GPS 수신기에 대한 신뢰도와 활용도를 알아보았고, 해군차원에서의 GPS 수신기 시스템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군함정 근무자들은 GPS 수신기의 정밀도를 지문항법에 의한 실측위치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활용도는 실측위치나 R/D위치의 산출이 불가한 경우 또는 이 위치들과의 비교 및 확인용도 정도로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군차원에서 GPS 수신기 시스템의 발전방안으로는 고장이 잘 나지 않고 전자해도와 연동된 GPS 수신기 시스템의 도입 및 병렬시스템 설계 등을 제시하였다.

DEM에서 추출한 하천종단곡선의 평활화 방법 고찰 및 새로운 방법의 제안 (Comparison Analysis of Methods for Smoothing the Stream Profiles Extracted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Suggestion of a New Smoothing Method)

  • 변종민;성영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39-356
    • /
    • 2014
  • DEM의 보급과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DEM으로부터 하천종단을 추출하는 것이 과거 어느 때보다 용이해졌다. 하지만 DEM에서 추출된 하천종단은 인위적인 평지 및 계단과 같은 문제점들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런 하천종단을 얻어내기 위해서는 평활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평활화 자체는 원본 하천종단의 변형을 필연적으로 동반하기 마련이다. 지금까지는 평활화로 인한 원자료의 변형에 대해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요 평활화 방법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평활화 방법을 제안하며, 이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보다 정밀한 평활화 방법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평활화 방법을 선택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지형정보시스템기법을 이용한 친환경적 골프코스 설계 (Applica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n Golf Course Design for Reduc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 주영규;이활희;이무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3-105
    • /
    • 2006
  • 최근 많은 수의 골프장 건설로 인하여 국토의 상당면적이 원지형의 변화 또는 파괴되고 있으며 주변 생태계가 급속한 변이를 겪고 있다. 골프코스 건설을 위해서는 정밀하고 효율적인 설계를 요하지만 기존의 통상적 설계방식으로는 사업의 방대성으로 인한 설계자료의 처리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공사 후의 경관 변화에 대한 예측이나 환경영향 저감대책에 대하여 적절한 대안을 제시할 적절한 수단이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형정보시스템(GIS)을 골프코스 설계에 적용하여 건설에 따른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골프코스 설계 기법개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된 내용은 지형정보시스템을 기초자료입력 단계에서부터 최종 성과물 단계까지 적용시켜 전 설계과정을 전산화하며, 부수적으로 골프 경기의 기능적 효과 증대 토지이용의 적정성, 코스유지 관리의 용이성 등을 사전 검토할 수 있는 친환경적 전산설계기법을 개발 연구하였다.

개발밀도를 고려한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도시 토지이용 변화 모델링 (Cellular Automata Based Urban Landuse Change Modeling Considering Development Density)

  • 조대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7-133
    • /
    • 2008
  • 개발밀도는 현대 도시 관리의 주요 관심사임에도 불구하고 이론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도시 모델링 방법론을 확장하여 개발밀도를 고려한 도시 토지이용 변화 모델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제안된 모델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개발밀도를 명시적으로 고려할 분만 아니라 국지적인 밀도 변화를 직접적으로 추정한다. 개발된 모델을 1980년대 초$\sim$2000년대 초의 서울 도심부 토지이용 변화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제안된 모델은 토지의 용도 변화 뿐만 아니라 밀도 변화에도 유의미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제안된 모델은 데이터 구득의 한계로 인해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가지게 되었다. 더불어 모델의 보정 및 타당성 검토 방법론은 본 연구에서 충분히 검토되지 못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Genetic Diversity of Toxoplasma gondii Strains from Different Hosts and Geographical Regions by Sequence Analysis of GRA20 Gene

  • Ning, Hong-Rui;Huang, Si-Yang;Wang, Jin-Lei;Xu, Qian-Ming;Zhu, Xing-Qua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345-348
    • /
    • 2015
  • Toxoplasma gondii is a eukaryotic parasite of the phylum Apicomplexa, which infects all warm-blood animals, including human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sequence variation in dense granule 20 (GRA20) genes among T. gondii isolates collected from different hosts and geographical regions worldwide. The complete GRA20 genes were amplified from 16 T. gondii isolates using PCR, sequence were analyzed, and phylogenetic reconstruction was analyzed by maximum parsimony (MP) and maximum likelihood (ML)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lete GRA20 gene sequence was 1,586 bp in length among all the isolates used in this study, and the sequence variations in nucleotides were 0-7.9% among all strains. However, removing the type III strains (CTG, VEG), the sequence variations became very low, only 0-0.7%.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A20 sequence in type III was more divergence. Phylogenetic analysis of GRA20 sequences using MP and ML methods can differentiate 2 major clonal lineage types (type I and type III) into their respective clusters, indicating the GRA20 gene may represent a novel genetic marker for intraspecific phylogenetic analyses of T. gondii.

Population Allocation at the Building level for Micro-level Urban Simulation: A Case of Jeonju, Korea

  • Kim, Dohyung;Cho, Dongi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9권2호
    • /
    • pp.223-239
    • /
    • 2020
  • It is important for urban planners and policy makers to understand complex, diverse urban demands and social structure, but this is not easy due to lack of data that represents the dynamics of residents at micro-geographical level. This paper explores how to create population data at at a micro-level by allocating population data to building. It attempted to allocate population data stored in a grid layer (100 meters by 100 meters) into a building footprint layer that represents the appearance of physical buildings. For the allocation, this paper describes a systemic approach that classifies grid cells into five prototypical patterns based on the composition of residential building types in a grid cell. This approach enhances allocation accuracy by accommodating heterogeneity of urban space rather than relying on the assumption of uniform spatial homogeneity of populations within an aerial unit. Unlike the methods that disaggregate population data to the parcel, this approach is more applicable to Asian cities where large multifamily residential parcels are common.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paper does not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e allocated population since there is a lack of the actual data available to be compared with the current estimated population. In the case of water and electricity, the data is already attached to an individual address, and hence, it can be considered to the purpose of the validation for the allocation. By doing so,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innovative methods that create a population distribution dataset representing the comprehensive and dynamic nature of the population at the micro geographic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