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schem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성과 관련된 과제의 선호에서의 성 도식의 영향 (The Influence of Gender Schema on Children's Preference for Gender Related Tasks)

  • 정순화
    • 아동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5-81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conceptions about gender and the relation between gender conceptions and preference for gender related tasks. 130 children were interviewed about gender and gender related tasks. Data were analyzed with the component model of gender schema.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s gender schema in the attitudes doma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ge in all components but not different with sex. The gender schema in the knowledge doma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ge in within component and between component links, and with sex in the gender label-component and within component link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 inhibitory score and gender facilitative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ge, sex, and children's gender schema. The findings that gender schema influenced the children's preferences for gender related tasks suggests a theoretical rationale of gender schema theory.

  • PDF

아동의 성 도식과 성관련 과제의 기억 및 선호 (The Influence of Gender Schema on Children's Memory and Preference for Gender Related Tasks)

  • 정순화;정옥분
    • 아동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53
    • /
    • 1994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a component model of gender role and differences in children's gender concepts with age and sex. The secondary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gender schema and memory as well as preference for gender related task. 181 children were interviewed about gender concepts and gender related tasks.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dimensions of the component model (i. e., gender label-component links, within-component links, between-component link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ach other. The mean scores of gender role knowledge and attitude were different with age but not with sex.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hildren's age, sex, and gender role attitude explained both memory and preference for gender related tasks. The component model had better explanatory power than the simple model.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hildren's gender concepts are better described in terms of the component model than the simple model and may contribute to a theoretical rationale for gender schema theory.

  • PDF

형제 놀이 속에서 발현된 '코델리아' 형규의 이성지향자적(異性志向者的)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Discrepancy between Children's Gender Schema and Gender Role Acceptability: With a Focus on the Intersexual Role Playing of Two Brothers')

  • 이은지;강현구;박윤현
    • 아동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3-48
    • /
    • 2015
  • It is generally known that children's development of 'gender schema' and 'gender role stereotyp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otion of 'gender role preference'. This study analyzed an unusual case focusing on the role playing of two brothers'. The elder brother, Hyoung-Gyoo, always preferred to take the female role, and he had a preference for feminine names like "Cordelia" whilst engaging in role playing situations. The brothers can be said to have crossed the border into the realm of intersexual role playing. The results revealed Hyoung-Gyoo's clear discrepancy between gender-related perceptions and reality, and showed his younger sibling Je-Gyoo's high level of acceptance towards his brother's extraordinary gender role pre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useful reference point for detailing unusual development from early childhood regarding 'opposite-gender-role seeking' characteristics.

여대생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의복관여와 의복소비행동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Role Attitude)

  • 최미영
    • 복식
    • /
    • 제60권8호
    • /
    • pp.15-2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gender role attitudes affect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in young female generation by changing the traditional sex role stereotype. For the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month from June 15 to July 15, 2009. Data was collected a total of 368 questionnaires from 20's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301 questionnaires with SPSS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n gender role attitudes confirmed the multifactorial theory of gender schema: modern masculinity, conservative gender roles, modern feminity based on emotion, gender role openness, and traditional feminity. Second, gender role attitud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a little conservative but flexible to accommodate masculinity and active in the emotion expression. Third, gender role attitudes had important effects on clothing involvement which was identified into 4 different factors; fashion involvement, clothing interest, performance risk, and social psychological risk. Fourth, gender role attitudes were related with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as like shopping orientation, on-going information search behavior and brand loyalty because of needs for innovation, exhibition and differentiation.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not only 'androgynous' from modern feminity based on emotion but also 'masculinity' was applied to important fashion marketing strategic tools by statically affecting female consumer's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behaviors.

성 관련 의복단서와 성 역할 정체감이 대인지각에 미치는 영향 -여대생을 중심으로- (Some Effects of Sex-linked Clothing Cue and Gender Schema on the Perception of Others -Research about student of Women s University-)

  • 이미현;임숙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4권3호
    • /
    • pp.325-336
    • /
    • 1996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oles of sex related cloth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he effects of sex related clothes were vast and strong. 1. It appeared that sex related clothes affected the wearer's outside aspects and also inferred the wearer's inside characteristics. Subjects judged the wearer's sex by sex related clothes, and confidence in judgement about the wear's sex also appeared stronger when cue of sex related clothes is more clear than being ambiguous. Judging the model's impression when subjects evaluated other's appearance and personality ,clothes affected it and clothes also had a strong impact when subject inferred others's characteristics such as ability and activity. Among the three kinds of sex related cue like men's clothes, women's clothes and ambiguous clothes, when a model wore men's clothes, he mode's impression judged by the subjects was most favorable and positive. But respondents sex role identity appeared that it didn't affected the judgement of the wearer's sex, evaluation and inference of wearer's characteristics. But this result didn't match with the gender schema theory.

  • PDF

수학 교육 연구에서 성별(性別)의 의미 고찰 (Study on the Meaning of Gender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 김리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45-453
    • /
    • 2019
  • 성별(性別)은 사회 및 문화적 배경에 따라 그 역할과 의미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성별에 대한 이해는 수학 교육 연구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국내 수학 교육 선행 연구에 있어 성별이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증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예측 모델, 구성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성별 스키마 모델, 역사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문화 역사적 구성 모델,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을 바탕으로 한 포스트모더니즘 모델에서의 성별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국내 수학 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수학 교육에서 성별은 생물학적 차이로 인식되고 있으며, 통계적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성별과 수학 교육의 관련 요소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수학 교육에 있어 성별의 역할을 해석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초기 부적응 도식, 정서조절곤란, 그리고 SNS 중독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NS Addiction)

  • 김수성;이영순;강정석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33-44
    • /
    • 2017
  • 심리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특정한 심리적 문제를 유발하는 근본적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수정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SNS 중독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서 향후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통해서 부적응적 자기개념(예: 낮은 자기존중감), 부적응적 성격 특성(예: 강한 자기애), 그리고 강한 부정적 정서 경험(예: 높은 수준의 불안)이라는 SNS 중독의 표면적 원인을 파악하였다. 이후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기반으로 이들 표면적 원인 기저의 근본적 원인으로 인지적 차원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적 차원의 정서조절곤란을 도출하고 '초기 부적응 도식 ${\rightarrow}$ 정서조절곤란 ${\rightarrow}$ SNS 중독'이라는 심리적 부적응 기제를 개념적으로 제안하였다. SNS 중독의 고위험군인 2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20대 여성 집단에서 이와 같은 심리적 부적응 기제가 나타났지만 20대 남성 집단에서는 '초기 부적응 도식 ${\rightarrow}$ SNS 중독'의 관계만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20대 남녀의 초기 부적응 도식에 대한 인지치료나 20대 여성의 정서조절곤란에 대한 정서치료가 SNS 중독 치료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추천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시간스키마 적용 2단계 클러스터링 기법 (Two-step Clustering Method Using Time Schema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Recommender Systems)

  • 부종수;홍종규;박원익;김룡;김영국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32
    • /
    • 2005
  • 디지털 TV 채널 및 인터넷 상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홍수로 인해 사용자는 종종 자신이 선호하는 컨텐츠를 찾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또한 컨텐츠를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을 들이고 있다. 심지어 컨텐츠를 검색하는 동안 원하는 정보를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고객들이 선호하는 컨텐츠를 추천하는 기존 시스템들이 가지는 문제점으로 사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추천시간이 증가하는 확장성 문제와 새로운 고객의 경우 상품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부족할 경우 추천 정확도가 저하되는 희박성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협력적 필터링 방식에 기반한 2단계 클러스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1단계에서는 고객의 성과 나이와 같은 기본적인 사용자 정보만을 사용하여 추천하고, 2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동적인 성향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시간스키마를 적용하여 추천한다. 이렇게 추천된 결과의 피드백을 이용함으로써 계산시간의 단축과 예측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 PDF

아동 체중에 대한 부모의 관심 및 아동의 외모도식과 식습관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arental interest in children's weight, children's appearance schema, and eating habit on depression)

  • 채진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2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1) differences in parents' interest in their children's weight, appearance orientation, eating habits and appearance evaluation, and depression based on children's gender, and (2) the pathway to children's depres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included 641 fourth-grade children (300 boys and 341 girls) who participated in a Korean Survey on Obesity of Youth and Children in 2009.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s using SPSS 19.0 and path analysis with AMOS 7.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irls demonstrated higher scores in all variables except depression when compared to boys. Second, all variables indicated a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boys' depression, and appearance orientation had the greatest total effect on boys' depression. For girls, all variables again indicated a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and again appearance orientation had the greatest total effect on girls' depression. However, the pathways to depression were different based on children's gender.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창업경험과 창업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사회인지적 요인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gnitive Attributes)

  • 박정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51-76
    • /
    • 2022
  • 창업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것은 창업가를 양성하고 국가 내 기업가적 혁신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데 있어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일이다. 그동안의 연구들이 사회인지 속성을 예측인자로 활용해 창업의도 혹은 기업가적 활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주로 제시해왔지만, 이러한 사회인지 속성들이 무엇에서 비롯되는지 근본적 요인에 대해서는 기업가정신 분야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인지이론과 스키마이론을 기반으로 개인의 창업경험(Entrepreneurial experience)이 사회인지 속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가정하며, 경험이 창업의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다. 이를 위하여 기업가의 창업경험이 사회인지이론에서 창업의도를 형성하는 주요 변수로 꼽히는 기업가적 자기효능감(Entrepreneurial Self-efficacy), 기회인식(Opportunity recognition), 실패두려움(Fear of failure)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러한 요인이 어떻게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이와 함께 창업 경험과 창업의도 사이에 이어지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러한 사회인지속성이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성별에 따라 생물학적 차이 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사회적 차이, 그리고 인지적 차이가 만들어지는 점을 고려, 성별에 따라 개인의 창업경험이 사회인지 속성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분석한다.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GEM)의 87개국의 25,047명 기업가 데이터에 기반한 계량 분석을 한 결과, 창업경험은 기업가적 자기효능감과 기회인식을 높이고, 실패두려움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사회인지속성은 창업경험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도 유의해, 남성과 여성은 창업경험으로부터 창업의도가 형성되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기업가 정신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과거 경험의 역할은 중요하지만 충준히 다뤄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창업경험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를 통해 창업의도 형성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