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role socializat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8초

어머니와 아동의 성역할 태도와 성역할 사회화에 대한 지각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in Gender-role Attitudes and their Perceptions on Gender-role Socialization)

  • 이주연;한세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1-261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in their gender-role attitudes and their perceptions on gender-role socializ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67 6th graders and their mothers in Seoul. Boy's gender-role attitude wa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mothers while girl's gender-role attitude was more consistent with that of mothers than boys. In their perceptions on gender-role socialization, mothers reported that they emphasized both feminine and masculine behavior for their children. However, children reported that their mother emphasized feminine behavior for girls and masculine behavior for boys.

  • PDF

Gender, Education, and Financial Socialization as Determinants of Financial Knowledge: An Empirical Study

  • HODA, Najmu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0호
    • /
    • pp.169-177
    • /
    • 2022
  • The main aim of the paper is to assess the level of financial literacy among business students. It further aims to investigate the role of external factors that may determine financial literacy. The external factors considered in this study are gender, grade point average, specialization, financial education, and financial socialization. Standard scales such as the Test of Financial Literacy, the Big Three, and other instruments were adapted to measure Financial Knowledge. Further, the study also explored relationships between several factors and the financial knowledge of students. These factors included a student's gender, specialization, number of finance or related courses studied, current Grade Point Average, and financial socialization. A total number of 303 valid responses were receiv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business students studying in a public university in the country. Statistical tests namely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SPSS 28.0.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financial knowledge of students is above average. Gender, number of finance or related courses, and financial socialization do not exhibit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inancial knowledge. Current GPA and specialization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sectoral and research implications.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 영향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ew Nurses)

  • 오현미;박영례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2-251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clinical performance,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to evalu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Methods: This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new nurses 171 at general hospitals in Jeollabuk-do. Data was collected between August 1 to 20, 2018 from questionnaire responses an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calling rating was 2.47±0.59 (rated on a scale of 1~4), clinical performance rating was 3.55±0.52 (rated on a scale of 1~5), role conflict rating was 3.29±0.59 (rated on a scale of 1~5),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rating 3.19±0.41 (rated on a scale of 1~5). Calling, clinical performance, role conflict, gender, and work in the desired unit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to ensure effective management of personnel.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cultivate the nursing calling, enhance clinical performance, and resolve role conflicts among new nurses.

"유치원교육활동지도자료"의 성역할 내용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A Sociological Analysis on Contents of Gender Role in the "Educational Active Program Guidance books in Preschools")

  • 김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590-1603
    • /
    • 2007
  • 이 연구는 제3차에서 6차에 이르는 유치원교육활동지도자료 총40권에 나타난 성역할의 내용을 내용분석법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은 유치원 7차 교육과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연구문제는 남녀의 성별분업표현, 남녀의 직업 표현에 따른 성역할 내용의 변화에 대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남성은 직장생활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 여성은 가사노동이 강조되었다. 둘째, 남녀의 직업은 우리 삶에서 일상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직업들로 묘사되고 있었으며, 남성의 직업이 여성의 직업보다 더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셋째, 제6차의 경우는 제 3, 4, 5차에서보다는 남녀의 성을 구분하는 단서를 주지 않으려는 사례가 많았다. 또한 남녀의 차별적인 표현을 없애고,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기 위해 남녀를 평등하게 제시하는 사례가 많았다.

  • PDF

중·노년기 부모 및 직업역할 재구조화와 심리적 안녕감: 일본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Parental, Occupational Role Reconstru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 and Old Aged Japanese Married Men and Women)

  • 장수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1호
    • /
    • pp.81-10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1) 자녀의 독립과 은퇴에 직면하는 중·노년기에 부모 및 직업역할의 비중축소를 통한 역할 재구조화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2) 부모 및 직업역할 재구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역할 재구조화는 부모 및 직업역할에 대한 집착 정도로 측정하였으며, 일본의 기혼남녀 378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회수율 48.3%). 그 결과, 부모 및 직업역할에 집착할수록 그 역할에 대한 상실불안감이 증대되어 심리적 안녕감이 저하되는 경로가 여성에게서 확인되었다. 역할집착의 개인차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자율성이 높고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이며 사회적 지지망이 협소할수록 직업역할에 집착하였다. 여성의 경우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이고 사회적 지지망이 좁을수록 부모역할에 집착하였으며, 성역할태도가 비전통적일수록 직업역할에 집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노년기의 역할 재구조화의 중요성 및 성별 사회화 과정에 따른 역할 재구조화의 성차와 관련지어 논의되었다.

  • PDF

Factors affecting the safe sexual behaviors of Korean young adults by gende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 Nalae Moon;Hyunjin Kang;Su Ji Heo;Ju Hee Kim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5-127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afe sexual behaviors of Korean young adults and identify differences by gender. Method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ich factors affected safe sexual behavior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Data from 437 Korean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ere collected via online survey between January 3 and January 28, 2022.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on sexual body image, sexual role perception, sexual attitudes, sexual socialization, sexual communication, and safe sexual behavio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Results: According to the overall model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he final model was acceptable and explained 49% of safe sexual behaviors. Sexual attitudes (β=h-.70, p<.001) and sexual communication (β=.53, p<.001) directly affected safe sexual behaviors, and sexual role perception (β=.42, p<.001) indirectly affected safe sexual behaviors in a combined model.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h from sexual attitudes (β=-.94, p<.001) and sexual communication (β=.66, p<.001) to safe sexual behaviors and from sexual body image (β=.27, p<.001) to sexual communication. Conclusion: Sexual attitudes and sexual communication were predictors of safe sexual behaviors, which differed by gender. Strategies that consider sexual attitudes, sexual communication, sexual role perception, and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safe sexual behaviors of young adults.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부모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연구 (A Study on the Gender Roles Featured in the Illustrations of the Par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 박영주;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5-50
    • /
    • 2020
  • 본 연구는 실질적 양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학교교육의 역할과 성역할 사회화 과정에 주목하여, 중·고등학교의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 영역에 나타나는 삽화 속 아버지상과 어머니상을 분석하였다. 이에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1'과 '기술·가정 2' 교과서와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총 36종의 '가정' 영역에 등장하는 부모삽화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삽화의 외형적 측면에서의 부모 성역할과 내용적 측면에서의 부모 성역할을 분석범주로 삼았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중·고등학교의 '기술·가정' 교과의 '기술·가정' 교과서 속 부모삽화는 양성평등한 성역할의 측면과 함께 특정 성에 편중된 성역할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전통적인 부모의 성역할에 있어서 어머니는 가사 일을 전담하고 아버지는 가정의 가장으로서 권위를 가지고 재화를 창출하는 경제활동의 중심에 놓는 양상이 여전히 남아있는 일부 삽화들의 경우,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의 필요가 있다.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among High School Students)

  • 김지윤;안채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6권3호
    • /
    • pp.329-343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degree of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among the students from six different high schools(132 girls, 127 boys) in Sunchon si, Chunnam province from Dec. 7th to Dec. 15th in 1999. The survey on gender egalitarianism was done in relation to th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matter, parents' hug times, and parent's communication skills. Korean gender egalitari- anism scale was standardized by Korea Woman Developmental Institutes in 1999. The data was analyzed by SAS program.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ly, girls are more conscious of gender egalitariannism than boys(t=-13.79, p<.001). Above all, the younger the students are, the more they feel equal(F=8.01, p<.01). In sibling cases, two sisters have the highest level of gender egalitarianism while two brothers have the lowest level of gender egalitarianism(F=9.20, p<.001). Students who come from religious families are more inclined to demonstrate gender equality(t= 2.42, p<.05).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relation to the parents' ages or academic background or harmony within the family. 2) There is no difference that girls and boys generally communicate with their parents. In ages, 17 years old students communicate more than 18, 19 with parents(father F=3.97 p<.05ㆍmother F=5.31, p<.01). That is, the younger students can communicate with their mothers more often than the older ones. In sibling cases, two sisters have more openly communication to parents while two brothers have(F=2.84, p<.05). Students communicate with their parents regardless of parents' academic background. But those from the family in harmony have more open chance to communicate than those who are not in hamony(father F=21.66, p<.001ㆍmother F=13.37, p<.001). They can comm -unicate with their parents better when their fathers hug them than when they didn't get hugs(father t=-4.76, p<.001ㆍ mother t= -2.34, p<.05). They can also communicate with their patents better when their mothers hug them once or more than when they didn't get hugs(father t=-3.78, p<.001ㆍmother t=-5.64, p<.001). 3) There is no difference whether the father hugs or not, but the mother's hug is very important because students whose mothers hug them once or more have significantly more gender egalitarianism than those students whose mothers didn't do(t=-3.98, p<.001). Based up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we reconsider the role of gender in the socializ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lso include gender egalitarianism in sex education. In this context,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communic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egalitarianism based upon parents' hugs(semi-language). Continued study is especially important in regards to the mother's hug and its enhancement of the students' gender egalitarianism.

  • PDF

육아 예능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부성성 연구 - MBC <아빠 어디 가>에 대한 기호학 분석 (Fatherhood Representations of Childcare 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 A Semiotic Study on a Reality Program, "Where Are We Going, Dad?" of MBC)

  • 이란;백선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7-120
    • /
    • 2016
  • 본 연구는 기호학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육아 예능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재현된 부성성의 표상들을 분석하였다. MBC <아빠 어디 가>의 방영분 2편의 영상과 기호 체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출연한 부성들은 그동안 모성의 전유 영역으로 이해되던 육아에 공동으로 헌신하는 페미니스트적 남성상을 표출하고 프렌디로서의 친근한 부성의 재현을 통해 현대의 이상적 부성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부성상의 변화는 감성적이면서 양성적인 남성으로의 변화를 함의하는 포스트모던적 남성 이데올로기를 내재화한다. <아빠 어디 가>의 부성들은 육아 실천을 지향하는 프로그램 속에서 육아를 전면적으로 수행하는 가운데, 육아 미숙의 상황을 간헐적으로 노출하면서 역설적이게도 육아에 대한 모성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이들이 재현한 육아 실천의 남성상은 현대의 이상적인 남성상을 시도하는 것이었지만, 자녀를 지도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여전히 기존의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과 차별적 인식을 지니고 있고, 나아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컨대, 이들의 포스트모던적 프렌디 부성으로의 변화가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위계 구조를 전적으로 변화시키지는 못하였다.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노동이행과 배제 (Labor Transition and Exclusion of Unprivileged Female Breadwinners)

  • 김정현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43호
    • /
    • pp.61-85
    • /
    • 2014
  • 본 연구는 여성가구주가 생계부양자로 노동시장에 진입한 이후 이들의 노동이행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이들의 노동권 유지를 어렵게 만드는 기제가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시에 거주하는 저소득 여성가구주 13명을 유의표집하고, 심층 면접하여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여성가구주들은 불안정한 2차 노동시장에서 끊임없이 수평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여성가구주들은 불안정한 노동이 장기화 될 때 심각한 빈곤상태에 놓이게 되고, 이것은 공적지원 의존으로 이어졌다. 공적지원을 받는 여성가구주들은 조건부 수급원칙에 따라 일반노동시장에서 빈곤노동시장으로 수직하강이동하였다. 이러한 노동이행과정에서 저소득 여성가구주들은 노동시장의 구조적 차원, 사회관계적 차원, 젠더규범적 차원 등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배제를 경험하였다. 성분절적이고 인적자본 중심의 노동시장은 돌봄노동으로 인해 경력이 단절된 여성가구주들을 안정적 노동에서 배제시킬 뿐 아니라, 여성생계부양자라는 낙인은 이들을 노동기회에서 배제시켰다. 또 여성가구주는 일과 돌봄의 양립이 어려울 때 스스로 노동시장에서 벗어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여성가구주가 빈곤에서 벗어나 경제적으로 독립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생애과정을 고려한 노동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돌봄의 사회화를 위한 제도적 노력, 젠더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