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l texture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5초

Partial replacement of pork backfat with konjac gel in Northeastern Thai fermented sausage (Sai Krok E-san) to produce the healthier product

  • Sorapukdee, Supaluk;Jansa, Sujitta;Tangwatcharin, Pussade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1호
    • /
    • pp.1763-1775
    • /
    • 2019
  • Objective: The influence of konjac gel level on fermentation process and product qualities were assess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sing it as fat analog in Northeastern Thai fermented sausage (Sai Krok E-san). Methods: Five treatments of fermented sausages were formulated by replacing pork backfat with 0%, 7.5%, 22.5%, and 30% konjac gel. The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importa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mples were assessed during 3 days of fermentation. After the end of fermentation at day 3, water activity ($a_w$), instrumental texture, color, microbial counts, and sensory evaluation were compared. The best product formulation using konjac for replacing pork back fat were selected and used to compare proximate composition and energy value with control sample (30% pork backfat). Results: An increase in konjac gel resulted in higher values of LAB, total acidity, and proteolysis index with lower pH and lipid oxidation during 3 days of product fermentation (p<0.05). It was noted that larger weight loss and product shrinkage during fermentation was observed with higher levels of konjac gel (p<0.05). The resulting sausage at day 3 with 15% to 30% konjac gel exhibited higher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than control (p<0.05). The external color of samples with 22.5% to 30% konjac gel were redder than others (p<0.05). Mold,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in all finished products were lower than detectable levels. Product with 15% konjac gel had the highest scores of sourness linking and overall acceptability (p<0.05). Conclusion: The product with 15% of konjac gel was the optimum formulation for replacing pork backfat. It had higher sensorial scores of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control with less negative impact on external appearance (product shrinkage) and weight loss. Moreover, it provided 46% fat reduction and 32% energy reduction than control.

계란찜의 텍스쳐와 색에 미치는 가열온도와 시간, pH 및 소금의 영향 (Effects of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Salt and pH on the Texture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Whole Egg Gel)

  • 김경미;김종군;김주숙;김우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3-170
    • /
    • 2004
  • 계란찜 제조시 물의 첨가량,가열 온도와 시간, pH, NaCl의 첨가량이 전란액의 점도와 색, 계란찜의 텍스쳐와 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계란찜은 계란을 할난시켜 완전히 섞어 계란액을 만든 다음ultrasonicator로 탈기시키고 10$0^{\circ}C$의 증기로 7분간 가열한 다음 22$^{\circ}C$에서 90분간 냉각시켰다. 그 결과 물의 첨가량은 50% 이상부터 계란액의 점도와 계란찜의 견고성 및 항복응력에 현저한 감소가 있었다. 계란액의 색은 a와 b값의 감소가 현저하였고, 계란찜은 ( - )값 범위에서의 a값이 더 낮아져 녹색이 짙어짐을 보였다. 가열 온도의 증가는 응고시간의 단축과 높은 항복응력이 측정되었으나 변형도는 감소함을 보였다. 가열시간에 따른 계란찜의 L과 b값은 9$0^{\circ}C$와 10$0^{\circ}C$에서 감소함을 보였고, a값은 8$0^{\circ}C$에서 감소함을 보였다. 소금의 첨가를 1.3%까지 하였을 때 계란찜의 항복응력과 단단함이 크게 증가하였지만, 색은 약간의 b값 감소 외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계란액의 pH를 4.0에서 10.0으로 증가시켰을 때 pH 6.0에서 점도가 가장 낮았으나 계란찜은 항복응력과 단단함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었고 pH 8.0 이상에서는 L값과 b값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물의 첨가량과 가열온도, 가열시간, 소금첨가량은 계란찜의 텍스쳐 및 색특성에 영향을 줌이 밝혀졌다.

대왕 오징어 연제품의 Texture에 영향을 미치는 전분의 종류 (Textural Properties of Jumbo Squid Kamaboko as Affected by Edible Starches)

  • 이남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91-596
    • /
    • 2000
  • 감자, 옥수수, 소맥전분들의 혼합비에 따른 오징어 연제품의 보수력을 측정한 결과 혼합비를 증가시킬수록 옥수수전분의 경우 $10{\%}$ 첨가될 때까지 계속 보수능이 증가되다 그 이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소맥전분과 유사하였으나 감자 전분과는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감자 전분의 경우는 거의 전분함량이 늘어날수록 1차반응에 준하여 증가하다가 $15{\%}$ 첨가시에 최고의 보수력을 유함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감자전분이 보다 높은 함수율을 지니고 있음을 간접 시사하고 있었다. Breaking stress는 전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breaking strain의 경우는 모두 전분을 첨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소맥전분은 $10{\%}$ 첨가구간에서는 거의 대조구와 같은 strain값을 유지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겔의 물성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소맥전분을 사용하여 연제품의 강도와 부드러움 즉 elastic한 겔을 획득할 수 있음을 예측가능 하게 한다. 대형오징어의 물성치를 texture map에 적용시켜보면, 옥수수 전분은 전분함량을 증가시킬수록 tough 해지면서 brittle 해지는 경향이었고, 감자전분의 경우 전체적으로 부서지거나 단단한 겔을 형성하기보다 보수력이 높은 탄력적인 겔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소맥전분의 경우 옥수수와 감자전분의 기능을 혼합한 것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분 혼합비에 따른 색차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대체로 전분의 함량이 늘어나더러도 명도는 거의 변화가 없음을 보이고 있었는데, 이것은 겔안의 전분함량이 색차에는 기여하는바가 적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백색도의 경우 전분함량을 늘릴수록 1차반응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었으나, 특히 소맥의 경우가 이러한 양상을 뚜렷하게 나타내었다.

  • PDF

보존에 따른 녹두 전분 gel의 관능적, 텍스쳐 특성변화 (Changes in Sensory and Textural Properties of Mungbean Starch Gels during Storage)

  • 최은정;오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39-544
    • /
    • 1999
  • 녹두 전분 겔을 온도(5$^{\circ}C$, $25^{\circ}C$) 및 기간별(1, 24, 48, 72시간)로 보존하여 겔의 색도, 이수현상, 텍스쳐, 관능적 특성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겔의 색도는 L값과 W값이 보존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커져서 겔의 보존시 백색도가 커지고 투명도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저온에서 더 현저하였다. 이수량 역시 저온에서, 보존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 많아졌다. 텍스쳐 특성은 경도는 보존기간이 경과하면 커지고 부착성, 응집성은 작아져서, 보존에 의해 겔이 단단하고 푸석푸석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저온 보존시 더 현저하였다. 관능적 특성은 기계적 특정과 대체로 일치하는 경향이었으며, 전반적 바람직성은 5$^{\circ}C$에서는 보존 2일째부터, $25^{\circ}C$보존에서는 보존 3일째부터 기호도가 상당히 낮아졌다.

  • PDF

남극 크릴(Euphausia superba) 연육의 물성에 대한 첨가제의 영향 (Effects of Additiv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Surimi)

  • 채연주;최은혜;이양봉;전병수;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47-355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urimi made from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Krill surimi was prepared from krill meat with an added cryoprotectant (sugar 6%, polyphosphate 0.2%). Krill surimi without additives does not form a gel. In order to enhance the gelling of krill surimi, additives such as soy protein isolate (SPI), guar gum, carrageenan, and wheat starch were examined. Of these, SPI had the highest gel-forming activity, while guar gum, carrageenan, and wheat starch had decreasing gel-forming activity and negative effects on other physical properties as their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In addition, SPI enhanced the gel strength and physical properties of krill surimi. The fluoride and astaxanthin contents of krill surimi with added SPI were 55.0 mg/kg and 0.8 mg/kg, respectively.

산과 알칼리 공정으로 제조한 어육 수리미의 가열 겔에 미치는 근형질단백질과 NaCl의 영향 (Effect of Sarcoplasmic Protein and NaCl on Heating Gel from Fish Muscle Surimi Prepared by Acid and Alkaline Processing)

  • 박주동;윤수성;정춘희;조민성;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67-573
    • /
    • 2003
  • pH 2.5와 pH 10.5에서 어육 단백질을 용해시키고, pH 5.0부근에서 침전 단백질을 회수한 후, pH를 중성 부근으로 재조절하여 제조한 7종 어류의 산과 알칼리 수리미의 수율을 수세 수리미와 비교하고 이들 수리미의 가열 젤에 미치는 근형질 단백질과 NaCl의 영향을 punch test와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알칼리 수리미의 수율은 수세 수리미와 산 수리미에 비하여 높았으나, 파괴강도, 변형값 및 백색도는 낮았다. 근형질 단백질을 첨가한 가열 겔의 파괴강도는 첨가하지 않은 가열 겔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파괴강도와 변형 값을 가졌으나, 백색도는 다소 감소하였다. 염은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파괴강도 값은 감소하였으나, 변형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백색도는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DS-PAGE 상에서 산 수리미의 myosin heavy chain과 actin은 급속히 분해하였으며, 수세 수리미와 알칼리 수리미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알칼리 수리미의 수율과 가열 겔의 파괴강도, 변형 및 백색도 값에 미루어 알칼리 수리미 제조 공정은 kamaboko형의 연제품 제조에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갑오징어(Sepia esculenta)갑 칼슘으로 회수한 surimi 가공폐수 단백질의 어묵소재로서 이용 (Utilization of a Soluble Protein Recovered from Surimi Wastewater by Calcium Powder of Cuttle, Sepia esculents Bone)

  • 김진수;조문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4-209
    • /
    • 2003
  • Utilization of soluble protein recovered from surimi wastewater using calcium powder of cuttle bone were examined. The crude ash content of the heat-induced surimi gel was increased linearly by increasing substitution ratio of recovered protein-ATC toward commercial surimi. Moisture (approximately $76\%$) and lipid $(0.2\%)$ contents were not change, but their protein contents were decreased 15.7 to $14.3\%$ depend on increasing of substitution ratio. The white index of the heat-induced surimi gel by color meter was increased up to $10\%$ of substitution ratio.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0\%\;and\;5\%$ substituted surimi gel in the gel strength. The sensory score on white index and texture of the heat-induced surimi gel did not change in 0 to $10\%$ as a substitution ratio of recovered protein-ATC toward commercial surimi, while decreased in more $15\%.$ The optimal substitution ratio of recovered protein-ATC as a bulking agent was $10\%.$ The heat-induced surimi gel prepared with $10\%$ substitution of recovered protein-ATC was similar to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otal amino. acids, and superior to calcium content and the ratio of calcium and phosphorus toward those of commercial surimi.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on the Properties of Pacific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Girard Surimi During Frozen Storage

  • Yoo, Byung-J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291-298
    • /
    • 2014
  •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yoprotectant mixtures on the quality of sand lance surimi (SLS) during storage at $-30^{\circ}C$. We monitored freeze-induced denaturation of myofibrillar protein in SLS and examined the texture profile of SLS gel. Freeze-induced denaturation was assessed by evaluating SLS $Ca^{+2}$-ATPase activity. SLS gels prepared with sorbitol or sucrose and a mixture of both as cryoprotectant. Higher concentrations of cryoprotectant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residual SLS $Ca^{+2}$-ATPase activity at the same storage time (P < 0.05). Residual $Ca^{2+}$-ATPase activity of SLS prepared with sorbitol was higher than that of sucrose when cryoprotectant concentration and storage period were same. A blend of sorbitol and sucrose resulted in a stronger cryoprptective effect of SLS myofibrillar protein than did sorbitol or sucrose alone. The presence of a phosphate compound in SOP (3% sorbitol + 0.2% phosphate compound) resulted in higher SLS $Ca^{2+}$-ATPase activity than that of did 5% sorbitol. The hardness, brittleness, and elasticity values and a folding test of the SLS gel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cryoprotectant concentrations and the storage time. Preference scores and acceptance for texture in a sensory evaluation of the SLS gels increased with increasing sorbitol or sucrose concentration.

함초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 Added with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 손기옥;이승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2-480
    • /
    • 2014
  • 함초 분말의 첨가 비율(0, 2, 4, 6, 8%)을 달리하여 제조한 함초 청포묵의 수분 함량은 무첨가구와 6% 첨가구가 가장 높고, 8% 첨가구가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염도는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은 함초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총 균수는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대장균은 모두 음성으로 불검출되었다. 총 이수율은 함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줄어들었다. 기계적 품질 특성의 경도(hardess)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함초 첨가시 무첨가군에 비해 증가 수준이 둔화되었다. 응집성(cohesiveness)은 저장 기간에 따른 변화가 미미하였으며, 탄력성(springiness)은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점착성(gumminess)은 함초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 함초 4% 첨가구가 다른 시료에 비해 향, 맛, 짠맛, 텍스쳐,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함초는 동결 건조로 분말을 제조하여 식품조리 및 식품가공 등에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함초 분말을 이용한 청포묵을 제조할 경우, 수분 함량, 색도, 염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균수, 총 이수율과 기계적 품질 특성과 소비자 기호도 조사 등을 연구한 결과, 함초 분말 4%의 첨가 비율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산 녹두전분의 물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Chinese Mungbean Starch)

  • 이종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1992
  • Recently, plenty of imported Chinese Mungbean is sold, for Korean Mungbean is expensive. But they say, Chinese Mungean has less delicacy and cooking quality. Above all, in comparison with Korean and Chinese Mungbeans properties they are different - Chinese Mungbean grain is twice in dimension, Chinese Mungbean is white and Korean one is yellow in peeled grain color. They are similar in size shape with the microscope. With Amylograph of Brabender the viscosity of Korean Mungbean is gradually and continually increased until heating from $25^{\circ}C$ to $92.5^{\circ}C$ and cooling to $25^{\circ}C$ again, but the one of Chines Mungbean is increased suddenly in 74$^{\circ}C$ and shows the abrupt break-down phenomenon. This same phenomenon is shown in swelling with melting-pointer, In $25^{\circ}C$, the cooling temperature, Chinese Mungbean is measured to 1400 B.U and Korean one 1600 B.U. With color-meter of Richard S. Hunter, 12% gel of Korean Mungbean starch is clear but Chinese one white. The texture of 12% gel of Chinese Mungbean starch with Rheo-meter becomes hardened much more than Korea one. As a result of sensory-test, color, cohesiveness, and flavors of Korean gel is preferred overwhelmingly.

  • PDF